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연구교수 성과확산센터 뉴스레터 제33호
학술연구교수 성과확산센터 뉴스레터 | 발행인: 박정원(한국외국어대학교)
 🌈 학술연구교수 성과확산센터 웹페이지에서 
 인문사회 학술연구교수 연구환경 분석 및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의 대상 연구환경 분석 및 실태조사는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의 연구 환경 및 지원제도에 대한 실태 파악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24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네이버폼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총 1,17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설문에 응답한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는 2021년~2023년 선정자가 대부분이며, 여성 770명 (65.6%)과 남성 404명(34.4%)으로 여성 응답자가 남성 응답자보다 약 두 배 많습니다. 조사에 응답한 연구자의 평균 연령은 49세, 주요 연령대는 43세에서 55세입니다(25% 구간 43세, 50% 구간 49세, 75% 구간 55세).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면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 환경 분석 및 실태조사 분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24년 9월 1일부터 12일간 분석. 분석 및 시각화 박준범).
🌈 【AI SSUE】 AI를 활용한 3가지 혁신적인 인문학 연구 사례
성과확산센터 웹페이지 【AI ISSUE】에 발행된 글입니다. AI 프롬프트 활용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와 글들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AI ISSUE】를 클릭하면 성과확산센터 웹페이지의 해당 메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메타설명: AI 기술을 활용해 인문학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고 있는 3가지 혁신적인 연구 사례를 소개합니다. 연구자들이 AI를 통해 어떻게 인문학 연구를 발전시키고 있는지 살펴보세요.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문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연구 방법론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기계학습과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해 인문학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I를 활용한 3가지 혁신적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AI를 활용한 역사 기록 분석의 혁신

빅데이터와 AI의 만남으로 열리는 새로운 역사 연구의 지평

  역사 연구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방대한 양의 역사 기록을 AI로 분석하면 인간의 눈으로는 놓치기 쉬운 새로운 패턴과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역사학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

  최근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와 옥스퍼드 대학이 협력하여 개발한 ‘히스토리GPT(HistoryGPT)’는 수백만 건의 고문서를 학습하여 역사적 사건들 사이의 숨겨진 연결고리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AI 모델은 특히 중세 유럽의 무역 루트와 전염병 확산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혀내 학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AI 기술의 발전으로 다음과 같은 역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1. 대규모 데이터 처리: 수천 년에 걸친 방대한 역사 기록을 단시간에 분석
  2. 패턴 인식: 시대와 지역을 넘나드는 역사적 패턴 발견
  3. 객관성 향상: 인간의 편견을 줄이고 데이터에 기반한 객관적 분석 가능
  4. 학제간 연구 촉진: 역사학과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 분야의 융합 연구 활성화

  하버드 대학의 역사학과 니얼 퍼거슨(Niall Ferguson) 교수는 “AI 기술은 역사 연구의 판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수천 년의 역사를 새로운 렌즈로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과 자연어 처리로 고문서 해독의 혁명

  AI 기술 중에서도 특히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은 고문서 해독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수백 년 전의 필체나 고어(古語)로 작성된 문서도 정확하게 해독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예를 들어,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디지털 역사 프로젝트’팀은 AI를 활용해 18-19세기 미국 남부의 노예 매매 기록 100만 건 이상을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노예 제도의 경제적 영향과 가족 분리 패턴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과 NLP 기술의 주요 적용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문서 디지털화: 손으로 쓴 문서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
  • 언어 변화 추적: 시대에 따른 단어 사용의 변화와 의미 변천 분석
  • 감정 분석: 역사적 문서에 나타난 저자의 감정과 태도 파악
  • 주제 모델링: 대량의 문서에서 주요 주제와 트렌드 추출


  프랑스 소르본 대학의 역사언어학자 마리 뒤부아(Marie Dubois) 교수는 “AI 기술 덕분에 우리는 이제 수백 년 전 사람들의 목소리를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역사 연구에 새로운 차원을 열어주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역사학자들에게 새로운 도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도 역사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Books Ngram Viewer’는 수백 년간의 책에서 특정 단어나 구문의 사용 빈도를 시각화해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언어와 문화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결론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문학 연구와 교육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AI는 인문학 데이터 분석과 해석, 교육 방식 개선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혁신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앞으로 AI와 인문학의 융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성과확산센터 포럼 및 성과발표회 미참여 교수님을 위한 데이터스쿨 수강 안내 ⭐️

📣 성과확산센터 포럼, 성과발표회 등 성과확산센터 주관 행사 참여는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A유형) 선정자의 의무사항입니다.
📣 선정 시기를 기점으로 연1회 이상 참석하시면 됩니다.

📣 강의, 회의 및 출장 등의 일정으로 참여가 어려우셨던 연구교수님을 위해 이수증 발급 강의를 마련하였습니다!


▶️ 수강방법
   성과확산센터 웹페이지 메뉴 회원가입|로그인 -> 회원가입 후 로그인 -> 데이터 스쿨 -> 이수증  발급강의 -> 희망 강의 수강
☑️ 데이터 스쿨의 이수증 발급 강의는 제3회 학술연구교수 성과확산센터 포럼, 제3회 학술연구교수 성과확산센터 성과발표회, 콘텐츠 큐레이션, 데이터시각화: 태블로, 큐레이션 플랫폼: 노션 이 있고, 이 중에서 한 강좌를 선택하여 수강하시면 됩니다.
☑️ 강의는 설정된 시간 동안 수강해야 이수증이 정상 발급됩니다.
☑️ 빨리감기나 건너뛰기를 하면 이수증이 발급이 되지 않습니다.

▶️ 이수증 제출 안내
☑️ 수강 완료 후 발급하는 이수증을 저장하여 sahng42@naver.com으로 제출해 주세요.
☑️ 이수증 제출 시 파일명은 성함_소속.pdf 또는 성함_소속.jpg 로 입력해 주세요.
📣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A유형)는 "연구성과 확산 활동" 의무가 있습니다. 논문, 학술발표, 저술 활동, 수상 및 기사 보도와 오프라인 강의 뿐아니라 온라인 강의 연구 성과물에 대한 많은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를 부탁드립니다. 
▶️ 한국연구재단: e-R&D 시스템을 통한 결과보고서 및 성과물 제출(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
▶️ 성과확산센터: 연구성과 발생 시 이메일로 제출(담당자가 아카이브에 반영)
➡️ 담당자 이메일: sahng42@naver.com(정상현 연구원)
  • 트     랙 : A-2
  • 선정연도 : 2020
  • 소속기관 : 서울대학교
  • 과 제 명 : 법적 판단과 의사결정의 인공지능 시스템화 연구- 성범죄에서 AI 기반 형사사법 리걸테크(Legaltech)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손지영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손지영 교수님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인지과학적 관점에 의한 형법상 행위와 고의의 재조명」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독일 괴팅겐대학교 Post-Doc. 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ost-Doc. 연구원, 사법연수원(대법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사법정책연구원(대법원)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학문 융합적 관점에서 형사사법의 과학화와 시스템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법의 영역에 대한 심리과학-인지과학-인공지능 융합연구를 하는 연구자입니다. 인문사회 학술연구교수 지원사업에서는 법적 판단과 의사결정에 대한 다양한 인공지능 시스템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수의 논문과 역서를 출간하였습니다. 특히 “진술증거와 재판상 자유심증 형성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리걸테크를 위한 아동 장애인 진술신빙성 판단 과정 체계화-”(2023) 논문은 한국제도경제학회 2024년 한국제도경제학술상(등재학술지)’ 논문 부분 대상(1명)을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이론적 탐구에서 나아가 실제 과학기술 도구 개발 R&D 과제를 제안하여, 2023년 3월, 과기정통부/경찰청 “폴리스 랩 2.0 과제”에 “인공지능과 클라우드를 활용한 아동 목격자 맞춤형 비대면 진술조서 지원 시스템 개발(총 2년 6개월, 연구비 10억)”이 선정되어 서울대 연구책임자로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법심리학』은 에디 그린(Edie Greene) 교수(University of Colorado)와 커크 헤일브런(Kirk Heilbrun) 교수(Drexel University)의 Wrightsman’s Psychology and the Legal System(9 ed., Cengage, 2019)을 완역한 것으로, 미국의 법학전문대학원, 법학관련 학과, 심리학과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

손지영 교수는 역자로 참여하였으며, 연구논문으로는 The Application of AI in Criminal Justice and the Realization of “Justice of Prediction”: Contemporar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Legaltech, AI를 활용한 아동 진술증거의 신뢰성 확보 방안 연구, 인공지능 사회와 ‘예측의 정의(Justice),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재범방지 등이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제7회 한국제도경제학술상' 논문부문 대상 수상자 선정
데이터 영상 강의: 큐레이션 플랫폼 노션
강사: 박정원(한국외대 중국학대학 교수, 성과확산센터 연구책임자)
노션(Notion)은 칸반 보드 관리, CRM 활용, 위키데이터베이스로 사용이 가능하며, 해야할 일을 계획, 정리, 저장, 공유하는 것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툴입니다. 

   노션은 간단한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고, 팀 프로젝트 일정관리를 협업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생성한 결과물을 아주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노션은 단순한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하여 입체적인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노션 강의 영상은 총 7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큐레이션 플랫폼: Notion


                      1차시: 기본 블럭, 인라인

                      2차시: 데이터베이스

                      3차시: 데이터베이스 필터

                      4차시: 고급블록, 스타일

                      5차시: 수식, 관계형, 롤업, 템플릿

                      6차시: 수식 함수

                      7차시: 위젯, 클리퍼, 오디오북

교육 역량 강화
박정원 저, 『네트워크 데이터 큐레이팅』
『네트워크 데이터 큐레이팅』은 네트워크 분석에서 데이터 큐레이팅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큐레이팅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GephiVOSviewer는 강력한 기능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네트워크 분석 입문자부터 전문가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두 소프트웨어의 주요 기능과 활용법을 상세히 안내하여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인 설명뿐만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큐레이팅 과정을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사회 연결망 분석, 텍스트 분석, 학술 연구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응용 분야 사례를 통해 네트워크 분석의 가능성과 활용 범위를 탐구합니다.
네트워크 분석의지속적인 발전과 응용 분야의 확대로 데이터 큐레이팅은 더 중요해졌습니다. 이 책은 네트워크 분석을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필수적인 지침서될 것입니다.
학술연구교수 성과확산센터

연구책임자: 박정원(한국외국어대학교, 010-9131-6127)
공동연구원: 박구용(전남대학교), 강병구(서강대학교), 변지원(방송대)
전임연구원: 정상현(한국외국어대학교, 010-3543-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