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ICA 협력으로 2015년부터 5년간 진행한 월드비전 방글라데시 모자영양증진사업 평가와 함의 도출하였다 제2호 모자영양증진사업의 통합적 접근사례
2021년 1월
|
|
|
이번 이슈브리프
한국국제협력단(KOICA) 협력으로 2015년부터 5년간 진행한 월드비전 방글라데시 모자영양증진사업의 평가 결과를 공유하고, 통합적 접근방식에 대한 사업적 함의를 도출한다.
🌍 #모자영양증진 #소득증대 #통합적접근 |
|
|
주요내용
Key Findings
월드비전과 존스홉킨스팀은 PD/Hearth와 소득증대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자료를 분석하는 동시에, 이들 프로그램 참여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영향 및 과정 평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장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방글라데시 모자영양증진사업 주요 성과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2018-2019년 2년 동안 사업지역 내 0-59개월 아동의 95%, 약 2만명에 대해 영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들 중 6-59개월 저체중 아동 11,984명과 그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PD/Hearth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성장에 필수적인 미량영양소도 함께 제공하였다.
- 그 결과, 3개 지역 내 사업에 참여한 5세 미만의 저체중 상태 아동 중 40%가 PD/Hearth 세션 참여 이후 6개월 시점까지 저체중 상태에서 회복하였다.
- 둘째, 소득증대 활동에 참여하는 수혜가구 별로 소득증대에 필요한 자산을 분배하고 그에 대한 관리법을 훈련하였다.
- 2019년 한해 2,960가구를 지원하였고, 참여자들은 사업참여를 통해 받은 자산을 유지하거나 증식하였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경제활동 경험은 여성 참여자들이 자존감을 높이고 가정 내 발언권을 가지고 지위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 영양상태의 개선이나 가구소득의 증가는 가족원들 간의 협조와 가족 구성원들의 자존감을 높이는데도 기여하였다.
Recommendations
- 분야 통합적 접근을 위해서는 통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시너지 성과가 무엇이며, 이를 위해 분야 간 어떻게 협업할지를 기획 시부터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분야 간 연계 및 협업은 사업참여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일선 직원 및 참여자 지지 체계도 함께 강화해야 한다.
- 아동의 영양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아동의 연령별 고려가 필요하다. 연령별 영양상태 개선율의 차이를 감안하여 저연령 아동의 영양문제에 대한 조기 발견 및 개입을 강화하고, 아동 연령별로 섭식 재료나 조리법 교육 등 서비스를 차별화해야 한다.
- 사업참여 여성이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데 있어 가족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장려하기 위해 다른 가족구성원, 특히 남편이 사업내용 및 목적에 대해 이해하고, 가시적인 영양 및 소득증대에 대한 성과를 알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소득증대 프로그램으로부터 창출된 소득을 아동 영양 증진에 활용하도록 본 사업의 목적을 알리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
|
|
이번 이슈브리프, 내가 알고 싶던 주제였다면!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84 (2021)에 기재된 논문 'Design of a collaborative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for a community-based nutrition project in rural Bangladesh'를 읽어보세요, 이번 이슈브리프 더 완벽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
월드비전 이슈브리프 Our Promise는 전 세계 모든 형태의 빈곤, 폭력, 불평등 감소를 위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여하는 월드비전 및 국제기구 파트너 협력 사업을 소개하고, 국제개발협력사업 및 정책에 함의를 제시하기 위해 발간됩니다.
발행인 조명환 발행처 월드비전
|
|
|
|
We suppor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