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답게 잘 살기 위한 5가지 질문
PINK MARIE 52                             2022년 3월 25일 금요일 제6호 편지
  목표와 목적의 차이를 묻는 본질적 이유


  "목표와 목적의 차이를 알아?"

  "글쎄. 둘 다 비슷한 말인 것 같은데..."

  "사전에 보니까 목표는 Goal 이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의지를 가지고 하는 행동들을 말하나봐 . 반면에 목적은 목표 달성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인데, 난 이 두 단어가 자주 헷갈려. 특히, 일을 열심히 하는 데 집중하다 보면, 그 일을 처음에 하려고 했던 목적을 잊어버릴 때가 있는 것 같아. 내가 무엇때문에 이렇게 열심히 하고 있지? 잘 하고 있는 거 맞나? 하고 가끔 멈춰 서게 된 단 말이지. 요즘 특히 그래."

   

  "왜, 갑자기 그런 질문을 하는데?"

  "행복하기 위해 부자가 되는 것과 부자가 되어 행복한 것과의 차이가 궁금해서 말이야."

  "말장난하지 말고, 하고자 하는 말이 뭔데?"


  "어떤 젊은 부자가 처음엔 10억을 벌면 행복해질 줄 알았대. 그래서 열심히 돈을 벌어 10억을 모았대. 계획했던 것보다도 빠르게 말이야. 10억을 모으고 나서 더 행복해지기 위해 20억을 그리고 50억을 나아가 100억을 벌었대. 재미있는 것은 초기 10억을 벌었을 때 들었던 시간보다 10억에서 100억을 모을 때까지 걸린 시간이 더 적게 들었대. 그런데, 이상한 것은 10억을 달성하고서도, 20억을 달성하고서도, 50억을 달성하고서도, 100억을 달성하고서도 행복을 느끼는 순간은 한 달이 채 가지 않더래. 오히려 목표를 달성하고 나니 허무함이 들더래. 오히려 돌이켜보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몰입했던 지난 시간들이 행복했다는 것을 깨달았대. 그래서 그 젊은 부자는 목표를 다시 쓰게 된 거야. 1,000억 나아가 1조까지, 목표를 크게 세우기로 말이야. 달성하기 힘들 정도의 목표를 세우면 더 긴 시간 동안 행복함을 가질 것 같아서 말이지. 그리고 앞으로 대범하게 일을 하기로 다짐했대."


  "행복하기 위해 부자가 되었고, 부자가 된 후에는 행복을 더 이상 느끼지 못했다는 이야기야?"

  "꼭 그런 것은 아니고. 최근에 비슷한 경험을 나도 했거든. 부자는 아니지만, 계획했던 1단계 목표를 달성하고 나니까 행복과 만족을 느끼는 것은 정말 순간일 뿐이더라고. 또 한편으로는 행복하다는 감정을 가지는 것에 대해 나도 모르게 경계하거나 주저하더라고. 익숙하지 않은 감정이라고 할까."

 

  "넌 부자도 아닌데 왜 그런 고민을 해? 넌 지금도 충분히 행복하잖아"

  "응. 난 지금 삶에도 충분히 행복하지. 하지만 꿈꾸지 않는 삶은 재미가 없고, 목표 없는 삶은 의미도 없잖아. 그리고 나도 부자는 되고 싶거든."

  "그럼, 부자가 되면 되잖아. 뭐가 이리 복잡해. 단순하게 좀 말해 줄래?"

  "그러니까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자유롭고 행복한 삶은 누구나 원하는 바, 삶의 목적일 수 있겠지만, 부자 그 자체는 목표는 될 수 있어도 결국, 목적은 될 수는 없다는 것. 부라는 것이 일정 정도 충족되면 마음속에서 행복한 감정이 사라지니까 말이야. 그래서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조건으로 부자가 되어야겠지만, 진정 자신이 원하는 삶을 위해 어떤 꿈을 꿔야 하느냐는 조금 다른 차원이라는 거지."

 

  "그래? 그럼, 너는 어떤 꿈을 꾸고 있는데?"

  "그러게. 부자가 되기 위해 그렸던 그림들이 있었는데, 그것이 과연 어떤 의미가 있는지 스스로 묻고 있는 중이야.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이고, 달성해야 할 목표들을 어떻게 실행해야 하는지 되묻는 중이야. 그리고 왜 그 일을 하려고 했는지, 그 일을 어떻게 구상하게 되었는지, 지나온 삶 속에서 이유와 원인을 살피는 중이야. 삶의 목적성, 당위성, 필연성, 완결성을 찾는 중이지. 좀 더 멋진 꿈을 꾸고 싶어."

 

  "다 좋은데, 상념은 집어치우고, 우선 부자부터 되고 나서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어때? 그러려면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려보는 것은 어때?"

  "어? 그건 그렇군."


  목적과 목표의 사전적 의미(feat.네이버)


  목적(Purpose)

  1.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으로 삼음. 또는 그 대상.

  2. 도달해야 할 곳을 목적으로 삼음. 또는 목적으로 삼아 도달해야 할 곳.

  3. 행동을 취하여 이루려는 최후의 대상.

 

  목표(Goal)

  1.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

  2.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의 관념. 또는 목표로 향하는 긴장.

  3. 실천 의지에 따라 선택하여 세운 행위의 목표.


  목표를 이룬다고 성공하는 것도 행복한 것도 아니다.


  열심히 사는 것보다 행복하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을 이루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는 필요하지만, 구체적 목표에 집중하다보면, 왜 그 목표를 세웠는지 최초의 목적을 잊어버릴 때가 있다. 그것은 단순히 눈 앞의 목표를 위해 열심히 사는 것에 의미를 두다보면 종종 그런 현상이 나타난다. 행복하게 사는 것이 목적이라면, 사실 지금도 충분히 행복해 질 수 있다. 행복은 마음만 먹는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열심히 한다고 모든 이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성공 그 자체가 삶의 목적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나답게 잘 사는 것이다. 어쩌면, 목적과 목표의 차이를 묻는 본질적인 이유는 지금 자신의 삶이 어디쯤 와 있는지,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묻기 위함일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목적과 목표를 재정립할 것인가?


  나답게 잘 살기 위한 5가지 질문


  크게 5가지 관점에서 살피면 좋다.


  1. 나의 삶은 행복한가? = 목적와 목표 갭 측정하기

     원점에서 다시 생각해 본다.

     목적과 목표 사이의 갭을 측정해 보면 된다.

     목적과 목표 사이의 갭이 짧을수록 현재 자기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2. 나의 삶은 어디까지 왔는가? = 나의 생애 주기 설계하기

     방향점을 다시 살펴본다.

     자기 생애의 주기(Life Cycle)을 넓게 펼쳐 보고, 생애 주기에 맞는 라이프 스타일을 재조정한다.

     라이프사이클은 자기 삶에 맞게 네이밍을 조정하거나 관점을 새롭게 할 수 있다.

     만약, 지금 삶의 터닝포인트라고 느낀다면, 인생 2단계 시작!

     이렇게 시기를 구분하고 새로운 시작을 정의내릴 수 있다.

     단기적 관점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새롭게 인생을 프레이밍해 보는 것이 좋다.


  3. 나의 행동은 가치가 있는가? = 목표 가치 측정하기

     행동점을 다시 살펴본다.

     지금 하고 있는 행동이 삶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살피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처음에 세운 목표를 얼마만큼 달성했는지 살펴 보면 된다.

     이미 달성했다면 자신에게 대한 칭찬과 선물을 주면 좋다.

     만약 미달했다면 무엇이 문제였는지를 면밀히 살핀다.

     그리고, 다시 목표를 높이거나 조정하면 좋다.


  4. 나의 마음은 평온한가? = 긴장감 측정하기

     마음점을 다시 살펴본다.

     지금 하고 있는 일들이 마음에 드는가를 살핀다.

     변화를 통한 성장을 원하는지, 안정을 통한 성장을 원하는지 등을 살펴본다.

     일정 정도의 긴장감은 당신 삶의 활력을 줄 것이다.


  5. 나의 삶의 속도는 적당한가?

     기준점을 다시 살펴본다.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고 행복하게 성공하려면, 자기 삶의 속도를 알아야 한다.

     몸이 부서질정도로 열심히 해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더라도 그 행복이 얼마나 지속되겠는가?

     중요한 것은 지치지 않고 꾸준히 할 수 있는 자기 삶의 속도를 찾는 것이다.

     행복하게 성공하기 위해서는 남과 비교할 수 없는 자기다운 마음와 행동스타일을 찾는 것이다.

     그리고, 즐겁게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다.


                                                     

PINK MARIE 52 
자기다움, 자기다운 일, 자기다운 삶을 발견하는 이야기
🎁 1년 52주, 주 1회 씁니다.

🎁 1년 12달, 매월 2회 띄웁니다.


MARIE BUSINESS SCHOOL
서울시 종로구 옥인 2길 17-4 B01호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