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 10월 뉴스레터]
1. 곁의 10월 활동소식
제안하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언제든 연락 주세요😃
|
|
|
* 공론장의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
|
|
곁의 10월 📖 교육 및 연구활동
: 10월 6일부터 11월 2일까지 매주 1회 총 5회 과정으로 주민자치활동 교육 진행
: "폐광촌, 새로운 마을활력을 위한 주민공론장" 을 주제로 공론장의 의미, 촉진자의 역할, 공론장 경험과 기획하기 과정 진행
: "당신의 대화는 안녕하십니까?" 공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기획 및 운영 워크숍(1박2일)
: 10월엔 활력향연 <민주시민교육 시선으로 본 청소년 사회참여활동 사례연구>를 위해 4개의 사례를 인터뷰하였습니다. 익산지역 "청소년노동인권조례 제정" 사례를 시작으로 밀양에 있는 세종중학교 사회참여동아리의 "지역사회 환경과 노인문제해결을 위한 활동", 성보고등학교 지오이드 동아리의 "장애인 이동권 정책제안"과 "우크라이나 전쟁난민을 위한 연대활동", 부안여고 다시씀 동아리의 "자원순환활동" 의 4가지 사례 연구를 위해 학생들과 선생님, 함께 활동한 성인의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향후 연구보고서를 통해 공유하겠습니다~!
⭐ 혹시 청소년이 만든 사회변화의 사례를 알고 계시거나
추천해줄 만한 사례를 알고 있으신 분은 언제든지 곁으로 연락주세요!!! |
|
|
함께 보면 좋을 컨텐츠 추천 "시선이 머무르는 곳이 곧 삶이 깃드는 장소다"
" 인간이 느끼는 행복감의 절반 이상은 타인과의 유대에서 비롯된다. 유대란, 무엇인가를 공유하는 것이다. 내가 타인과 의미 있게 연결되어 있다고 느낄 때 생명의 힘은 배가된다. 하지만 저절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감정을 표현하고 수용하는 능력은 꾸준한 경험과 연습을 통해 학습된다. 인간의 정서는 매우 복잡한 얼개를 지니고 있으며, 엄청나게 까다롭고 미세한 코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정확하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여러 부류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감해야 한다. 그리고 평소에 마음의 촉수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습관이 요구된다. (4부 「마음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98~99쪽) "
👉 추천이유 : 10월의 추천 컨텐츠는 김찬호 교수님의 새로운 책, <대면 비대면 외면> 이다. 사회학자로서 모멸감, 돈의 인문학등의 책을 집필해오신 교수님께서 낸 새로운 책 소식을 들었을 때 부터 궁금해졌다.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면서 흔히들 말하는 '뉴노멀 시대' 에 우리가 무엇을 잃었는지 이제는 우리가 무엇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좌표같은 느낌이 들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회복의 시공간을 찾기 위해 결국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를 회복해야 함을 이야기한다. 어쩌면 그래서 서로가 서로에게 '곁'이 되어 서로의 관계가 회복될 때 사회도 함께 복원되고 치유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면서 점점 혼자 있는 것이 좋아지고, 비대면이 편해지면서 점점 더 타인의 일에 무심해지는 나를 발견한 적이 있었거나, 앞으로의 사회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할지 고민이 되시는 분은 꼭 읽어보시길 추천한다. |
|
|
곁의 일상소식
올해도 곁에는 명지전문대학교 청소년 교육심리학과 학생 5명이 평생교육실습을 나왔습니다. 실습생들은 민주시민교육이라는 생소한 분야에 호기심을 가지고 9월 26일부터 10월 26일까지 실습기간을 가졌습니다. 실습기간동안 사무국은 실습생들이 좀더 많은 내용을 경험하고 실습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여 실습생들을 맞이하였습니다.
민주주의, 인권, 청소년사회참여, 자원봉사, 민주시민교육 기획과 실무등 민주시민교육전반에 대해 배웠으며, 특히 교육과정에 서미화 이사장님<청소년자원봉사와 민주시민교육>, 정하윤 이사님<민주주의 개괄>, 유일영 회원님<시민사회안에서 젠더 이슈와 민주시민교육> 세분이 각각의 주제로 함께 해주어 더욱 더 풍성한 교육이 되었습니다. 또한 김포주민자치교육에 참관하면서 실제로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배울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실습생들은 실습을 마치면서 민주시민교육이라는 분야를 처음 들었고, 무엇인지 모르고 실습을 나왔지만 삶에서 무심히 지나갔던 일들을 이제는 좀더 관심을 가지고 생각을 하게되는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는 소감을 나누었습니다. 향후 진로를 정할 때 곁에서 한달의 실습이 약간의 도움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실습생 여러분 모두 수고많으셨습니다~! 🤗 |
|
|
곁을 응원해주시는 분들
<CMS 회원 : 가나다 순>
강천웅 구태희 국혜수 권대익 권복희 권혜진 김광일 김금훈 김동엽 김명신 김미영 김부일
김성희 김옥성 김지연 김현국 김혜련 김화영 김희명 류수진 문수영 문정희 박동국 박수진
박정연 박종희 서미화 손석환 송순철 신난희 심유경 양유정 오연경 유일영 윤승철 이덕경
이범자 이승용 이승훈 이정민 이준우 이지영 이진선 이필구 이 호 임정희 정 류 정상영
정하윤 정현철 조민환 조성범 조 영 조윤주 조인숙 조철민 지영애 진명우 최지영 한광희
홍해듬
|
|
|
곁 뉴스레터 구독하기!
오늘의 곁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구독자님들 회원님들, 이번 달도 행복하게 보내세요.
우리는 다음 달에 다시 만나요😉
|
|
|
민주시민교육프로젝트 곁 kdewithyou.2018@gmail.com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45 임호빌딩 4층 010-7600-3934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