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4(화)
오늘의 부동산 뉴스
✅ 전세사기 파문에… 서울 빌라 매매 역대 최소
  • 지난해 말부터 본격화한 전세사기로 빌라 기피 현상이 커지면서 빌라 매매량이 역대 최소로 급감...전세 거래량 역시 201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감소...빌라 시장이 이대로 무너지면 서민들의 주거 사다리가 끊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9월 서울 빌라(다세대·연립) 전세 거래량은 5만3657건으로 전년 동기(6만9614건) 대비 22.9% 감소...전세사기 문제가 가라앉지 않으면서 전세 보증금을 떼일 수 있다는 우려에 빌라 전세로 향하는 수요가 급감한 영향
  • 빌라 전세 수요가 줄면서 매매 거래도 끊겼고,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9월 서울 빌라 매매 거래량은 2만2889건으로 지난해 동기(3만8237건) 대비 40.1% 감소...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1∼9월 기준 역대 최저치
  • 업계에선 빌라와 아파트의 양극화가 커지면서 서민들의 주거 불안을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아파트 쏠림이 시장을 자극할 수 있는 만큼 빌라 전세를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설명

✅ 전세 DSR 규제 움직임에…서민·청년층 "어떻게 살라고"
  • 정부가 전세자금 대출을 DSR 규제 대상 포함 여부를 검토한다는 소식에 세입자와 집주인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어...가계부채를 줄이고 무분별한 갭투자로 이어지는 길목을 차단하겠다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무주택자의 주거안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
  •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전세대출 DSR 규제 확대에 시장에선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가 커져...공공임대주택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전면적인 DSR 규제는 돈 없는 서민의 주거환경 하향을 부추길 것이라는 것과 부동산 거품을 조장한다는 의견이 맞붙고 있어
  •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2012년 23조원 규모에 불과했으나 2016년 이후 가파르게 증가해 2019년 100조원을 넘어섰으며 2021년 말에는 180조원까지 증가...전셋값 상승과 전세자금대출 지원을 확대하면서 전세자금대출 증가폭도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분석
  • 업계에선 전세대출의 전방위적인 규제는 무주택자의 주거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고 분석...집주인이 DSR 규제를 피하고자 전세의 월세인 ‘반전세’ 전환을 이어갈 시 세입자의 가처분 소득 역시 줄어들 수 있며 주거안정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 전세사기 피해자 '1만명' 넘었다… 10명 중 7명 20·30대
  • 전세사기가 전국에서 대규모로 터지면서 기승을 부리고 있어...전세사기 수법도 다양해지면서 피해자들이 점점 늘어나는 가운데 전세사기 피해자 대부분은 사회초년생인 20·30대로, 젊은 층의 피해가 더 늘어날 수 있단 우려의 목소리가 나와
  •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지방자치단체가 접수한 전세사기 피해는 1212건으로 나타나...피해 신청받기 시작한 지난 6월(4173건) 이후 누적 접수는 총 1만543건으로 1만건을 넘어선 것
  • 지난 9월까지 피해자로 확정된 6063건을 분석한 결과 ▲인천(25.4%) ▲서울(23.8%) ▲경기(17.2%) 등 수도권 비중이 66.4%에 달해...전세사기 주택 유형별로는 ▲다세대주택(32.2%)▲오피스텔(26.2%) ▲다가구주택(11.3%) 등 비아파트가 전체의 약 70%(69.7%)
  • 임차 보증금은 2억원 이하가 80%를 차지했으며 이는 사회 초년생의 소액 보증금이 전세사기의 집중 표적이라는 분석...국토부 관계자는 "전세사기 피해자의 조속한 피해회복을 위해 앞으로도 피해자를 결정하는 한편 지원방안을 지속 보완해나가겠다"고 설명


✅ 노후 공공임대 20만가구…LH, 매각 카드도 '만지작'
  • 준공 20년을 넘긴 공공임대주택이 20만 가구에 육박하고 있어...주거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공공임대주택 노후화에 따른 유지비와 악성 빈집(공가) 증가가 새로운 문제로 떠올라
  • 업계에 따르면 LH가 공급·관리하는 전국 공공임대주택 물량은 지난해 100만 가구를 넘겼고, 이 중 준공 20년이 지난 주택은 18만6000가구로 전체 임대주택의 20%에 달해...대부분 영구 임대와 50년 임대주택
  • 노후 임대주택이 증가할수록 LH의 부담은 커져...내년부터 2033년까지 LH가 보유한 건설임대주택 수선유지비 및 노후시설 개선 사업비 추정 금액만 17조487억원에 달했고, 게다가 임차인이 노후 임대주택에서 거주하는 걸 원하지 않아 이른바 ‘악성 공가’로 남아
  • 공공임대주택 노후화에 따른 부담이 커지자 LH는 ‘재무적 관점의 장기임대주택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대안 찾기에 나서...업계에선 2001년 도입된 국민임대주택의 임대의무기간이 2030년 끝난다며 이후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 노후계획도시특별법 ‘연내 통과’ 불투명… 국회 문턱 어디서 걸렸나
  • 윤석열 정부의 대선 공약이었던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특별법’ 제정안이 9개월 넘게 법안 통과 첫 관문인 국회 소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어
  • 지난 2월 정부가 추진 중인 특별법 주요 내용이 공개된 뒤 1기 신도시 단지들은 ‘선도지구 지정’을 위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지만 예상보다 국회 계류 기간이 길어지고 ‘연내 통과’가 불투명해지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져
  • 3차례에 걸친 국회 회의록을 분석해 보면 용적률과 안전진단 면제 조치를 두고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100만~150만명에 달하는 대규모 이주대책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도 특별법 통과가 지연되고 있는 이유
  • 국토부는 우선 실현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당신도시부터 15년에 걸쳐 ‘순환정비’하겠다는 계획...특별법 제정이 난항을 겪고 있지만, 여야가 지난 대선 국면에서 신도시 용적률 500%로 상향하겠다고 공약한데다 총선을 앞두고 절차가 속도를 낼 가능성도 있어
오늘의 건설 뉴스
✅ 공사원가 변동 따른 하도급대금 조정 분쟁 50% 증가
  • 지난달까지 공사원가 변동 등으로 인한 하도급대금 관련 분쟁 건수가 작년보다 50%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최근 원자재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공사비용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
  •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공사원가 변동 등 하도급대금 조정 관련 분쟁 접수 건수는 5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8건)과 비교해 50% 증가
  • 2020년 14건이던 공사원가 변동 등으로 인한 하도급대금 조정 분쟁 건수는 2021년에는 33건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57건으로 확대...올해는 10월까지 접수된 분쟁 건수가 지난해 전체 건수와 같아
  • 주요 분쟁 사례를 보면, 발주자가 대금을 조정해 주지 않아 수급사업자와 대금 조정 협의를 거부하거나 공사금액 증가를 요구할 수 없다는 계약조항을 근거로 협의에 응하지 않는 경우 등이 있어...남은 공사를 마무리한 이후로 협의를 계속 지연하는 경우도 있어

✅ ‘내년 집값 하락’ 전망 우세… “고금리·PF부실 영향으로 수요 감소”
  • 하반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주택시장에 대한 비관론이 우세해지고 있어...전문가들은 물론 조사기관에서 내놓은 전망도 내년 주택시장 하향 의견이 많아...고금리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데다, PF 리스크가 내재해 있기 때문
  • 각 조사기관 및 증권업계 등에서는 내년 부동산시장 전망을 하락 쪽으로 바라보고 있어...건산연은 기대보다는 우려가 큰 전망을 내놨고, 한국은행은 일찌감치 주택시장 회복에 대해 회의적인 전망을 내놓은 바 있어
  • 증권업계에서 화두는 ‘PF 리스크’로 내년에도 부실 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놔...전문가들도 고금리로 인한 수요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 당분간은 추가 규제완화의 가능성이 낮은 데다, 특례보금자리론 등이 소진됐기 때문
  • 업계에서는 최근 대출금리 인상으로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급매물 위주로만 거래되는 분위기라면서 여타 대책이 없다면 내년 하반기 약세 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

✅ 건설현장 낡은 안전기준 싹 바뀐다…안전보건규칙 개정안 공포
  • 앞으로 고소작업대를 올린 상태에서 이동이 금지되는 등 산업재해 위험이 높은 건설현장의 안전기준이 명확해져...또 현장의 작업순서에 맞게 법령이 정비되고 기술의 발전으로 현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오래된 세부 규정이 삭제
  • 정부는 불합리한 규제와 불명확한 기준 등 낡은 안전기준을 개선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공포...건설현장에서의 안전기준은 그동안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근로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고 기업의 활동을 제약한다는 지적을 받아
  • 개정안은 △ 안전성 확보 시 비계 기둥 간격 유연하게 적용 △콘크리트 타설·지반 굴착의 안전기준 명확화 △비계용 강관·목재 동바리 등 현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세부 규정 삭제 △굴착면 경사도 한계기준 흙·모래 등으로 구분 △ 작업순서에 맞춰 법령 정비 등
  • 고용노동부 장관은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라 방대한 현행 안전보건규칙을 현실에 맞게 정비하고 있다”며 “이번 개정은 그동안 검토한 것을 토대로 시급성 등을 고려해 산업안전기준을 정비해 나가는 작업의 일환”이라고 설명
오늘의 단신  
📌 "희림 설계자격 놓고 내부갈등…압구정3구역 소송전
📌 서울 아파트 매물 8만건 쌓여…거래절벽 당분간 이어질 듯
📌 빌라 1.6억까지 무주택 간주한다는데… “청약시장 영향 미미”
📌 “새 아파트 귀해진다” 2024년 서울 입주물량 1만가구 아래
📌 여의도 한양 '주택홍보관' 철거…속 타는 현대·포스코
📌 “조금 더 지켜봐도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매수자들 결정 보류”
📌 1100가구 단지에 전세 1건…‘역전세난’에서 다시 ‘전세난’
📌 10억 아파트, 7억으로?… "최대 30% 더 내릴 가능성" 분석 나왔다
📌 우크라 재건에 K-건설 협력… 현대건설·공항공사 1.2조 인프라 참여
📌 '철근 누락' 단지서 724가구 떠난다…LH, 보상안 가동
금주의 아파트 청약 일정  
🔔 서울 송파구 문정동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
  • <전용면적 49~74㎡, 3.3㎡(평)당 3500만원>
  • [전용면적 74 타입 10.5억]

🔔 경기 파주시 목동동 '파주 운정신도시 우미린 더 센텀'
  • <전용면적 84㎡, 3.3㎡(평)당 1500만원>
  • [전용면적 84 타입 5.5억]

🔔 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힐스테이트 금오 더 퍼스트'
  • <전용면적 36~84㎡, 3.3㎡(평)당 1600만원>
  • [전용면적 84 타입 5.8억]

🔔 부산 연제구 연산동 '시청역 해모로 센티아'
  • <전용면적 59~84㎡, 3.3㎡(평)당 1900만원>
  • [전용면적 84 타입 6.3억]

🔔 강원 춘천시 동면 '춘천 금호어울림 더 퍼스트'
  • <전용면적 59~116㎡, 3.3㎡(평)당 1500만원>
  • [전용면적 84 타입 5.1억]

🔔 경남 거제시 아주동 '오션 월드메르디앙 더 리치먼드'
  • <전용면적 59~84㎡, 3.3㎡(평)당 1300만원>
  • [전용면적 84 타입 4.6억]

🔔경기 용인시 포곡읍 '용인 에버랜드역 칸타빌'
  • <전용면적 59~84㎡, 3.3㎡(평)당 1600만원>
  • [전용면적 84 타입 5.7억]

(주)비앤씨
10000-lab@naver.com
서울시 용산구 한남대로98 일신빌딩 2층 02-762-9090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