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 보이는 수장고 공개 심사 결과 | 헤르조그&드 뫼롱 | 전시 공간 |
지난 주에 진행된 '서리풀 개방형수장고 지명설계공모' 공개 심사의 결과로, 헤르조그&드 뫼롱의 설계안이 당선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3XN, (주)유현준건축사사무소, MVRDV, 포스터 앤 파트너스, OCA, 매스스터디스, 헤르조그&드 뫼롱 등 총 7개 팀이 초청된 이번 설계 공모는 현장 참가자와 실시간 중계 시청자의 높은 호응을 받았다고 합니다.
오늘 뉴스레터에는 예술품과 유물이 전시되는 방식에 대해 건축가의 고민을 엿볼 수 있었던 지난 프로젝트들을 소개합니다. 각 전시 공간에서 연말에 볼 수 있는 전시 소식도 함께 담았고요. 앞서 수장고를 개방했던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공원과 풍경으로서 주변과 공유되고자 했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의 경험을 되짚어볼 수 있는 권호는 2주 동안 무료로 열람 가능합니다.
 1 
스페이스K 서울
📍서울 강서구 마곡중앙8로 32

설계 매스스터디스

  진행 중인 전시  
유이치 히라코 여행

👉전시일정 2023.11.16. ~ 2024.02.04.
👉관람시간 10:00 ~ 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2 
송은문화재단 신사옥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441

설계 헤르조그&드 뫼롱

  진행 예정 전시  
제23회 송은미술대상전

👉전시일정 2023.12.13. ~ 2024.02.24.
👉관람시간 11:00 ~ 18:30
👉휴관일 매주 일요일
  진행 예정 전시  
KALEIDOSCOPE ROOM

👉전시일정2023.12.13. ~ 2024.02.24.
👉관람시간 11:00 ~ 18:30
👉휴관일 매주 일요일

 3 
서울공예박물관
📍서울 종로구 율곡로3길 4

설계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 송하엽 + 천장환

  진행 중인 전시  
〈사색사유(四色思惟)

👉전시일정 2023.10.20. ~ 2023.12.10.
👉관람시간 10:00 ~ 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4 
소현문(원더풀 우만)
📍경기 수원시 팔달구 월드컵로357번길 11-20

설계 아이디알 건축사사무소

  진행 중인 전시  
김대유 바람맞이 연습

👉전시일정 2023.11.10. ~ 2023.12.17.
👉관람시간 12:00 ~ 18:00
👉휴관일 매주 수요일

 5 
수연목서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주어로 58

설계 이충기 + 비앤드건축사사무소

  진행 중인 전시  
한영수 여름에서 겨울

👉전시일정 2023.09.20. ~ 2023.12.31.
👉관람시간
10:30 ~ 18:00(수~금) | 10:30 ~ 20:00(토) | 10:30 ~ 19:00(일)
👉휴관일 매주 월, 화요일

 6 
피케이엠플러스
📍서울 종로구 삼청로7길 40

설계 건축사사무소 오드투에이

  진행 중인 전시  
권진규 조각가의 릴리프

👉전시일정 2023.11.14. ~ 2023.12.16.
👉관람시간 10:00 ~ 18:00 (17:30 입장마감)
👉휴관일 매주 일, 월요일
  진행 중인 전시  
토비 지글러 파괴된 우상

👉전시일정 2023.11.17. ~ 2023.12.23.
👉관람시간 10:00 ~ 18:00 (17:30 입장마감)
👉휴관일 매주 일, 월요일

 7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서울 중구 세종대로 119

설계 터미널 7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주)

  진행 중인 전시  
건축가의 관점들: 건축과 환경적 실험

👉전시일정 2023.11.14. ~ 2024.02.25.
👉관람시간 10:00 ~ 18:00 (17:30 입장마감)
👉휴관일 매주 월요일

 8 
유동룡미술관
📍제주 제주시 한림읍 용금로 906-10

설계 ITM유이화건축사사무소

  진행 중인 전시  
바람의 건축가, 이타미 준〉

👉전시일정 2022.12.06. ~ 2024.06.16.
👉관람시간 10:00 ~ 18:00 (17:00 입장 마감) ※사전 예약 필수
👉휴관일 매주 월요일
⌛Re-visit SPACE  
*E-매거진은 2주 동안(12/08~12/21) 무료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SPACE(공간)」 2019년 02월호

📄호기심의 방이 열리다: 미술관 패러다임의 변화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수장고에 보존될 건축의 현실
「SPACE(공간)」 2013년 10월호

📄공원 같은 건축, 풍경 같은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축을 통해 본 역사문화자산보존의 갈등구조
📄북촌으로 가는 길과 국립현대미술관 속살의 역사는 변했지만 변하지도 않았더라
예술가와 공명하는 설계: 미술관이 예술가를 담기까지
18기 학생기자(김보경, 박민정, 박재아, 조범희)

일종의 ‘기념 미술관’으로서 한 개인을 집중하여 조명하는 미술관이 있다. 기념 미술관에서는 조명하는 예술가의 삶과 작품을 온전히 담아내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된다. 그 방법 중 하나가 미술관 설계다. 대표적 기념 미술관들은 어떤 방식과 요소를 통해 예술가를 담아내고 있을까?

미술관은 당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곳
글 정지돈

나는 화이트 큐브 추종자였다. 화이트 큐브에 대한 비판이 클리셰가 된 것 같은 요즘을 생각하면 전형적인 ‘미알못’(미술을 알지 못하다)인 셈이다. 그렇지만 블랙 박스를 사랑하는 씨네필이었던 내가 미술관의 화이트 큐브를 사랑하게 된 데는 실질적인 이유들이 있다.

📍Visit SPACE
건축가가 설계한 예술품·유물 전시 공간들을 지도에 담았습니다. 님의 지도에 저장해서 직접 방문해보세요!

지도 활용법
  1. 아래 '지도 페이지 방문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 페이지의 화면 하단 '지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연결된 지도 좌측 상단 '+리스트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4. 「SPACE(공간)」에 실렸던 프로젝트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월간 「SPACE(공간)」
spacemagazine00@gmail.com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52-20, 3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