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8|2021.09. 16 Editor’s Letter 안녕하세요. 안재형 기잡니다. 이번 주는 다른 때보다 시간이 더딘 것 같은데요. 어떠십니까. 전 추석 연휴 때문인지 허둥지둥 싱숭생숭 밍숭맹숭 오락가락하다 멍하니 하늘 보며 멍 때리곤 합니다.😅 어떤 분은 그러더군요. “그건 연휴 때문이 아니라 이미 가을을 타고 있는 것”이라고. 그랬거나 저랬거나 어쨌든 시간은 흘러 으뜸 명절이라는 추석이 코앞입니다. 오랜만에 가족과 함께 보내시는 시간(혹은 나 홀로 보내시더라도), 특별하고 즐거운 일들이 옴팡지게 이어지길 기원합니다. 열한 번째 <THE FLEX>는 ‘추석 음식’과 ‘슈퍼리치를 위한 하이엔드 아이템’으로 꾸몄습니다. 아, 💨Oh! My Sale 도 빠질 수 없죠. 추석 선물 소식 클릭하고 가시죠. 자, 그럼 출발하겠습니다!!! P.S 다음 주 <더 플렉스>는 한 주 쉬고 가려합니다. 명절이기도 하거니와 저희 <매경LUXMEN> 10월호 마감이 맞물렸거든요. 살짝 양해해주십시오. 더 알찬 소식으로 돌아오겠습니다.😘 <THE FLEX>는 💬Editor’s letter : 이 주의 트렌드 👑Brand Talk : 이 브랜드가 요즘 최고! 💍이주의 Pick : 핫 아이템 🏂Hot Spot : 이 곳도 모르고 트렌드세터라고? 😮궁금증 클리닉 : 구독자 여러분의 질문(레터)에 발품 팔아 답변하는 코우너! 💨Oh! My Sale : 각 브랜드의 세일 소식 등 다양한 내용을 전달합니다. 😮 궁금증 클리닉 도대체 왜 추석엔 토란국을 먹는 거죠? “추석연휴를 어쩔 수 없이 홀로 보내게 된 20대 직장인입니다. 다른 건 아쉽지 않은데 차례 지내고 둘러앉아 먹던 토란국이 너무 생각납니다. 특별히 좋아하는 것도 아닌데 추석에는 꼭 먹어야 하는, 나름 의식 같은 기분도 들고…. 맛도 있고… 그런데 토란국 파는 식당을 찾기가 쉽지 않더군요. 직접 만들어 볼까도 생각했지만 워낙 똥손이라. 도대체 왜 추석엔 토란국을 먹는 거죠? -an…19…@g….com 안기잡니다. 오만가지 질문에 대해 답을 찾는 궁금증클리닉에 잘 오셨습니다. 좋은 질문이네요. 저도 굉장히 좋아하는 음식입니다. 답을 찾다보니 마침 <매경LUXMEN>에 기고 중이신 음식평론가 윤덕노 님의 칼럼 중 아주 딱 맞는 칼럼이 있습니다. 찬찬히 읽어보세요. 무릎을 탁 치실 겁니다!!! 음식평론가 윤덕노의 음食經제 우리나라 전통 추석 음식은 송편과 토란국이다. 지방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추석 차례상에 토란국을 빼놓지 않는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조금 이상하다. 토란을 특별히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토란국은 평소 많이 먹는 음식이 아니다. 그런데 추석이라고 왜 특별히 차례상에 토란국을 차리고 먹는 것일까? 토란과 관련해 주목할 부분이 또 있다. 추석은 한국과 중국, 일본의 공통 명절이다. 전통 명절이니 나라마다 고유의 명절 음식이 다른데 우리는 ‘송편’, 중국은 ‘월병’, 일본은 ‘츠키미당고’라는 달떡이다. 한중일 삼국에서 공통으로 먹는 추석 음식도 있다. 특이하게도 세 나라 모두 추석에 토란을 먹는다. 물론 요리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토란이 한중일의 공통 추석 명절 음식인 것만큼은 틀림없다. 이유가 무엇일까? 우연의 일치에 불과한 것일까, 아니면 특별한 배경이 있을까? 토란과 관련된 한중일의 음식 문화를 비교하면 왜 추석에 공통으로 토란을 먹게 됐는지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우선 우리는 언제부터 추석에 토란을 먹었을까? 추석에 송편과 함께 토란국을 먹는다는 기록은 조선 말기, <농가월령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북어쾌 젓조기로 추석명절 쉬어보세/신도주 올벼 송편 박나물 토란국을/산사에 제물하고 이웃과 나누어 먹세” <농가월령가>는 다산 정약용의 둘째 아들 정학유가 헌종 무렵인 1843년에 쓴 가사다. 지금은 추석 때 외에는 토란을 잘 먹지 않지만 토란이 추석 명절 음식으로 자리 잡은 것을 보면 <농가월령가>가 쓰여 진 170년 전에는 토란을 일상적으로 많이 먹었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옛 문헌을 보면 우리 조상들은 평소 토란을 많이 먹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정학유의 부친인 다산 정약용도 특히 토란을 많이 심는 까닭은 입맛에 맞기 때문이라고 했고, 광해군 때 허균 역시 땅에서 나는 음식 중에서 토란보다 맛있는 것은 없을 것이라며 옛 시인의 글을 인용해 토란 예찬론을 펼쳤으니 옛날 사람들은 토란을 무척 좋아했던 모양이다. 조선 초기 중종 때 문헌인 <용재총화>에 한양에서는 청파와 노원 두 역참에 토란이 잘된다는 기록이 보이니 조선 초기에는 한양 근교에 대규모 토란 밭이 있었다는 소리다. 고려 때 의학서인 <향약구급방>에도 토란이 보이고, 13세기 고려 때 시인 이규보도 시골에서 토란국을 끓여 먹었다는 기록과 14세기 목은 이색이 두부 반찬에 토란을 배불리 먹었다는 시를 남긴 것을 보면 고려와 조선에서는 토란이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평소에 많이 먹는 식품이었으니 추석이 되면 토란 수확을 기념해 토란국을 끓여 차례상에 올렸을 것이다. 중국인도 추석인 중추절에 토란을 먹는다. 물론 땅이 넓은 중국 전역에서 모두 토란을 먹지는 않는다.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화베이 지방에서는 추석이라고 특별히 토란을 먹지 않는 반면 상하이 이남의 화동과 광저우를 중심으로 한 화난 지방에서 중추절에 절대 빠져서는 안 되는 명절 음식이 토란이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이유는 토란이 덥고 물이 많은 지역에서 자라는 작물이기 때문이다. 광저우와 같은 곳에서는 중추절이면 보름달을 보며 토란 껍질을 벗겨 먹는다. 귀신의 껍질을 벗기는 의미라고 하는데, 이렇게 토란을 먹으면 나쁜 기운을 피하고 재난을 막을 수 있다고 믿는다. 상하이와 항저우 같은 곳에서는 옛날부터 중추절에 토란을 먹어야 운이 트인다고 믿었다. 중추절에 토란을 먹으면 왜 귀신을 물리치고 운이 트인다고 믿었던 것일까? 토란을 뜻하는 중국어 위나이(芋奶)와 운이 트인다는 뜻의 윈라이(運來)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토란과 관련된 중국의 옛 전설과 기록을 통해서도 짐작해볼 수 있다. 1세기 후한의 광무제가 한나라를 중흥시킬 때 역적 왕망에게 패해 산으로 도망갔다 포위당했다. 군량마저 떨어져 군사들이 굶주리고 있는데 설상가상으로 왕망이 산에 불을 질러 화공을 펼쳤다. 그런데 갑자기 비가 쏟아져 산불이 꺼졌고 흙 속에서 맛있는 냄새가 풍겼다. 땅을 파헤쳐 보니 토란이 마침 알맞게 익었다. 토란을 캐먹고 힘을 낸 광무제의 군사들이 사기가 올라 왕망을 공격해 마침내 승리를 거뒀다. 이날이 바로 음력 8월 15일 중추절이었다. 중국에서 추석에 토란을 먹게 된 유래다. 중국의 중추절 토란 유래야 믿거나 말거나지만 분명한 것은 토란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이다. 백성을 굶주림에서 구해주는 식량이자 중요한 양식으로 여겼다. 사마천의 <사기> ‘항우본기’에는 항우의 병사들이 전쟁터에서 토란을 먹으며 싸웠다는 기록이 보이고, ‘화식열전’에는 촉나라 민산의 기름진 평야에 토란이 자라고 있어 이곳 사람들은 흉년이 들어도 굶지 않는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이렇게 토란은 옛날 중국에서 구황작물이면서 일상적으로 먹는 양식이었다. ![]() 일본은 명절에 토란 음식을 많이 먹는다. 설날에 해당하는 정월(お正月) 떡국에 토란을 넣는데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도쿄 등 간토 지방은 쌀떡 중심이지만 교토 중심의 간사이 지방은 떡과 동시에 토란을 넣고 남쪽은 아예 떡을 넣지 않을지언정 토란은 넣는다. 추석에도 토란을 먹는다. 먹는 정도가 아니라 추석이라는 명절 이름부터가 토란과 관련이 깊다. 일본은 추석으로 흔히 양력 8월 15일인 오봉절(お盆節)을 꼽는다. 조상님께 차례를 올리고 온 가족이 고향을 찾는 명절이라는 점에서는 오봉절이 추석과 비슷하지만 기원과 유래, 그리고 날짜로 보면 음력 8월 15일인 중추의 보름달(中秋の名月) 혹은 십오야(十五夜)가 추석과 더 가깝다. 지금은 거의 잊혀져가는 명절이라지만 예전에는 이날 보름달을 감상하며 츠키미당고(月見団子)와 토란을 먹었다. 특히 중추의 보름달에 먹는 음식으로 츠키미당고보다는 토란에 더욱 방점이 찍혔다. 그런 만큼 명절 이름인 중추의 보름달을 다른 말로 우명월(芋名月), 이모메이게츠라고 했는데 이모(芋-いも)는 토란, 메이게츠(名月-めいげつ)는 보름달이니 추석을 토란 보름달이라고도 부른 셈이다. 그런데 왜 추석과 토란을 연결지었을까? 옛날 일본 추석인 중추의 보름달은 추수감사의 의미가 깊었다. 수확의 기쁨과 풍년이 되도록 도와준 하늘에 감사의 제사를 지내는 명절이었는데 명절 음식으로 토란을 먹고 명절 이름도 별칭으로 이모메이게츠, 토란의 보름달이라고 한 것은 토란이 그만큼 중요한 농작물이었다는 소리다. 일본에 토란이 전해진 것은 기원전으로 토란은 쌀이 전해져 벼농사가 널리 퍼지기 전까지 고대 일본인의 주식이었다고 한다. 때문에 일본에서 추석이면 그해 농사를 지어 수확한 토란을 하늘에 바치고 제례 음식으로 먹었던 것이 일본 추석 토란의 기원이라는 해석이다. 토란이 얼마나 중요한 식량이었는지는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사용하는 토란이라는 작물 이름의 어원에서도 엿볼 수 있다. 우리말 토란은 ‘흙 토(土)’에 ‘달걀 란(卵)’으로 땅에서 나는 달걀이라는 뜻이다. 마치 흙속에 묻힌 달걀처럼 생겼다는 의미와 함께 영양이 풍부하다는 뜻도 있다. 그만큼 토란의 영양가를 높게 평가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토란을 위나이(芋奶) 혹은 위터우(芋頭)라고 한다. 위나이는 ‘토란 우(芋)’에 ‘젖 내(奶)’자로 우유 빛깔 토란 색과 맛을 강조한 것이고, 위터우는 ‘머리 두(頭)’자를 써서 토란의 생김새를 강조했다. 그런데 토란 우(芋)자 역시 의미가 깊다. 2세기 무렵 한자 사전인 <설문해자>에는 놀랍다는 뜻에서 비롯된 글자라고 풀이해 놓았다. 잎이 크고 결실 또한 크기 때문에 그 생김새를 보고 놀라는 모습에서 생긴 글자라는 것이다. 토란이 고대 중국에서 중요한 양식이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끼니를 해결해 줄 커다란 토란을 캐내며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농부의 모습이 그려진다. 일본어로 토란은 사토이모(さといも)다. 한자로는 이우(里芋)라고 쓰는데 산에서 자라는 참마(山芋)와 대비해 ‘집에서 기르는 마, 밭에서 기르는 마’라는 뜻을 강조한 이름이다. 일본에서 진작부터 토란을 재배했고 토란이 중요한 곡식이었다는 사실이 반영된 이름으로 추정된다. 남미가 원산지인 감자와 고구마가 전해지기 전까지 토란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모두 쌀 대신 백성의 배고픔을 해결해 준 양식이었다. 토란이 추석 차례상에 오르는 이유, 그리고 한중일 삼국에서 모두 토란을 추석 음식으로 먹는 이유일 것이다. 💍이주의 Pick 슈퍼리치를 위한 하이엔드 아이템 안녕하세요. 기즈모입니다. 이번 주 기즈모의 PICK은 이른바 ‘슈퍼리치의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한 하이엔드 제품입니다. 삐까뻔쩍하고 비싸지만 최첨단 기능으로 무장한 아이템이죠. 슬쩍 둘러보세요. 아마 마음이 동할 겁니다. ![]() ★ 냉장고가 이 정도는 돼야! ‘서브제로 PRO 48G’ 생활가전 변화의 핵심은 언제나 냉장고다. 냉장고의 색깔이 바뀌면 가전의 색깔이 바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슈퍼리치들은 어떤 냉장고를 쓸까? ‘서브제로(Sub-Zero)’는 1945년 미국에서 태어난 세계 최고급 냉장고 브랜드다. 아직도 모든 제품이 미국에서 조립되며 품질관리가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모든 부품에 시리얼 넘버가 있고 냉기 유지를 위해 냉장고 외부는 물론 내부에도 플라스틱이나 유리 대신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한다. 내구성이 뛰어나 일반 냉장고 수명인 10년을 넘어 20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빌트인 모델과 일반 모델, 800ℓ, 600ℓ대 모델 등을 판매 중인데, 800ℓ모델인 PRO 48G의 가격은 2980만원, 와인쿨러가 포함된 모델은 4000만원 대다. ★ 최첨단 기술과 소재의 집약체 '삼성전자 마이크로 LED TV’ 어떤 분야나 압도적인 1등이 있다. TV분야에서는 ‘삼성전자’가 압도적이다. 무려 15년 연속 글로벌 1위를 달성했다. 지난해 점유율은 31.9%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오히려 후발주자들과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다른 분야는 몰라도 TV나 스마트폰은 역사와 전통과 장인 대신에 기술을 선택해야 한다. 최첨단 소재와 반도체, 그리고 수율이 지배하는 분야 아니던가. 삼성전자가 개발한 최신 TV 소재는 ‘마이크로 LED’ TV다. 마이크로 LED는 스스로 빛과 색을 내는 소자인데 OLED와는 달리 유기물이 아니라 무기물 소재라 번인현상(Screen Burn-in)에서 자유롭고 수명이 10만 시간에 이르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자가 최근 출시한 대형 마이크로 LED TV의 화면 크기는 무려 110인치. 여기에 두께는 2.5㎝에 불과하다. 4K 해상도에 베젤이 전혀 없는 디자인으로 몰입감이 높다. 스피커 출력도 100W에 이른다.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화질과 크기, 그리고 내구성을 가진 소재이며 110인치의 크기로 집안에 영화관을 꾸밀 수 있다. 가격은 1억7000만원이지만 몰입감과 화질의 감동은 영화관을 통째로 집에 들여온 듯하다. ![]() ★ BTS가 사용하는 바로 그 안마의자 '바디프렌드 람보르기니 안마의자’ 원래 안마의자 시장은 일본의 독무대였다. 그런데 어느새 ‘바디프렌드’라는 업체가 일본 브랜드를 몰아내기 시작했다. 안마의자 업계의 BTS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실제로 바디프렌드의 모델은 수년간 BTS가 진행했다. 그렇다면 BTS도 안마의자를 사용할까? 그렇다. 실제 사용 중인 모델은 ‘람보르기니 안마의자’라고 한다. 이탈리아의 자동차 브랜드 람보르기니와 협업한 이 안마의자는 람보르기니 특유의 전위적인 디자인이 적용됐다. 가격 2970만원. ★ 라이카 Q2 ‘다이엘 크레이그 X 그렉 윌리엄스’ 한정판 팬데믹을 경험한 인류에게 두 번째 휴가철이 돌아 왔다. 다행히 백신접종이 확대되며 일부 해외여행 길이 열린 곳이 있다. 오랜만에 나선 해외여행, 어떤 카메라로 추억을 담아야 할까. 필자가 추천하는 제품은 ‘라이카 Q2’다. 스마트폰과는 비교할 수 없는 풀프레임 4700만 화소 센서를 사용해 선명하고 인상적인 사진을 남길 수 있다. 방진, 방습 기능까지 갖추고 있어서 어떤 상황에서도 안심하고 사진과 4K 동영상을 찍을 수 있다. 특히 렌즈 일체형 제품이라서 여행용으로 그만이다. 올해 라이카는 영화 <007 시리즈>의 주연인 ‘다니엘 크레이그’, 영국의 사진가 ‘그렉 윌리엄스’와 협업한 카메라 ‘Q2 다이엘 크레이그×그렉 윌리엄스’ 한정판을 내놓는다. 카메라의 모든 텍스트를 골드색 음각으로 새겨서 골드 앤 블랙 디자인이 굉장히 고급스럽다. 전 세계 750대 한정판으로 각 모델마다 레이저 음각으로 일련번호를 넣어 가치를 높였다. 국내 출시 가격은 940만원이다. ★ 주단태가 선택한 바로 그 오디오 스타인웨이 링돌프 ‘모델 D 뮤직 시스템’ 덴마크의 ‘피터 링돌프’가 제작한 이 오디오는 160년 전통의 스타인웨이 앤 선즈가 처음으로 엠블럼을 공유하고 협업을 선언했을 정도로 완벽한 피아노 음을 자랑한다. 그들의 레퍼런스 오디오 ‘모델 D’는 24K 도금과 피아노 마감을 통해 언뜻 오디오가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의 피아노처럼 보이기도 한다. 모든 과정이 함부르크에 있는 장인들의 손에서 170시간이 넘는 정밀한 제작 및 가공 과정을 거쳐 진짜 그랜드피아노를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국내에선 최근 방영 중인 <펜트하우스>에 등장하며 주단태 오디오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 CDP와 프리앰프, 스피커가 함께 구성돼 있고 모든 과정이 왜곡 없는 디지털로 처리되어 콘서트장에서 듣는 피아노 음을 그대로 재현해 낸다. ![]() 💨 Oh! My Sale 온라인 럭셔리 부띠끄 발란(BALAAN)이 ‘Thanks Giving Present’ 기획전을 개최한다. 9월 13~22일 진행되는 이번 기획전은 최대 85%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톰브라운 ▲생로랑 ▲프라다 ▲버버리 ▲메종마르지엘라 ▲샤넬 ▲구찌 등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만날 수 있다. 국내 소재 5개의 힐튼 호텔(밀레니엄 힐튼 서울, 콘래드 서울, 힐튼 가든 인 서울 강남, 힐튼 부산, 힐튼 경주)이 9월 13~17일까지 최대 40% 객실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Big Dreams Big Savings’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락앤락, 23일까지 800여개 제품 최대 60% 세일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락앤락이 추석을 맞아 오는 23일까지 주방·생활용품 800여개 품목을 최대 60% 할인 판매한다. 락앤락 온라인 자사몰과 전국 19개 직·가맹점에서 동시 진행되며 수요가 많은 식품보관용기와 쿡웨어, 주방 소형가전, 텀블러 등이 할인 판매된다. 매일경제 뉴스레터 <THE FLEX> ssalo@mk.co.kr 04627 서울시 중구 퇴계로 190(필동 1가) 10층 <매경LUXMEN> 02)2000-2924 수신거부 Unsubscrib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