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정글에서 당신의 "생존력"을 높이기 위한 Daily News입니다. 엄선된 뉴스를 받아보시고 Insight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니콘정글 뉴스레터 에디터 🐰허슬버니🐇입니다. 

 최근 재벌집 막내아들이라는 드라마를 아주 재미있게 봤는데요. 극 중에는 상속받으려는 재벌가의 자식들과 스스로 부를 만들어내는 송중기가 나옵니다. 하지만 가만 생각해 보면 인생 2회 차에서 송중기가 큰돈을 번 것을 오롯이 자기 힘으로 만들어 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자수성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국밥집 막내아들 송중기는 생계를 위하여 수능도 포기하지만 인생 2회 차의 재벌집 막내아들 송중기는 좋은 조건에서 서울대 법대에 입학합니다. 좋은 교육 환경, 서울에 거주할 수 있는 기회 정도 가지고 너무 깐깐한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자수성가 기준을 검색했더니 이런 의견도 있더군요. (링크)

그래서 오늘은 자수성가에 대한 재미있는 정보를 모아봤습니다. 

  • 2조 자산가가 단 돈 10만 원으로 90일 동안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을까?
  • 한국에 자수성가형 기업인 안 나오는 이유는?
  • 자수성가 국가별 비율
2조 자산가가 단 돈 10만원으로 90일 동안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을까? [억만장자 파헤치기]

그에게 주어진 건 딱 세 가지입니다.   

  • 100달러
  • 휴대폰
  • 오래된 트럭


 만약 누군가가 10만 원을 주고 90일 동안 10억을 만들어보라고 한다면? 당신을 해내실 수 있으신가요? 인생 2회 차를 사는 재벌집막내아들도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것을 직접 도전한 사람이 있는데요. 이 도전의 주인공은 자수성가형 억만장자 글렌 스턴스입니다. 그는 30년 전 무일푼으로 시작해 지금은 미국 최대 모기지 대출 회사인 스턴랜딩(Stearns Lending)을 설립했습니다. ‘억만장자 파헤치기’ TV프로그램에서 그는 90일 안에 100 달러 자본금을 기반으로 100만 달러 사업을 키워내는 미션에 도전합니다. “자신의 성공 법칙으로 다시 성공해 보겠다”는 포부로 모험을 시작합니다. 벌써 재미있겠쥬? 

한국에 자수성가형 기업인 안 나오는 이유는?

'빌 게이츠, 마크 저커버그, 워런버핏의 공통점은?' 부자다?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빌 게이츠,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세계 최고의 부자들인데요. 
이들의 공통점, 뭘까요?

바로 스스로 창업 등을 통해 부를 쌓은 자수성가형 사업가라는 점입니다. 지난해 세계의 부호 상위 400명 중 65%가 이렇게 자수성가형 기업가로 집계됐습니다. 400위 안에 든 기업인 중 한국인도 5명이 있었는데요. 그런데 이들 기업인의 공통점은 모두 재벌 2세나 3세였다는 점입니다. 자수성가형 기업인이 아니었던 거죠.

왜 우리나라에서는 상속이 아닌 자수성가형 부호가 드문 걸까요?

자수성가 국가별 비율

'자수성가 그게 가능하긴 한 거니?' 


가난하게 태어났어도 자수성가할 수 있는 나라를 떠올리면 막연하지만 미국이 떠오릅니다. 하지만 우리의 상상과 실제 결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예상치도 못하게 중국이 자수성가 비율이 매우 높고 미국은 비교적 평범한 수준입니다. 그리고 대망의 한국!! 두구두구두구~💃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구독자님, 우리 내일에도 건강히 또 만나요! 
유니콘정글
unicornjungleclub@gmail.com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