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의 전시
권진규의 '작품', 1966년 경. 사진: 권진규기념사업회, PKM갤러리 제공
|
|
|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영감 한 스푼'은 이번주부터 격주로 볼만한 전시 여러 건을 선정해 간단히 소개해드립니다.
오늘부터 총 4번의 테스트 발송을 보내드린 다음, 구독해주고 계신 독자들께서 가장 잘 맞는 모양새를 찾아가려고 합니다.
오늘 레터를 읽어보시고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
|
|
테라코타 부조로 만나는 권진규, PKM '조각가의 릴리프'
|
|
|
권진규, 작품(Work), 1966, 사진: 권진규기념사업회, PKM 갤러리 제공. |
|
|
이 전시는 조각가 권진규(1922~1973)가 만든 테라코타 부조 작품을 소개합니다.
테라코타란 찰흙을 구워 만드는 것으로, 권진규가 1964년 서울 성북구 동선동 아틀리에에 가마를 고친 다음 이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이 아틀리에는 현재 내셔널트러스트에서 전시관으로 운영하고 있어 예약 후 방문 가능합니다.)
전시장에서 만나는 대부분의 부조들 제목은 간단하게 '작품'입니다.
자세히 보면 새, 나비, 꽃 모양이 드러나기도 합니다. 또 한국의 오래된 건축물에서 모티프를 딴 '공포', 전통 탈을 부조에 넣은 '가면'도 있습니다. 대부분이 1960년대 중반 작품이고, 권진규가 어떻게 평면 공간에 현실 속 대상을 구성해 넣었는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저에게 특히 흥미로웠던 것은 멀리서 봤을 때 부조의 입체감이 잘 드러나는 은은한 색의 변화였습니다. 전시 작품은 총 8점, 작은 전시이지만 권진규의 팬이라면 즐겁게 관람할 수 있을 듯 합니다. |
|
|
'권진규: 조각가의 릴리프' 전시 전경. 사진: 권진규기념사업회, PKM갤러리 제공
|
|
|
📌전시 정보
'권진규: 조각가의 릴리프'
서울 종로구 PKM갤러리
12월 9일까지 |
|
|
PKM갤러리에서 조금만 발길을 옮기면 만날 수 있는 '초이앤초이'갤러리에서는 인간을 주제로 한 현대미술가 41명(!)의 작품을 모은 단체전 '휴먼(HUMAN)'이 열리고 있습니다.
독일 사진가 칸디다 회퍼가 기자 생활을 할 때 찍었던 초기 사진부터, 한국의 대표적 작가인 권순철의 자화상과 '영혼', 안창홍의 '누드 모델' 연작, '붉은 산수'로 유명한 이세현의 자화상 그리고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젊은 한국계 작가의 작품까지 아주 다양한 스펙트럼이 펼쳐집니다. |
|
|
칸디다 회퍼 'Liverpool XIV'. 사진: 초이앤초이 제공 |
|
|
갤러리 측은 인간에 대한 질문은 오래 전부터 끊임없이 이어져왔지만, 인류의 영향이 지구 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류세에 들어서면서 현대인으로서 살아가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탐구하는 것이 더 절실해졌다고 보고 이런 전시를 기획했다고 설명합니다.
또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급부상하면서 인간의 정의를 어디까지 볼 수 있느냐는 논쟁도 벌어지는 가운데, 이에 대한 이야기를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끌어내고자 합니다.
다만 이런 맥락보다는, 각기 다른 환경과 연령대에서 작가들이 바라본 천차만별의 인간 모습을 보는 재미가 더 있습니다. 답을 찾기 보다 각자의 차이점을 비교해보기에 좋습니다. 그만큼 굉장히 많은 작품이 걸려 있습니다. 나는 어떤 작품이 끌리는 지 찾아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
|
|
이세현의 자화상이 전시된 초이앤초이 '휴먼' 전시 전경. 사진: 초이앤초이 제공. |
|
|
📌전시 정보
휴먼(HUMAN)
서울 종로구 초이앤초이 갤러리
12월 31일까지 |
|
|
※ 의견 보내기를 클릭하시면 답변 폼으로 연결됩니다. |
|
|
😊: 지난 뉴스레터를 보고 보내주신 의견을 소개합니다.
🔸잠깐의 읽음이었는데....신선하며 본질적인 자신의 삶에 대하여 돌아보게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바쁘게 그리고 피곤하게 살고 있는 자신을 잠시나마 돌아보게 되고....또 다시 매일의 일상을 어떤 모습으로 그리고 어떤 자세로 살아야 하는지 생각하게 한 내용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감 한스푼 늘 잘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이렇게 듬뿍 영감 한 스푼, 한 국자를 주시네요. 맞아요. 미술관에 갈 때마다 분명 거길 관리하는 사람들도 있는데도 마치 없는 사람인듯, 자체 스킵해서 지우고 볼 때가 있잖아요. 정작 그분들에게 미술관은 어떻게 보일까, 매일 매일 미술품으로 둘러싸인 삶은 어떨까, 수많은 사람들이 쉬러, 혹은 감상하러 오는 곳에서 일하는 건 어떤 기분일까 오늘 영감 한 스푼을 보고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었습니다. 지난 2016년에 송은미술대상을 탄 김세진 작가의 영상작품 <도시은둔자>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미화원 일상을 담았잖아요. 그때 내게는 휴식으로 가는 미술관이 누군가에게는 보이지 않는 노동을 수행하는 공간이란 점에서 달리 보였고 이후 미술관을 갈 때마다 약간의 긴장감과 불편함이 존조했습니다. 있지만 존재를 지워야하는, 은둔해야 하는 노동의 장소. 그런데 오늘 작가님의 영감 한스푼을 보고 새삼 미술관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삶이 또 그렇게 딱딱하지만은 않고, 세상에서 가장 매혹적인 일터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자분자분 풀어주시는 책의 구절을 따라가다 보니 이 책을 읽고 싶어졌고요. 같은 공간이라도 어떻게 보게 될지 렌즈를 바꿔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영감 한 스푼, 한 그릇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돌멩이)
👉 김세진 작가의 작품, 저도 기억 나네요. 레터의 내용을 깊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미술관에서 만나는건 내자신이다 명언입니다 고맙습니다
🔸좋은책 추천감사드립니다 당장구입해 읽고싶어지네요(psyj)
🔸언뜻 보며 궁금했던 책이었는데 이런 내용이였군요 흥미롭네요 다양한 분야로 소개 받아 좋습니다ㅎㅎ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 전시 소개도 재밌게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오늘의 '영감 한 스푼'이 전해드릴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더 가까운 소통을 원하신다면 저의 인스타그램(@mini.kimi)으로도 찾아오셔서 편히 이야기 나누어주세요.
김민 드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