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e%$님께 블록체인, 암호화폐 업계의 주요 이슈와 소식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가상자산 시장 최근 주요 이슈 📍 트위터 CEO 물러난 잭 도시, 비트코인에 올인하나 📍 가상자산 거래 시장에 군침 흘리는 기성 자본들 📍 한국 게임에 1조원 쏜다! 큰손으로 부상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 트위터 CEO 물러난 잭 도시, 비트코인에 올인하나 트위터의 창업자이자 CEO인 잭 도시가 갑자기 사임을 발표했습니다. 트위터의 CEO 답게 트위터를 통해 공개했는데요. 100% 자의로 결정한 데다가 아무런 조건을 달지 않아 업계에 더욱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의 사임, 아무래도 비트코인에 올인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잭 도시는 인터넷 업계에서 이미 유명한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 즉 비트코인에 진심인 사람입니다. 그의 비트코인 지지는 단순히 선언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잭 도시가 창업한 또다른 회사, 그리고 시가총액만 보면 트위터의 두배가 넘는 핀테크 전문회사인 스퀘어는 현재 비트코인과 관련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비자, 마스터와 같은 다른 결제 회사들이 결제 옵션의 하나로 암호화폐를 추가하는 것과는 좀 다른데요. 채굴부터 시작해서 새로운 형태의 탈중앙화된 비트코인 거래소 구현까지 엄연한 암호화폐 업계의 일원으로서 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를 과감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잭 도시는 트위터 CEO에서는 사임했지만 스퀘어 대표직은 여전히 계속할 계획입니다. 트위터에 비트코인 후원 등 다양한 암호화폐 연관 기능을 적용했지만 역시 암호화폐의 핵심은 결제, 그리고 금융입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백서에도 명백하게 기술돼 있기도 하지요. 그는 스퀘어의 대표로서, 그리고 순도 100%의 비트코인 지지자로서 좀 더 열의 넘치는 활동을 하기 위해 트위터 CEO에서 물러난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아직도 많은 프로젝트가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도 달성하지 못한 비트코인의 플랫폼화를 그가 과연 해낼 수 있을까요? 그의 사임에 암호화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가상자산 거래 시장에 군침 흘리는 기성 자본들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안 시행 이후 가상자산사업자(VASP) 신고 수리를 매개로 가상자산 거래 시장이 제도권으로 편입되자 여러 기성 자본들이 이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습니다. 실명계좌를 확보한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4대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이미 모두 기성 자본과 손을 잡았습니다. 여기에 VASP 신고 수리를 받은 사업자가 늘어나면서 다른 거래소에도 자본의 시선이 닿고 있습니다. 4대 거래소와 기성 자본과의 결합의 가장 최근 사례는 바로 SK스퀘어의 코빗 투자입니다. SK스퀘어는 SK그룹이 무선통신과 반도체, 정보통신 사업을 각각 나눠 육성하기 위해 SK텔레콤에서 분사시킨 회사입니다. 분할 상장 첫날인 지난 11월 29일 코빗에의 900억원 투자와 3D 디지털휴먼 개발사인 온마인드에의 80억원 투자를 밝혔죠. 코빗은 지난 2017년 넥슨에게 인수되면서 기성 자본이 최초로 인수한 가상자산 거래소가 됐는데요. 이번 투자 유치로 국내 재벌에게도 투자를 유치한 최초의 거래소라는 명칭도 획득했습니다. 여기에 최근 위메이드는 빗썸의 최대 주주사인 비덴트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기도 했구요. 코인원은 게임빌의 수백억원대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습니다. 업비트는 사업 확장의 수단으로 하이브, JYP 등 다양한 기업들과 지분 스왑을 하고 있구요. 이처럼 다양한 기업들이 거래소들의 주주로 참여하면서 그동안 탈중앙화에 걸맞지 않게 여러모로 불투명한 상태였던 거래소들의 사업 현황들도 개선되길 기대해봅니다. 거래소가 비트코인을 사고 판다고 그 자체가 탈중앙화돼 있는 것은 전혀~ 아니거든요. 📍 한국 게임에 1조원 쏜다! 큰손으로 부상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메타버스 열풍을 등에 업고 안그래도 고도 성장중인 국내 게임 업계에 또다른 큰손이 등장했어요. 바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회사인 갈라 게임즈에요. 해외에서도 블록체인 게임 분야에서 성공 가도를 달려온 갈라 게임즈가 한국 게임 시장에 진출을 선언하고 10억달러, 한화로 약 1조1000억원 규모를 게임 개발에 투자하겠다고 밝혔어요. 국내 게임 업계는 메타버스라는 트렌드, 그리고 그동안 국내 게임 시장을 장악해왔던 리니지라이크류의 게임들의 쇠퇴가 맞물리면서 변화의 조짐이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보이는 상황이에요. 사용자들의 변화에 대한 요구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구요. 여기에 블록체인 게임이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 블록체인판 스팀을 표방하는 갈라 게임즈가 얼마나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도 관전 포인트라고 할 수 있어요. 사실 갈라 게임즈가 우리나라 게임 시장에 주목하는 첫번째 이유는 바로 e-스포츠입니다. 전세계 어디에서도 e-스포츠 열풍이 이처럼 거센 곳은 찾아볼 수 없거든요. 바다 건너 중국이 있지만 한국은 여러모로 e-스포츠 종주국이라는 자부심이 있고 그만큼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기도 합니다. 블록체인을 통한 게이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표방하는 갈라 게임즈가 더 많은 활동을 펼치기에도 적합한 곳인 것이죠. 블록체인 게임은 아직 여러 규제 문제가 있지만 우회 또는 협의로 풀어나갈 여지도 분명히 있다고 봐요. 갈라 게임즈의 투자가 e-스포츠와 연계한 새로운 게임 트렌드의 마중물이 될지 큰 기대를 갖고 지켜봐야겠습니다. 📍 Today's Featured Report ![]() Grayscale - ‘The Metaverse-Web 3.0 Virtual Cloud Economies' report -글로벌 암호화폐 투자기업 그레이스케일의 메타버스 보고서는 메타버스 시장 가치가 추후 몇 년 내 1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보고서는 미래 메타버스 가치를 견인하는 요소로 토큰과 통합된 메타버스 플래폼, 스테이킹 및 DeFi 상품, NFT, 분산 거버넌스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을 언급. 또 디지털 취미에 소비하는 금액이 늘어난 점과 프리미엄 게임에서 무료 게임으로의 사용 변화, 웹 3.0 혁신 등이 메타버스 시장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가상 세계 기반 게임의 글로벌 수익은 2020년 총 1800억 달러, 프리미엄 지출은 약 400억 달러를 차지해 2025년까지 400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
-그레이스케일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암호화폐에 대한 총 자금 82억 달러. 이중 18억 달러는 웹 3.0과 NFT에 사용됨. 또 게임 앱 전반적인 자금 거의 10억 달러를 기록. 🙏 이 링크를 복사해서 $%name%$님 친구들에게 디스트리트 뉴스레터를 소개해주세요 *디스트리트 뉴스레터에서는 가능한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뉴스레터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참고용이며,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판단과 그에 따른 결과는 모두 구독자 개인에게 귀속됨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식회사 디스트리트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27, 대륭서초타워 17F Unsubscrib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