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38회 독서퀴즈입니다.
오늘날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이 세계적인 화두의 하나다. 탄소 발자국을 처음으로 주장한 것은 영국 석유 기업 BP(Britishum Petroleum)인데, BP는 2004년 사람들이 각자 자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도록 유도하기 위한 홍보 이니셔티브로 탄소 발자국을 소개했다. 요컨대 기후 변화의 책임을 석유회사가 아니라 소비자에게 돌리기 위한 그린워싱(Green washing)이었다. 다음 중 탄소 발자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출처: 『퓨처 노멀』 중에서)
① 탄소 발자국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브랜드는 제품에 라벨을 부착해 탄소 발자국 데이터를 공개하여, 소비자가 자신의 소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의식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됐다.
② 1세대 대체육 생산업체인 쿠온(Quorn)은 탄소 발자국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인 카본트러스트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자사의 인기 비건 제품의 포장에 탄소 발자국 데이터를 추가했다.
③ 항공업계는 탄소 상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이 프로그램은 고객이 자신의 항공 여행으로 배출되는 탄소량을 추적하고 상쇄 비용을 계산해 탄소 상쇄권을 구매할 수 있게 해준다.
④ 탄소 라벨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은 2010년대에 마련되어 많은 기업들이 실천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업의 의지는 탄소 라벨에 대한 소비자의 책임이 더욱 분명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