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님. 책 속의 문장으로 만나는 뉴스레터, 텍스처 픽입니다. 식물에게 배운다, 두 번째 이야기 "키를 낮추면 우리 밑에 떨어져 있는 작은 행복이 더 잘 보인다." - 오경아, 『소박한 정원』 안녕하세요. 책 속의 문장으로 만나는 뉴스레터, 텍스처 픽입니다. 정부가 지난해 코로나 19 자가격리자를 위한 '식물 마음 돌봄 키트'를 제공했습니다. 식물이 삶에 위로가 될 수 있을까요? 사회적 거리두기로 나들이 떠나기 쉽지 않은 요즘이지만, 강인한 생명력을 품은 식물 이야기가 담긴 문장을 모아 읽으니 힘이 됩니다. 님, 함께 읽어요. 🔍 책 표지 이미지와 『책 제목』을 클릭하면 네이버책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interview 식물세밀화가/작가 이소영 bookmark 이소영 작가가 밑줄 그은 문장 + 함께 읽어요 unboxing 이 주의 신간 소비
읽기를 통해
성장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그들이 추천하는 책과 문장들을 만나보세요 나무, 과학, 그리고 사랑 식물세밀화가/작가 이소영 ⓒ 이소영 “들여다보면 볼수록 더 많은 것이 보인다. 관찰하면 할수록, 안으로 들어갈수록, 더 넓은 세계가 있다는 걸 식물을 통해 깨우친다." - 이소영 『식물 산책』 식물세밀화가이자 식물 연구자, 『식물 산책』, 『식물의 책』을 쓴 작가, 네이버 오디오클립 <식물 라디오> 진행자… 여러 통로로 식물 이야기를 보여주고 들려주는 이소영 작가는 말합니다. 식물을 자세히 들여다보며 더 넓고 큰 세계를 이해하게 되었다고요. 그러니 더 가까이, 다가가서 들여다봐도 좋겠습니다. - 식물세밀화란 무엇인가? 식물세밀화는 식물의 형태를 그림으로 그린 기록물이다. 어느 계절에 식물도감을 봐도 식물 이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페이지에 뿌리, 줄기, 가지, 잎, 꽃, 열매 이 모든 기관이 다 들어 있어야 한다. 중요한 건 식물세밀화는 '과학 일러스트'라는 점이다. 식물 연구 과정에서 그리는 그림이기 때문에 아름답게 그리거나 사유를 담아 그리는 그림이 아니다. - 어떻게 그리나? 네 개의 계절을 한 장의 그림에 모두 담을 수 있나? 식물세밀화는 식물의 특징은 강조하고 환경 변이(찢어진 잎 등)는 축소해서 그린다. 그리는 사람의 눈을 한 번 거친, 편집이 이뤄진 그림이다. 어떤 걸 삭제하고 강조해야 하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식물을 잘 알아야 한다. 계절마다 식물을 관찰한다. 여름에는 무성한 잎을 보고, 꽃이 피거나 열매, 겨울눈을 맺는 시기에도 직접 눈으로 식물을 보고 채집한다. 그렇게 몇 장의 스케치를 그린 후에 다시 배치해서 그림 한 장으로 완성한다. 사진과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사진이 옥상에 핀 민들레를 사진 한 장에 찍는 것이라면, 식물세밀화는 너른 지역에 핀 수십수백 개의 민들레를 모두 관찰해서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점을 강조해 한 장의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 식물세밀화가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이 있다면? 평생동안 식물을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인내심, 반복되는 것을 오랫동안 할 수 있는 끈기, 식물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마음. 어느 하나의 식물을 수십 년간 반복해서 보아야 한다. 내게도 2009년에 스케치하고 아직도 완성하지 못한 그림이 있다. 이 그림도 고쳐 그려야 한다. 시간이 흘러 할머니가 되어서 다른 장소에서 이 그림 속 식물을 더 많이 보았을 때, 내가 그린 그림이 틀렸다면 수정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미 출간한 책에도 최신 정보를 꾸준히 업데이트하고 있다. - 요즘은 어떤 작업물에 가장 관심을 가지고 계절을 지나고 있나? 식물연구기관과 식물학자와 일하는 게 기본이고, 시간이 나면 개인 작업도 한다. 지난해부터 경상북도 봉화에 위치한 백두대간수목원과 협업하고 있다. 이곳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시드 볼트(Seed Vault, 식물 종자의 연구와 보존을 위한 씨앗 저장소)를 보관하고 있는 곳이다. 사과로 유명한 봉화에 갈 때마다 사과 품종을 그리는 작업도 계속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에 있는 식물을 기록하는 개인 작업을 하면서, 다음 책 출간도 준비하고 있다. - 책, 신문 칼럼 연재, 네이버 오디오클립 등 식물 이야기를 꾸준히 해오고 있다. 식물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이나 반응이 달라진 걸 느끼나? 국립수목원에서 근무했던 10년 전과 비교하면 완전히 다른 분위기다. 그때는 식물 하면 농사, 중장년층의 취미 생활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원예학과에 입학했을 때에도 비슷한 말을 들었다. 그런 편견을 깨고 싶었다. SNS에 내 시선으로 보는 식물 이야기를 하며 조금씩 목소리를 냈다. 오디오클립을 시작한 2017년, 첫 책을 펴낸 2018년쯤 식물에 대한 관심이 치솟았다. 20~30년 후에는 식물과 관련한 일이 주목받으리라 예측했는데, 불과 10년 사이에 많은 것이 바뀌었다. 공기가 안 좋을 때 공기 정화 식물을 찾고, 식량 문제로 도시 텃밭을 가꾸는 사람이 생기고, 질병 문제가 이슈화되었을 때는 면역력 좋은 식물을 찾는다. 코로나 시대 이전에도 이런 흐름이 있었다. 사람들은 결국 식물과 연결되어 있다. - 첫 번째 책 『식물 산책』에 식물을 둘러싼 세계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면, 두 번째 책인 『식물의 책』은 도시식물을 다룬다. 왜 도시식물인가? 식물학자들은 멸종위기식물, 희귀식물, 특정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표본을 채집한다. 예를 들어 특산식물, 멸종위기식물, 희귀식물에 모두 해당하는 구상나무 표본은 많다. 그런데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은 잘 기록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 할 수 있으니까, 이미 누군가 했겠거니 하는 마음에…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일수록 더 모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간 펴낸 책(『식물 산책』, 『식물의 책』)과 오디오클립 <식물 라디오>가 식물에 관한 입문서 같은 역할을 한다면, 앞으로는 특정 식물군에 대해 더 깊숙이 이야기해보고 싶다. - 그중에서도 먼저 다뤄보고 싶은 게 있다면? 잡초. 심지 않았는데 스스로 자라는 식물. 잡초라고 부르지만 실은 다 이름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예쁘다. 꽃집에서 볼 수 있는 식물 중에도 원종이나 친척뻘인 종이 잡초인 경우가 많다. 관심이 덜한 식물에 빛을 비추는 게 식물학을 연구하는 사람의 역할이다. 식물 연구는 결국 식물 종 보존을 위한 것이기도 하니까. 연구자들이 연구만 할 게 아니라 식물을 소개하고, 결국 사람들이 그 식물을 사랑해줘야 보존할 수 있다.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식물세밀화가 아닐까. - 작업실 풍경, 식물 사진 등을 기록한 인스타그램(@soyoungli)이 하나의 아카이브 같다. 기록하는 마음이란? 식물세밀화를 그리면서 식물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버릇이 세상을 보는 시선이 되었다. 같은 식물 일을 해도 식물세밀화가인 나는 식물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사진을 찍지만, 조경가는 식물 하나가 아니라 전체를 사진에 담는다. 식물분류학자는 식물 한 종 한 종을 들여다보기 때문에 식물의 분류 키가 되는 작은 부위까지 사진을 찍고, 식물생태학자는 숲을 보는 사람이기 때문에 숲 전체 모습을 담아낸다. 내 시선으로 보는 식물을 꾸준히 기록하고 싶다. 매일 감사하는 마음으로 아침 식사 사진을 찍는 분들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 식물은 아름답고, 고마운 존재다. - 이소영 작가를 성장하게 한 책과 문장이 궁금하다. 📚 이소영의 문장들
식물과 정원을 바라보는 시선에 깊이를 더해준 대학교를 막 졸업하고 첫 직장인 국립수목원에서 일하던 사회 초년생 시절, 점심 시간에 수목원의 너른 정원을 바라보며 이 책을 읽곤 했다. 정원을 만드는 사람의 수고와 마음, 정원에 심긴 식물 각자가 지닌 사연은 미래의 내가 식물과 정원을 바라보는 시선을 넓고 깊이 있게 만들어주었다.
자연과 더불어사는 삶을 구체적으로 그려본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가 건네는 따끔한 일침 🔍 인터뷰 전문과 더 많은 추천 도서를 확인해보세요. 인터뷰이가 추천한 책과 함께 읽으면 좋을 문장들을 제안합니다
계절이 바뀌는 시기, 주위를 둘러보면 출근길의 나무도 베란다의 화분도 조금씩 옷을 갈아입었습니다. 고요해 보이는 식물들은 실은 분주하게 시간의 흐름을 따르고 있습니다. 식물을 사랑한 가드너들의 책에서 위로의 문장을 찾아보세요.
큰 나무로 자란 여성 과학자들의 목소리 이소영 작가는 대학생 때 이유미 박사가 쓴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를 읽고 언젠가 광릉 숲에서 일하고 싶다는 꿈을 품었습니다. 그리고 그 꿈을 이뤘죠. 앞서 길을 걸어간 사람이 눈앞에 보이면, 그 꿈은 구체화됩니다. 커다란 나무로 자란 여성 과학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볼까요?
두근두근, 이 주의 신간 소비
지면을 뚫고 나오는 생생한 에너지 texture.pick을 추천하려면? 지난 뉴스레터가 궁금하다면? 오늘의 texture.pick은 어땠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