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가 왔습니다 가정 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 식품은 1차 조리 및 손질이 끝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간편한 조리를 통해 신선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젊은 층에게 각광받고 있다. HMR 식품의 인기는 매출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데, 중국 아이미디어 리서치는 2021년 중국 HMR 식품 시장이 3,459억 위안(65조 460억 원)으로 작년 대비 18.1%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5,163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 보고 있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한국 HMR 식품들이 눈에 띌 만큼 시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트 상품 진열대에서 비비고, 풀무원 등 한국 대표 상표를 쉽게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대찌개, 삼계탕, 된장찌개, 왕만두, 치킨, 떡볶이 등 HMR 식품의 종류 또한 다양하다. 코로나19로 중단되었던 한류 현상이 언제 그랬냐는 듯 현대 중국인의 음식 문화 속에 스며들고 있는 것이다. 타제품 대비 한국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지 않음에도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유행한 근본적 이유는 제품의 질에 있다. 다시 말해, 한국 제품이 중국 젊은 소비자의 입맛까지 사로잡은 것이다.
Why is it?: [한류 문화에 익숙한 중국 청년들] 한국 HMR 식품이 중국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 한류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한 젊은 세대들이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일찍이 매체를 통해 한국 음식을 경험했고, 일상에서 그 경험을 확장했다. 즉 오랜 기간에 걸쳐 누적된 한국 음식에 대한 경험이 한국 HMR 식품이 중국 소비자의 관심을 얻는 발판 역할을 한 것이다. |
|
|
[한류의 영향을 받은 K푸드의 유행] 한중 수교 이래 무역 교류 및 관련 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중국에서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 수가 늘어났고, 일부 지역에서는 한국 식당들이 빼곡히 들어선 형태의 한인 타운이 형성되었는데, 한인 타운은 중국인이 즐겨 찾는 지역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보아도 될 정도라, 한국 음식은 중국인에게 이국적인 것이 아니다.
한편 예능, 드라마, 요리, 먹방 등의 영상 콘텐츠들 또한 한국 음식의 유행에 공을 세웠다. <냉장고를 부탁해>, <런닝맨> 같은 인기 예능을 통해 중국 청년 세대는 한국 음식에 대해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되었고, 음식을 이유로 한국에 여행을 가려는 현상도 크게 늘었다. 시기적으로 살펴보자면, 한국으로 가서 직접 음식을 맛보는 식도락 여행은 2010년 이후로 확연히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
|
|
[중국인의 소비 수준 향상과 음식의 질에 대한 추구]
중국 소비자의 소비문화 변화도 가정 간편식 K푸드 열풍을 설명할 수 있는 주된 이유가 된다. 최근 중국의 소비 경향은 식품의 양보다는 질적 향상을 요구하며 소비자가 이에 부합하는 식품에 선호를 갖는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한국 기업의 HMR 식품이 소비자의 시선을 끄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좋은 식품은 결국 소비자가 알게 되기 마련이다. 중국 시장에 진입한 한국 식품들은 이미 한국 시장의 검증을 받은 것들이다. 그래서 한국 기업들은 광고 공세를 크게 펼치지 않고도 입소문만으로 시장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 HMR 식품이 인기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30년에 걸친 시간에 있다.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문화가 중국으로 유입되었고, 경제 성장을 통해 오늘날 중국 소비자의 수준도 크게 향상됨에 따라, 한국 HMR 식품은 한국을 넘어 중국인의 기호에도 부합하게 된 것이다. |
|
|
(멤버십 회원 전용) 상품: 북코캐시 1만원 권 (10명) |
|
|
제887회 독서퀴즈입니다.
중국에서는 여가 생활로 한국 드라마, 한류 콘서트 등을 즐기는 것이 일상이었지만, 코로나19로 오프라인 공연과 한국 관광이 제한됨에 따라 한류 또한 일시적 중단 현상을 겪어야 했다. 그러나 2022년 현재, 한류는 중국에서 또 다른 형식으로 전파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집콕 생활이 시작되고 비대면 문화가 장기화됨에 따라 ‘가정 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출처: 『문화 트렌드 2023』 중에서)
① 가정 간편식(HMR)이란 1차 조리 및 손질이 끝난 상태로 포장된 식품으로 간편한 조리를 통해 신선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젊은 층에게 각광받고 있다.
② 중국의 HMR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비비고, 풀무원 등 한국 HMR 식품들도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삼계탕, 부대찌개, 떡볶이 등 식품 종류도 다양하다.
③ 예능, 드라마, 먹방 등 영상 콘텐츠는 중국에서 한국 음식이 유행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음식을 이유로 한국에 여행을 가려는 현상도 2010년 이후 확연히 늘어났다.
④ 최근 중국의 소비 성향은 질보다는 양의 향상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변화가 중국 내에서 K-푸드 열풍이 일어난 주된 이유가 되었다.
|
|
|
북코스모스 멤버십 회원이 되시면, A4 8페이지 분량의 도서요약본 6000종과 오디오북, 배송비만 내고 신간도서 받아볼 수 있는 문화도시락, 독서퀴즈 및 각종 이벤트 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회원님께서 북코스모스 뉴스레터 수신을 승낙하셨습니다. 메일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여기에서 로그인 후 <메일링 서비스>페이지에서 수신거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체사인 경우 사내 인트라넷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메일은 (주)북코스모스에서 발송한 발신전용 메일입니다. 관련 문의 사항에 대해서는 customer@bookcosmos.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409호 / 사업자등록번호 : 105-86-09858 (주)북코스모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322 현대 아이스페이스 1601호 02-335-2222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