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TH WEEXPRESS
Editor Letter

안녕하세요, 토트인베스트먼트 성 기 원 입니다.

2022년 7월 19일, 윅스프레스 6호를 발송드립니다.


이슈 : 경기침체 … 경착륙 vs 연착륙


이제 시장은 인플레이션 지속 여부를 지나 경기침체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기정 사실화되었기에 인플레이션 환경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하게 된다면, 이번 경기침체는 경착륙이냐? 연착륙이냐? 를 놓고, 시장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주는 유럽발 경기지표 소식이 많은 주간입니다.

- EU, 소비자물가지수(YoY, MoM)

- ECB 통화정책회의

- 실적발표 : 코카콜라(KO : NYSE), AT&T(T : NYSE)


경기침체 이슈의 등장은 자본시장의 저점에 가까워왔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강력한 통화정책, 재정정책 실종으로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시장은 아니지만, 손실을 만회하고, 꾸준한 투자 유인을 확보할 수 있는 회복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토트는 현재와 함께 내일의 투자를 준비합니다.

감사합니다.

신 냉전 : 떠오르는 항공우주 산업
본 내용은 미국 항공우주 산업을 중심으로 소개됩니다.
전 세계 항공우주 산업 가운데 미국이 과반 이상(생산비율 기준, 51.1%)을 차지하고 있기에 항공우주 산업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미국 항공우주 산업을 중심으로 해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방산업 또한 포함됩니다.
미국은 민간 항공 산업은 물론, 방위 산업 성장으로 전 세계 항공우주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1. 글로벌 상업항공 시장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민간 항공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보잉(BA : NYSE)에 따르면, 2021~2040년까지 항공 교통량은 연평균 4.0%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전 세계 상업용 항공기 43,610대가 인도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북미 수요(9,160대)가 가장 크고, 아시아 태평양 수요(8,945대), 유럽(8,705대)가 예상되며, 중국은 단일 수요(8,700대)가 상당히 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중국 단일 수요의 확대는 국내, 단거리 항공 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며, 보잉 737시리즈, 에어버스 A320 시리즈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2. 글로벌 우주 산업
인류는 현재, 인공위성, 우주정거장 등을 비롯한 우주 내 다양한 물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11,000여 개에 달합니다.
그 중에서도 미국은 5,534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 부분은 민간 우주 기술 회사인 스페이스X 의 스타링크 위성(2,200개 추산)입니다.
2021년 기준, 전 세계 우주 기술 시장 규모는 2,200억 달러에 달하며, 연평균 10% 이상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3. 미국 정부 우주 정책 목표
- 아르테미스 달 탐사(2025년 목표)
- 화성 탐사(2040년 목표)

미국 정부는 2025년까지 달 유인 탐사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대한민국을 비롯한 약 20여 개 국가가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하였습니다.
미국, 룩셈부르크, UAE, 영국,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호주, 우크라이나, 대한민국, 뉴질랜드, 브라질, 폴란드, 멕시코, 이스라엘, 루마니아, 바레인, 싱가포르, 콜롬비아, 프랑스 등이 참여할 계획입니다.
아르테미스 달 탐사 프로젝트에 민간 기업이 대거 참여하는 모습은 과거의 우주 개발 및 탐사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부분입니다.
 :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ULA, 노키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미국 정부의 우주정책은 우주상업국(Office of Space Commerce)에서 관련 정책 지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행정부는 행정명령을 근거로 법규와 규정을 제정합니다.

1) 정책지침
SPD-1. 미국의 우주탐사 프로그램 재가동 : Reinvigorating America's Human Space Exploration Program
SPD-2. 민간우주 사업에 대한 규제 간소화 : Streamlining Regulations on the Commercial Use of Space
SPD-3. 우주교통 정책관리 강화 : National Space Traffic Management Policy
SPD-4. 미국 우주군 창설 : Establishment of the US Space Force
SPD-5. 우주 프로그램의 사이버보안 강화 : Cybersecurity Principles for Space Systems
SPD-6. 우주원자력 및 추진전략 : National Strategy for Space Nuclear Power and Propulsion
SPD-7. 미국 중심의 우주항법정책 : US Space-based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Policy

2) 행정명령
E.O. 13803 : 국가우주위원회 재발족
E.O. 13905 : 미국 항법의 회복 탄력성 강화
E.O. 13914 : 우주자원 활용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E.O. 13972 : 국방 및 우주탐사를 위한 소형모듈원전 강화

백악관은 2023년 NASA 에 260억 달러 예산 배정을 요청하였으며, 국방예산으로 7,730억 달러를 요청하였습니다. 미국 국방예산에서 공군이 약 29% 를 차지하며, 해군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예산을 배정받습니다.
 : 해군 > 공군 > 육군 > 국방부(본부)
미국 항공우주 산업 생산 규모에 있어서 미국 방위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국방예산 및 NASA 예산 배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항공우주 산업의 미래
- 고효율 설계 및 개발
- 제조 수직계열화 추진(인하우스)
- 자동화 시스템
- 무인 항공기
- 전동화 항공기(수소, 배터리)
- 미 공군 항공기 현대화 추진
Source. visualcapitalist.com 가공  
제3세계(β_version)
미소 냉전 역사 속에서 제3세계 국가들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진영 국가와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진영 국가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채, 제3세계 중립국으로 머물렀습니다.
대표적인 제3세계 국가로 인도, 유고슬라비아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신 냉전 체제에서의 제3세계 국가 또한 인도를 꼽을 수 있으며, 토트인베스트먼트는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를 주요 제3세계 국가로 평가합니다.

1. 인도
인도는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QUAD 동맹체의 핵심 국가이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포함된 BRICs 기구에도 포함된 국가입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서 러시아를 옹호하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인도의 입지가 친미 성향 또는 친러, 친중 성향이 아닌 제3에 위치했음을 재확인합니다.
인도의 이러한 모양새는 과거 냉전 시대의 제3세계 중심 국가로서의 발판, 방향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인도는 내년께 세계 최대 인구 타이틀을 중국으로부터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높은 경제성장률이 더해지면서 정치, 경제, 외교, 안보 측면에서 강대국의 지위를 확보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 패권국으로 평가합니다.

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미래 경제대국 명단에서 빠지지 않는 나라입니다. 
주요 경제 연구 기관들은 인도네시아가 2040년께 세계 8위 이내의 경제대국이 될 것임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 4위의 인구 규모와 세계 최대 섬나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는 규모의 경제 성장이 가능하며, 풍부한 원자재를 바탕으로 지역 내 중심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저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미국과의 군사 훈련, 러시아 무기 도입을 통해 균형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중에는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나 두 나라 사이의 중재를 맡았으며, G20 정상회의에 두 나라를 초청하는 등 능수능란한 외교력을 과시했습니다.

3.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는 친미 성향의 국가로 알려졌으나, 최근 분위기는 조금 다르게 흘러가는 듯합니다. 최근, 미국 바이든 정권은 사우디 내 반체제 언론인 암살에 대해 인권 문제를 지적했고, 이에 사우디 왕정이 강한 불쾌감을 드러내면서 양국간의 동맹에 균열이 발생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결제를 달러와 함께 위안화 결제 허용 여부를 검토하고 나서면서 달러의 위상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지정학적 위치, 에너지 안보를 바탕으로 지역 내 패권으로서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토트인베스트먼트는 SPOT 리포트를 통해, 신 냉전 체제 속 제3세계가 가진 경쟁력을 확인하고, 중장기적 투자 기회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우수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 주식 투자를 넘어 미래 성장성과 경쟁력을 가진 국가 투자에 주목합니다.
The Global Economic Shift : VisualCapitalist.com  
토트인베스트먼트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10층 RM10호
대표번호_0507-1410-1012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