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차별곡선은 개인의 동일한 만족이나 효용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2021.06.08 님, 안녕하세요~😄 좋은 아침입니다. 우리 함께 경제공부를 한번 해볼까요? 혹시 여러분은 짜장면을 좋아하세요? 짬뽕을 좋아하세요? 아니면 볶음밥? 개개인의 선호는 다릅니다. 물론 저는 비 올 때는 짬뽕, 이사한 뒤에는 짜장면을 선호합니다.😆 이처럼 개인의 선호가 주어졌을 때 선택한 소비재 묶음이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짜장면 1그릇에 탕수육 10조각 같은 것이죠. 같은 효용을 가진다면 탕수육을 더 먹고 짜장면을 적게 먹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짜장면을 안 먹는다면 탕수육을 한 그릇 다 먹어야 할 수도 있고요. 모두 주어진 상황에서 본인의 총효용(지난 뉴스레터에서 얘기했듯이 ‘효용이란 우리가 재화나 용역 같은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을 측정하는 단위’입니다.)에 맞게 선택을 합니다. 짜장면을 많이 먹고 탕수육을 적게 먹거나 탕수육을 많이 먹고 짜장면을 적게 먹는다든가 하는 것이죠. 이런 선호를 연결한 곡선이 바로 ‘무차별곡선’입니다. 무차별곡선이라는 것은 각 소비재를 차별하지 않고 선호한다는 뜻입니다. 탕수육을 적게 먹는다고 탕수육을 차별하는 것은 아닌 것처럼 말이죠.😅 소비자 선택에서 무차별곡선은 중요한 정보를 줍니다. 우선 무차별곡선의 기울기를 보면 그 사람이 어느 시점에서 무엇을 선호하는지 보입니다. 기울기가 가파르다는 것은 어느 특정 물건을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자면 탕수육을 먹기 시작할 때 탕수육이 맛있는 데다가 이제 먹기 시작해서 효용이 높기에 그런 효용을 대체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경제학적 용어로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MRS)’이라고 합니다. 한계대체율이 높을수록 기울기 변화가 크고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두 번째로는 가격이나 소득의 변화가 소비자의 선호를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줍니다. 돈을 많이 벌면 아무래도 선호하는 물건이나 수량도 늘어날 것입니다. 무차별 곡선도 하나의 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총효용에 따라 다양한 곡선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짜장면 1그릇과 탕수육 10조각을 총효용 1이라고 가정합시다. 짜장면 2그릇 탕수육 10조각은 총효용 2가 되는 것입니다. 만약 합리적 소비자라면 어떤 한계도 없으면 당연히 더 높은 효용을 선택할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무차별 곡선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이유는 바로 소득이나 가격이 영향을 미칩니다. 바로 이것을 ‘예산제약선’이라고 합니다. 위의 두 가지 정보를 통해 무차별곡선의 속성을 얘기할 수 있습니다. 1. 높은 무차별곡선이 낮은 무차별곡선보다 선호된다. - 총효용이 높은 무차별곡선이 선호되는 것이죠. 다시 말해 더 큰 만족을 주는 무차별 곡선을 선호하는 것이죠. 2. 무차별곡선은 우하향한다.
- 서로 다른 재화를 교환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만약 우상향한다고 가정하면 10개를 10개로 고스란히 바꿀 수 있다가 20개를 20개로 또 바꿀 수 없...;;😨 3. 무차별곡선은 교차하지 않는다.
- 이것은 그래프를 참고해보겠습니다. 만약 무차별곡선이 교차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그래프에 점 A와 B는 같은 곡선에 있으므로 만족 수준이 같습니다. 점 B와 C도 같은 선에 있으므로 만족 수준이 같습니다. 그렇다면 점 A와 C는 만족 수준이 같아야 합니다. 이것이 모순되기 때문에 무차별곡선은 교차하지 않는 것입니다. 4. 무차별곡선은 원점에 대해 볼록하다. - 이는 한계대체율과 관계있습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자신에게 많은 재화는 더 내놓으려 하고 적은 재화는 덜 내놓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무차별곡선은 총효용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소비자가 생각하는 최적의 선택은 무엇일까요? 바로 예산제약선과 맞닿는 무차별곡선이 최적의 선택입니다. ‘예산제약선’은 주어진 예산과 재화의 가격에서 소비자가 살 수 있는 재화 묶음을 보여주는 선이죠. 제일 첫 뉴스레터에서 첫사랑에 관해 얘기했습니다. 역시 첫사랑... 대체하기 쉽지 않죠? 한계대체율이 엄청나게 높다는 뜻입니다.😂 이
뉴스레터를 카카오톡으로 공유하세요!
[문제] 무차별곡선이 원점에 대해 볼록한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① 재화 및 서비스는 양이 많을수록 선호한다. ② 재화 및 서비스의 선호는 갑자기 변할 수 없다. ③ 재화 및 서비스가 골고루 섞여 있는 소비 묶음을 선호한다. ④ 모든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 묶음은 선호를 비교할 수 있다. ⑤ 소비 묶음 A보다 B를 선호하고 B보다 C를 선호하면 A보다 C를 선호한다. [해설] 소비자에게 동일한 만족을 주는 재화 묶음들을 연결한 곡선을 가리켜 무차별곡선이라고 한다. 표준적인 무차별곡선은 네 가지 특성을 갖는다. 먼저 고려 대상이 되는 소비 묶음의 모든 점은 그것을 지나는 하나의 무차별곡선을 가지고 곡선의 형태는 우하향하며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더 높은 효용 수준을 나타낸다. 또 무차별곡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소비자는 극단적인 소비 묶음보다 여러 상품이 고루 섞여 있는 소비 묶음을 선호하기 때문에 원점에 대해 볼록한 모양을 갖는다. 정답 ③ [문제] 두 재화 X, Y에 대해 한계대체율이 체감하는 무차별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 보 기 > 가. 원점에 대해 볼록한 형태를 띤다. 나. X와 Y의 합이 일정할 때, 극단적인 상품조합보다 X와 Y가 골고루 들어간 상품조합을 더 선호한다. 다. 동일 무차별곡선 상에서 한 재화가 적어질수록 다른 재화로 나타낸 그 재화의 주관적 가치가 커진다. 라. 동일 무차별곡선 상에서 두 재화의 한계효용이 항상 같다.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나, 다 ④ 가, 다, 라 ⑤ 가, 나, 다, 라 [해설] 한계효용이 항상 같은 무차별곡선은 한계대체율이 1로 일정하다. (완전 대체제) 정답 ③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 COPYRIGHT ⓒ 한국경제신문 ALL RIGHT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