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7.(화)
안녕하세요. 님
저는 생명다양성재단 야생신탁 홍보 담당자 지니 연구원이에요! 앞으로 메일을 통해 관련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야생신탁의 진행 상황이 궁금하셨을 텐데요. 프로젝트 진행 과정과 비하인드 스토리들을 메일로 자세하게 전해드릴게요. 그럼, 우리 메일에서 자주 만나요!😉
새로운 야생신탁 소식
1. [야생신탁 선정지] 계약 비하인드 스토리
2. [가건축물 철거] 어떤 식물과 동물들이 공간을 채울까요?
3. [참여 프로젝트] 야생액션 동료를 찾습니다! | 강연모임 '죽은 땅들의 사회' 후기

 야생신탁 선정지 

계약 비하인드 스토리

지난 3월부터 우리는 '부동산인 토지를 생명공동체인 땅으로 되돌리는' 야생신탁 프로젝트를 위해 바쁘게 움직여왔어요.🏃


4월에는 토지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임야를 찾아다녔고, 6월에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곡리 408평 임야를 최종 선정했죠! 이제 계약을 체결하면 되겠다고 생각했지만, 그것도 쉽지 않은 과정이었어요.😂

불꽃 튀던 💥부동산 계약 스토리를 야생신탁 담당자인 박지연 연구원이 전합니다.

흥정을 하게 될 줄은 몰랐어요.

야생신탁 부지의 가격은 원래 1억 원이었습니다. 주변 부동산 전문가분들께 해당 부지와 주변 시세를 말씀드리며 상담을 받아보니 가격 흥정을 해보는 것이 좋겠다는 답변을 주셨습니다. 저를 포함한 재단 사람들 모두 가격 흥정엔 소질이 없는 사람들이라 난감했지요. 그래도 어떻게 하겠어요. 깎아야 한다면 깎아야지요! 땅 주인분과 협상이 시작됐습니다.📄


땅 주인🗯️ ”가계약 협상 취소하겠소.”

부동산 사장님은 1억 원은 그 땅에 적당한 가격이라는 말과 함께 땅 주인과 상의해 보겠다는 말씀을 주셨지만, 그 이후로 답은 없었어요. 그리곤 가계약 당일날이 되었지요. 그런데 그날 아침 저는 약속이 취소되었다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너무 갑작스럽고 일방적인 결정이어서 부동산 사장님께 이유를 물으니 🗣️“땅 주인이 가계약 과정을 거치고 싶지 않아 한다, 바로 계약을 원한다. 그리고 그 사이 누군가 땅을 보러 왔다"라고 하셨어요. 순간 저는 앗, 지금 전술(?)이 펼쳐지고 있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주변 부동산 전문가분들께 상황을 설명 드리며 상담을 받고 재단에도 허락을 구한 후  “당장은 계약금을 지불할 상황이 안되니 다른 땅을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라고 초강수를 날렸어요.💥 계약 파기의 상황까지 각오를 하긴 했지만, 오랜 조사를 거쳐 어렵게 찾은 부지이기에 가슴 속으론 무척 조마조마했습니다. 그렇게 몇 주를 보냈지요.

24.07.24. 부동산 계약 체결

그러다가 야생신탁 모금 활동을 시작하기 며칠 전 부동산에 다시 연락했어요. 그리고 1천만 원을 낮춘 9천만 원에 계약을 성사🎉시켰습니다. 그리 큰 금액이 아닐 수도 있겠지만, 우리 재단의 소중한 재산과 후원금을 지켜냈으니 제 인생 최고의 흥정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박지연 연구원

 가건축물 철거 

어떤 식물과 동물들이 공간을 채울까요?

가건축물 철거 전/ 철거 중 모습

선정지 내에는 인공적으로 설치된 가건물과 밭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이 땅을 자연에 온전히 되돌려주기 위해 생태계 흐름을 방해하는 인공물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죠. 철거 중인 그 모습을 사진으로 공유합니다.
모두 비워진 뒤면 자연스럽게 주변 숲에서 다양한 씨앗이 날아오고, 인근 저수지에서 발견된 야생 동물들도 찾아오겠지요? 그렇게 이 땅이 조금씩 야생과 더 어울리는 모습을 되찾아 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참여 프로젝트 

님과 함께하는 야생액션

📣야생액션 동료를 찾습니다!

포스터를 붙일 수 있는 벽면을 갖고 계신 분들이라면 누구든 야생액션에 함께할 수 있어요.


야생신탁 포스터를 여러분이 운영하는 공간의 알림판 등에 붙여 전국 곳곳 많은 사람들이 야생신탁을 알고 함께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태어 주세요!

👇포스터는 아래 버튼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강연모임 '죽은 땅들의 사회' 후기

지난 21 수요일, 아래 지하 공간에서 강연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땅에서 들릴 법한 다양한 풀벌레 소리, 여러 동물들의 발소리와 함께 균근들의 강연이 이어졌답니다.🐛


‘죽은 땅들의 사회’ 영상은 곧 생명다양성재단 유튜브를 통해서도 공개될 예정입니다

야생신탁 토지 구매 모금 달성률 39%
10월 31일까지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더 많은 분들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주변에 널리 공유해 주세요!
생명다양성재단
hello@diversityinlife.org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 B319-8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