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일본 사용자의 UI/UX 특성과 행동 패턴은?
힐링페이퍼(강남언니) 임현근 일본법인 대표
일본 사용자들은 정보량이 많은 UI를 선호하고 캐릭터 유무에 따라 선호도가 크게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강남언니' 플랫폼의 경우 한국 사용자들은 서비스의 이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반면, 일본 사용자들은 직관적으로 보이는 홈페이지의 기획전 클릭 횟수가 더 높았습니다. 이는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진짜 고객의 UI/UX 선호와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Q2. 일본 소비재 커머스 플랫폼의 고객 특성과 마케팅 전략은?
라이오니스(前 라인웍스 일본사업 담당) 허성욱 대표
일본에서는 문화적으로 '신뢰할 만한가', '나와 비슷한 사람이 사용하는가'를 중요시합니다. 라인웍스 재직 당시 초기 현지 마케팅 전략으로 100개의 고객 사례를 만들어 홈페이지 게시를 통해 우리의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주고자 노력했습니다.
Q3. 일본 시장에서 기업 고객 확보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속도 조절은?
라쿠텐벤처스 장수정 파트너
Case by Case 이기는 하나 기업과의 협업/파트너십을 맺는 것은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한두 번의 만남으로 파트너십을 맺기 어렵기 때문에 현지 기업과의 협업과 파트너십은 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업 입장에서 스타트업의 스케일업을 도울 수 있어야 하고, 반대로 스타트업은 기업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는지 명확해야 합니다.
위의 질문 및 답변 이외에도 다양한 인사이트들이 전달되었는데요,
뉴스레터에 담지 못한 추가 질문 및 패널들의 더 자세한 답변이 궁금하시다면? Click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