한 눈에 보는 주간 환경 이슈
한 눈에 보는 주간 환경 이슈
지렁이가 북극권 얼음을 녹인다!💦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렁이들 
안녕하세요! 위클리어스 킹크랩입니다🌊
흔히 지렁이는 추운 극지방에서는 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지렁이가 최근 추운 북극권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북극권의 지렁이가 지구온난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말이 있는데요. 이번 위클리어스에서는 북극권에 진출한 지렁이와 지렁이가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렁이, 북극권까지 진출하다!
지렁이는 흔히 외래유입종으로 여겨지지 않는 경향이 있으나, 북극권에서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독일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의 게스처 블룸베리 박사에 따르면 "인간 때문에 북극권에서 지렁이가 점점 많이 발견되고 있다"고 합니다. 북극권에서 지렁이는 연간 약 5~10m 정도만 이동할 수 있지만, 인간을 통해서 국경을 넘어서까지 쉽게 이동합니다. 지렁이는 북극권의 북방림을 등산을 하는 사람들의 신발을 통해 먼 지역까지 이동하고 낚시용 미끼나 재배용으로 수입된 흙을 통해 유입됩니다. 북극권의 기온이 점차 따뜻해지면서, 이렇게 유입된 지렁이들은 북극권의 더 많은 지역에서 번식하게 됩니다. 유경수 미네소타대 교수에 따르면 최근 영구동토층의 경계에서도 지렁이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캐나다와 미국에 위치한 북방림에는 지난 빙하기인 약 12,000년 전부터 지렁이가 서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과거 유럽인들이 해당 지역을 식민화하면서 선박의 균형을 맞추는 중량물과 식물을 가져오면서 지렁이가 유입되었습니다. 유입된 지렁이들은 곰팡이와 식물 사이의 섬세한 관계를 바꾸기 시작했고, 이는 토양 상층부의 pH농도에 변화를 가져와 북방림의 생물다양성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미국 미네소타주의 북방림에서는 지렁이들이 북방림의 숲 바닥의 본래 분해되지 않던 유기물층을 분해하였습니다. 그 결과, 이를 주요 서식 환경으로 필요로 하는 토착종의 서식이 어려워지고 외래유입종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현재 북아메리카,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페노스칸디아, 러시아 등 북극권 이곳저곳에 유입된 지렁이들은 지구온난화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 지나친 토양 영양화
북극권의 지렁이들은 토양을 지나치게 영양화하여 온난화를 촉진시킵니다. 일반적인 북극권의 기온에서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곰팡이나 박테리아가 활동하기 너무 추워, 토양에 영양분이 부족하여 식물이 잘 자라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렁이들은 식물 성장에 중요한 질소를 증가시키고 지층 내에서 이동하며 영양분을 깊은 곳과 먼 곳으로 이동시킵니다. 이러한 지렁이의 활동은 북극권의 식물에게 기온이 3°C 증가한 것과 같은 영향을 미칩니다.

- 태양광 반사의 감소
지렁이들의 활동으로 식물이 활발히 성장하면 키가 큰 식물들은 눈 위로 튀어나오게 됩니다. 이로 인해, 북극권의 표면은 눈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이 증가하며 눈이 덮였을 때보다 어두워져 태양광 반사량(albedo)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더 많은 열이 흡수되어 눈을 녹게 하고 식물들은 더욱 잘 자라게 됩니다.

- 이산화탄소 방출량 증가
지렁이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늘리는데 기여를 합니다. 한 국제공동연구팀이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 지에 2013년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지렁이가 있는 토양에서 더 많은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가 발생하여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지렁이가 있는 곳에서는 지렁이가 없는 곳에서보다 이산화탄소는 33%, 이산화질소는 42% 더 많이 방출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인그리드 루베르스 네덜란드 와게닝겐대 교수는 "지렁이가 땅속에 남기는 구멍은 토양에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더 많이 퍼져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며 "또 지렁이 내장에 살고 있는 미생물이 상당한 양의 이산화질소를 만들어내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방림에서는 지렁이들이 숲 바닥에 떨어진 나뭇잎 등으로 이루어져 탄소가 풍부한 두꺼운 유기물층을 분해하여 탄소 방출량에 기여하기도 합니다. 
  
인간과 온난화가 변화시키는 생태계
인간에 의해 북극권에 유입된 생물종은 지렁이뿐만이 아닙니다. 2011년 학술저널 '바이올로지컬 인베이젼스(Biological Invasions)'에 실린 한 연구가 북극권에 방문한 여행객들의 신발을 조사한 결과, 여행객 1명 당 3.9개의 씨앗을 옮겨왔다고 합니다. 이는 연간 27만 개의 씨앗이 유입되는 것과 맞먹으며, 조사된 씨앗 중 25%는 북극권 현지 기후에서 발아했다고 합니다. 또, 노르웨이 자연연구소(NINA)의 생태학자 제사민 바틀렛은 북극권에 몇 년 전만 해도 별로 없던 민들레의 개체 수가 크게 증가하여 약 8,000포기 이상의 민들레가 거대한 밭을 이루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온난화에 의해서도 생물들의 서식지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초, 극지연구소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 '유칼라누스 번지'가 북극해 인근에서 대량 발견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플랑크톤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배링해협 북쪽에 위치한 바다인 축치해에서 1당 평균 843마리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축치해에서 발견된 양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라고 합니다. 극지연구소의 김지훈·양은진 박사는 "대량 발견된 태평양 요각류는 북극 해양생태계에 온난화가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 척도"라고 하였습니다. 온난화로 인해 서식지를 옮기는 생물이 많아짐에 따라 이러한 생물종의 분류와 온난화로 이주한 생물들을 관리할 방법에 대해 학계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생태계의 구조가 복잡한만큼 이처럼 인간과 온난화로 인해 생각치도 못한 생태계의 변화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북극권 지렁이의 경우, 한 번 유입되면 이를 없애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아 지렁이가 미치는 영향은 영구적이라고 합니다. 인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이기에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와 함께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노력이 요구됩니다!



> 3줄 요약 <
👆. 인간에 의해 북극권에 유입된 지렁이들!
. 북극권에 유입된 지렁이들의 활동이 지나친 토양 영양화, 태양광 반사 감소,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증가 시켜 지구온난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지렁이 외에도 인간 활동과 온난화로 인해 씨앗, 동물플랑크톤 등이 북극권에 유입되어 생태계 변화 초래!
같이 읽어 볼 거리
폭우 이후 부산을 덮친 역대급 악취 😣
올여름 부산에 역대급 폭우가 쏟아진 가운데,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가 흘러나와 인근 주거지역이 악취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근처 아파트 단지는 매립장과 800m 정도 떨어져 있으나, 주민들은 창문도 못 열고 잠을 설치거나 두통을 호소할 정도로 악취로 고통을 받았다고 합니다. 악취의 원인은 집중 호우와 매립물이 만나 약 2만t의 침출수가 형성되었으나, 폭우로 처리장에 과부하가 생겨 오염수가 고인 것이라고 합니다. 문제가 된 산업 폐기물 매립장은 1달 영업 정지 처분을 받았습니다.
아마존 화재로 호흡기 환자 급증 😷
최근 아마존 열대우림 화재로 인한 연기 때문에 주변 지역에서 호흡기 질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브라질의 아마존환경연구소(IPAM), 보건정책연구소(IEPS), 휴먼라이츠워치(HRW)의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 주변 지역에서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중 최소 2,195명이 열대우림 화재 연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은 아마존 열대우림이 화재로 파괴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함께할 거리
🔴On-Air 도와줘요 쓰레기박사
자원순환의 날과 '도와줘요 쓰레기박사' 1주년을 기념한 유튜브 라이브가 9월 6일 (일) 3시 진행됩니다! 놀러오셔서 쓰레기박사님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위클리어스는 매실, 킹크랩, 아현이 만들고
서울환경연합에서 발행합니다.

위클리어스를 계속 만나보시려면 구독하기
지난호를 보고 싶다면 최신 뉴스레터 보기
이메일을 더이상 받고 싶지 않다면 수신거부
궁금한 점이나 의견, 제안은 문의하기 클릭해주세요.
건당 3000원 문자후원 #2540-1000
서울환경운동연합 |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seoul@kfem.or.kr | 02-735-7088
서울환경연합 디지털 캠페이너 채용  
고용노동부에서 시행하는 '청년디지털일자리사업'의 일환으로 6개월 동안 서울환경연합과 함께 일할 2명의 청년을 찾습니다. 온라인 시민참여 캠페인/행사를 기획하고 운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