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아가 유넵은 2040년까지 경제 발전과 산업화, 도시화 등으로 인해 에너지 수요가 30% 증가할 것으로 보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장 긴급함을 밝혔습니다.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강조했지만 이 과정이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함 또한 강조했습니다. 화석연료가 전세계적으로 가장 보편화 되어있는 에너지 중 하나이지만, 실제로 이로 인해 심각한 탄소배출량을 보이는 국가는 10-11국가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강력한 제재와 정책이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의 에너지 전환이 요구됩니다.
희망의 메시지, 자연 복원을 통한 이산화탄소 제거🌳
지난 10년간의 보고서를 살펴보면 꾸준하게 자연 복원을 통한 회복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삼림관리와 농업, 녹지 확보 등이 여러 차례에 걸쳐 설명되어왔는데요, 이를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함 또한 강조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보호구역을 지정하거나 관리 기준을 강화, 환경세 부과 등을 통해 자연이 복원된다면 기존의 이산화탄소 제거에 대한 긍정적인 가능성을 제시하며 마무리를 합니다.
비록 보고서의 많은 부분은 기존의 정책이 우리 사회의 발전과 도시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음을 여러 자료를 근거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희망을 버리지 않고 계속해서 노력해나가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냈습니다. 앞으로의 십년은 환경과 사회의 변화 양상을 함께 고려하며 이에 발 맞춘 다양하고 효과적인 정책이 만들어지기를 희망합니다! "파리협정을 실행가능케하기 위해서는, 세상은 다음 10년을 잃어서는 안된다."
"If the Paris goals are to be kept viable, the world cannot afford to lose another deca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