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님!

크몽 창업지원센터입니다.


오늘 레터에서는 정부지원사업의 첫 관문인 서류 평가 대비 전략으로써
사업계획서 작성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크몽 창업지원센터와 함께 열심히 달려봐요! Run, run! 🏃


PREVIEW 오늘 전해드릴 내용이에요.
  • 사업계획서 작성: PSST
  • Problem: 문제인식
  • Solution: 실현가능성
  • Scale-up: 성장 전략
  • Team: 팀 구성
✏️ 사업계획서 작성: PSST
과거 사업계획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업성이었습니다. 하지만 급변하는 산업의 흐름에 따라, 정부는 창업기업이 스스로 사업의 문제를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해결하고 성장하려는 의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그래서 나온 사업계획서의 작성 방법이 PSST입니다.

사업계획서는 PSST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PSST란 Problem-Solution-ScaleUp-Team의 앞 글자를 따온 약자로, ‘스스로 본인의 사업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를 증명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이전 뉴스레터에서 말씀드렸듯이, 정부는 사업 아이템이 실현되었을 때 우리들의 삶이 어떻게 바뀔 것인가에 대한 비전을 보고 과제를 선정합니다.

문제인식 단계에서는 현재 시장과 우리 사회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더불어 사업 아이템을 통해 어떻게 이를 해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야 합니다. 

대표 사업별 작성 내용
  • 예창패: 시장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제시 및 해결 방법
  • 초창패: 문제 제기와 함께 개발 중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사업의 지원 필요성
  • 창도패: 아이템에 대한 보유 기술의 중요성과 문제해결을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술개발

Key Point
① 배경이나 문제점은 글머리 표나 번호를 붙여 키워드나 개요 중심으로 서술해 가독성을 높인다.
② 수치 표현이 가능한 통계 자료는 도식화하여 문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③ 포괄적인 내용보다 구체적 내용으로 표현하며, 보도자료, 연구보고서, 테스트결과 등 근거를 제시한다.
④ 보편적 문제라면 핵심 내용만 간단히 언급하고 전문적인 문제는 일반 사람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다.
Problem 단계에서 언급된 문제를 나의 사업 아이템을 통해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와 아이템의 구체적인 실현 방안에 대한 내용을 작성합니다.

대표 사업별 작성 내용
  • 예창패: 아이템의 실현 시 구현될 수 있는 솔루션
  • 초창패: 현재 개발 중 발생한 문제와 시장 진입을 위한 개선점
  • 창도패: 서비스 운영을 통해 얻은 고객 피드백, 시장 변화 등에 따라 필요한 개발, 고객 확보 및 시장 요구 해소를 위한 개선점

Key Point
① 아이템 개요는 도식화와 표 등 한눈에 주요 기능과 특징 파악을 할 수 있게끔 기재한다.
②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이 아이템과 잘 연결되도록 작성한다.
   - 어떤 문제를 해결하나(문제 해결 시 득이 되는 대상)
   - 무슨 기술을 활용하며 어떤 형태로 제공되나(기술에 대한 독창성과 제공 방법)
   - 차별성과 기술 모방에 대해 어떤 대처를 하나(기술 구조 및 특허 등 여부)
③ 아이템의 기술과 그 가치는 도식화 등 이해가 쉬운 구조로 작성한다.
④ 유사 제품 또는 서비스의 비교를 통해 차별성과 시장 경쟁우위 요소를 전달한다.
성장전략 단계에서는 사업 아이템을 통해 예상되는 매출이 얼마인지를 추정하고, 수익 창출 방안에 대한 내용을 작성합니다.

대표 사업별 작성 내용
  • 예창패: 아이템의 주요 운영 채널과 수익구조 계획 등
  • 초창패: 제품 및 서비스의 가격 계획 및 수익구조 등
  • 창도패: 기존 시장 운영 가격과 기술 개발을 통한 수익구조 개선 등

Key Point
①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제품 및 서비스의 판매 가격과 수익구조는 도식화하여 작성한다.
② 초창패와 창도패는 목표시장 진입 현황에 대해 수익모델 별 성과를 기재한다.
③ 목표시장에 대해 STP 전략을 통해 시장진입 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④ 비즈니스 모델 매출목표 계획과 수익 전망 제시한다.
⑤ 사업추진 일정은 시장안정화까지의 전체 로드맵과 지원사업 협약기간 내 계획을 구분하여 작성한다.
⑥ 사업비 세부내역은 비목에 맞추어 정부지원금, 대응자금 비율을 요구에 맞게 기재한다.
팀 구성 단계에서는 추정된 매출액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인력(팀원과 파트너 등)에 대한 실행계획을 수립합니다.

대표 사업별 작성 내용
  • 예창패: 아이템 개발에 필요한 구성원 조직계획 및 고용계획
  • 초창패, 창도패: 기존 구성원 현황과 추가 개발에 필요한 개발 역량 및 고용계획

Key Point
① 대표자와 구성원이 보유한 역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학력, 경력, 개발경험 등을 작성한다.
② 학력은 전공은 노출하되 학교명은 노출되지 않도록 OO으로 표기한다.
③ 추가 고용계획에서는 개발과 관련된 업무 계획과 요구역량을 제시하며 개발일정에 맞춰 채용시기 작성한다.
④ 외주용역 등 업무 파트너 계획이 있다면, 협력업체의 주요 개발 이력, 역할 등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작성한다.

.................................  
🥇 추천 전문가
크몽 창업지원센터는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믿을 수 있는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 창업지원센터 소식


IT 창업을 시작하고 있다면?

👉 전문 컨설턴트의 1대1 무료 상담


커뮤니티・SNS 비즈니스 플랜에 맞는
효과적인 개발 로드맵 알아보기!
💌 독자 피드백

뉴스레터을 읽고 좋았거나 아쉬웠던 점,
혹은 궁금한 주제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오늘의 인사이트 잘 확인하셨나요?
뉴스레터가 조금 바뀐 것 같다구요?

네, 맞습니다!
크몽에서 운영하는 창업지원센터는
스타트업, 예비 사업자, 초기 사업자 등
이제 막 사업의 출발점에 선 분들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가 매칭, 웨비나, 무료 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잘 표현하기 위해 뉴스레터 이름이
『크몽 창업지원센터, 스타터 레터』로 변경되었어요! 💪

앞으로도 저희 크몽 창업지원센터는
스타트업 여러분의 폭풍 성장을 위해 함께 뛰겠습니다.
오래오래 함께해요 🏃
(주)크몽
startrun@kmong.com
서울시 서초구 사임당로 157, 3층 1544-6254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