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봄이 진짜 봄이 되면 좋겠습니다. 뉴스레터 24호를 발행합니다.
이유경 국제분쟁전문기자가 10년여에 걸친 현장취재 글 ‘로힝야 제노사이드, 끝나지 않았다’를 보내주셨습니다. 리영희재단 취재지원 대상자이기도 했던 기자는 이번에 발간된 그의 책 <로힝야 제노사이드>에서 우리의 5.18민주항쟁 경험으로 미얀마 사회를 단순등치시켜 이해하는 것은 그 사회를 제대로 배워야 할 기회와 이유를 묻어 버릴 위험이 있다고 안타까움을 표합니다. 제노사이드는 한 번의 사건이 아니다,
차별과 배제는 제노사이드의 인프라를 준비하는 과정이다라는 말이 가슴에 남습니다.
리영희는 89년 어느 날, 6개월간의 감옥생활에서 나와 잠시 쉬고자 여행 중 들어간 대중목욕탕에서 자신을 알아보고 뜨겁게 반가워하는 때 밀어 주는 사람을 만납니다. 그날을 떠올리면서 “나는 ‘신’이나 ‘하나님의 정의’ 또는 ‘역사의 심판’이 하늘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이 같은 사람들, 즉 때밀이 지게꾼 노동자 농민 노점상...처럼 땅 위에 짓눌려진 인간들에게서 올 것을 확신하면서 글을 쓴다.”고 말합니다. 한편, 그렇기 때문에 더욱, 군대에서 보내온 자식의 편지 앞에서 리영희는 한 치도 저항할 수 없음을 느낍니다. 자전적 에세이 <역정> 후편이 있었다면 그 초록에 해당 할 (60살 까지) ‘30년 집필생활의 회상’과 ‘어느 인텔리의 수기’를 가지고 최진호 선생이 글을 써주셨습니다. 이 시기는 리영희가 어느 대담에서 말한 “때로 자기가 걸어온 궤적에 대해서 분명히 성격 규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요. (1989년).” 그런 시기인거 같습니다.
지난 2월에 있었던 심층토론회 “무너진 남북관계와 위기의 한반도, 어떻게 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부 영상을 올립니다. 객석과 사회자의 질문이 있었고 그에 대한 토론자의 답변이 이어졌습니다. “7.4 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등 역대 성명에서 더할 것도 뺄 것도 없을 정도로 답은 다 나와 있다, 실천할 평화세력의 집권이 문제다” 라는 견해와 “민족논리로 해결 할 공간이 별로 없다, 할 수 있다고 말을 많이 할게 아니라 마디마디 좀더 면밀히 고민해야한다”는 견해, “지난 정부에서 할 수 없는 건 한다고 말하고 할수 있는건 오히려 안했다”는 발언들이 있었습니다. 각각의 의견을 좀더 밀고나가 부족한 점들을 메워가는 이후 토론을 기대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