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ESG 경영 정책
ESG 경영 정책(1)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찾아 뵙는 국제 이슈 전문 스터디 동아리 UNCK(UN Chronicle Korea)입니다! 3월 1일 수요일이 아닌 3월 15일 수요일에 3월의 첫 UNCK 뉴스레터 연재하게 되었습다~


지금까지 ESG 경영과 그 사례에 대해 읽어보았는데요, 이번에는 한국과 미국의 ESG 경영 정책에 대해 알아볼까요? 고고씽~🔎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복습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동인으로 기업의 가치와 지속여부(=비재무적 요소)에 대한 관리 활동입니다. 2005년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 경영 측면에서 UNEP FI(유엔 환경 계획 금융 이니셔티브)가 등장했습니다. UNEP FI는 친환경, 사회적 기여, 그리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기업에 투자하는 이해 관계자들이 고려해야 할 성과로 제안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E는 기후변화에 대응, 다시 말해 온실 가스 감축, 환경 보호, 자원 절약, 친환경/저탄소 제품의 사용 등에 관한 가치입니다.

 S는 인권 존중, 사회 양극화 해소, 교육 격차 극복, 공정하고 안전한 사회 형성, 부적절한 차별 금지를 가르키며,

 G는 경영활동에서 법과 윤리적 규범과 기준을 준수하고 투명하고 민주적인 기업 운영 구조를 의미합니다. - ESG 용어와 개념에 대해 더 알고싶다면 뉴스레터 1호(🌏ESG 그게 뭐야?)에서 확인하세요!

ESG 경영 정책
1. 한국의 ESG 경영 정책
먼저 한국의 ESG 경영 정책 그리고 ESG 경영 과정 속 발생한 문제와 그 대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세계적으로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지금, 한국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자세히 알아보아요!

 우리나라는 현재 국가의 여러 기관들을 중심으로 ESG 경영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2021년까지 한국형 ESG 평가지표를 마련하겠다고 발표했고,

- 금융위원회는 2021년 ESG 정보공개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 2021년에는 국민연금이 2022년까지 ESG 투자 비중을 50%까지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외에도 ESG 정보공개 의무화, 공공기관의 ESG 경영, 기금의 ESG 투자 확대 등 제 21대 국회는 ESG 관련 법안을 다수 발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ESG 경영활동의 객관적 평가와 이를 위한 충분한 정보제공을 위해 ESG 정보 공시제도를 정비하고 체계적인 ESG 평가지표를 마련해 ESG 우수 기업의 선별을 돕기 위해 현행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제도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한국의 ESG 경영 정책, 완벽할까?

 물론 국가와 공공기관에서 각 기업을 지원하고 보다 나은 ESG 경영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계속해서 변화하고 더해가는 과정에서 혼란은 있을 수밖에 없겠죠.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기관과 기업에서 관련 정책과 합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소위 말해 컨트롤타워는 없는 상황입니다. 각 기업에서 관련 정책을 내놓고 산업별로 협력을 도모하고는 있지만, 자본과 인적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대기업과는 달리 중소기업의 경우 혼란이 있을 수 있는 상황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더해 투자자 중심의 ESG 논의가 이루어지며 소비자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서의 논의는 다소 부족한 실정입니다. 한국법제연구원 또한 2022년 8월 ‘소비자 관점에서의 ESG 현황과 개선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ESG를 소비자 관점으로 바라보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언급했죠.


 정부도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27일 정부가 발표한 ESG 인프라 고도화방안에서는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인 ESG 협의회의 설치를 밝혔습니다. 해당 협의회는 정책의 추진을 총괄, 점검하며 법령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등의 역할을 맡을 계획입니다.


아직은 미흡한 부분도 있지만 세계의 흐름에 발맞춰 나아가는 한국의 ESG 경영정책.

더 발전하고 나아갈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ESG 경영 정책을 통해 지속가능한 실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ESG 경영의 필요성과 국내 ESG 경영 지원 사례를 살펴볼까요?

 앞서 ESG 경영에 대해 알아보면서 ESG 경영이 투자 받기 위한 필수 요소가 되어가며 기업의 존폐에 상당한 영향이 끼친다는 것을 기억하시나요? ESG 경영이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면서 기업의 존폐에도 영향을 준다면, 이를 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죠. 많은 기업에서 ESG 경영이 필요한 요즘, 어떤 노력을 하고있는지 소개하겠습니다.


🧩ESG 경영의 단기적 영향과 문제점

 ESG 경영을 위해서는 기업의 경영 전반에 E, S, G에 해당하는 가치를 도입해야 합니다. 즉, 해당 기업에서 생산과 경영 과정에 있어서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시간과 비용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중단기적으로 재무성과가 악화되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모든 기업이 손쉽게 ESG 경영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중소기업들의 경우 재정상황, 인력부족 등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ESG 경영의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사회의 요구와 환경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지금, 장기적으로 ESG 경영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개선할 방법이 무엇일까요?


🧩산업별 지원 사례

1️⃣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ESG 경영의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각 중소 협력사를 대상으로 역량 강화 지원사업을 진행했습니다.

 먼저 고도기술, 케이엔정보기술 등 방사선폐기물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4개의 중소 협력사를 선정했고 이들을 대상으로 ESG 분야별 현황 파악,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도출 등의 컨설팅을 지원했습니다.

 각 중소 협력사들에게는 분석을 바탕으로 각각의 개선방안을 주문했으며, 추후 ESG 관련 국제표준 인증을 위한 후속 지원 사업을 준비하며 지원 대상을 점차 확대할 예정입니다.


2️⃣ 한국철강협회

 한국철강협회 또한 철강업계 공급망의 강건화와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엔투비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엔투비는 소모성 자재에 대한 기업간의 전자상거래를 제공하는 POSCO 계열사입니다. 소프트웨어 자문, 개발 공급 등을 합니다.

 엔투비는 고객사와의 구매대행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의 일부를 재원으로 고객사와 공동으로 탄소저감과 동반성장, 지역사회 발전 등 기업시민 기반의 ESG 활동을 추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철강협회는 해당 협약에 따라 회원사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협력사의 참여를 이끌어냄과 더불어 현실적인 여건에서 ESG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철강사와 협력사의 ESG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한국의 ESG 경영이 아직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다양한 부분에서 점차 변화해나가는 모습을 기대해도 좋을 것 같네요 (●'◡'●)

바쁜 현대사회인을 위한 뉴스레터

📝세 줄 요약

📝 우리나라는 현재 국가의 여러 기관들을 중심으로 ESG 경영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ESG 경영을 투자자뿐 아니라 소비자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서의 논의는 아직 더 필요하다.


📝여러 산업에서 중소 협력사의 ESG 경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도움을 주고 있다.

🎤아아아- 여기 스포 있어요~🔊

 UNCK 뉴스레터 3호에서는 우리나라 ESG 현황과 경영 정책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뉴스레터에서는 'ESG 경영 정책'에서 더 나아가 해외의 ESG 경영 정책 사례로 찾아오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주 후에 만나요~👋

뉴스레터 퀴즈
이번주와 다음주 뉴스레터 퀴즈의
정답을 맞추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상품🎁을 드립니다!

<<참여 방법>>
1.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읽는다.
2. 아래 퀴즈 문제를 푼다.
3. UNCK 인스타그램(@unck_)에 DM(클릭)으로 정답을 보낸다.
Q1. ESG 경영은 모든 기업이 언제나 시작할 수 있다. (O/X)

Q2. 국민연금은 2021년에 2022년까지 투자 비중을 (  )%까지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Q3.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ESG 경영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관련 국제 표준 인증을 위한 후속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O/X)
🥁UNCK 뉴스레터 1호와 2호 퀴즈 정답 발표🥁
<뉴스레터 1호 정답>
Q1. X   Q2. 지속가능성   Q3. X
<뉴스레터 2호 정답>
Q1. X   Q2. KOICA/코이카   Q3. O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