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메시지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의역/편집이 있습니다.
🗑️ 쓰레기 정보
역사적으로 설탕(당)은 부족한 에너지원이었기 때문에 우리 인간은 설탕을 갈망하도록 진화했습니다. 하지만 설탕을 직접 생산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면서 설탕은 우리에게 해로운 것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정보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보 과잉의 시대에, 한때 집중력의 원천이었던 우리의 '호기심'은 이제 우리를 산만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온갖 쓰레기 정보로 우리를 멍청하게 만드는 지적 비만을 가져왔습니다.
버클리 대학교 연구진의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정보는 음식과 같은 방식으로 뇌의 도파민 생성을 촉진한다고 밝혀졌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뇌는 그 정확성이나 유용성과 무관하게 정보 그 자체를 보상으로 취급한다는 것이죠.
우리는 지금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의 주의력을 끌기 위해 노력하는 '관심 경제(주목 경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저품질의 정보도 고품질의 정보만큼이나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우리가 살아가는 디지털 시대에 사람들의 주의력을 사로잡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일종의 패스트푸드와 같은 쓰레기 정보(junk info)를 대량 생산하는 것입니다.
제가 말하는 쓰레기 정보란 실용적이지도 않고, 삶을 더 낫게 만들어주지도 않으며, 사고력을 향상시켜주지도 않는 말그대로 쓰레기와 같은 정보입니다. 아무런 영양가도 없는, 오히려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위험할 수 있는 정보들이죠. 대표적으로 가십, 낚시성 콘텐츠(click-bait), 악의적 마케팅 등이 있습니다.
가장 빠르게 퍼져나가는 쓰레기 정보는 대체로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정보입니다. 그 중에서도 '분노(outrage)'가 가장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죠. 분노는 만들어내기 쉽지만 그에 비해 중독성과 전염성 측면에서 매우 강력합니다. 그래서 온라인에서 주목받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이 활용하기도 합니다. 뉴욕 타임즈와 같이 한때 존경받던 언론사들도 이제는 구독자들을 분노하게 만들어 관심을 최대한으로 끌어내기 위해 선정적인 기사를 쏟아냅니다.
오늘날 우리가 소비하는 대부분의 온라인 콘텐츠는 세상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지 못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를 뒤적거리는 사람들은 방금 읽은 내용을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인지력이 떨어지고 정보 처리 능력이 떨어지는 '규범적 해리'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쓰레기 정보는 여전히 맛있습니다. 도파민 경로는 유용한 정보와 쓰레기 정보를 구분하지 못하므로 우리는 쓰레기 정보를 소비하며 무언가를 학습하고 있다는 만족감, 정신적 영양분을 공급받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결국 이러한 쓸모없는 정보에 중독되면 우리는 '지적 비만'이라는 병에 걸리게 됩니다. 정크푸드를 많이 먹으면 뱃살이 나오고 몸이 비대해지는 것처럼, 쓰레기 정보를 많이 주워먹으면 우리의 정신 역시 비대해지고 그중에서 절반 정도는 기억도 나지 않는, 주의력이 분산된 정신을 갖게 됩니다.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분하지 못해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걱정하고 가짜 뉴스에 쉽게 분노하게 됩니다. 이러한 걱정과 분노는 더 많은 쓰레기 정보를 소비하게 만들고, 우리는 진정한 학습, 집중, 사고 등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마음의 동맥경화에 걸립니다.
우리는 쓸모없는 정보에 중독되어 끊임없이 주의가 산만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산만함은 너무 강력해서 우리는 스스로 주의가 산만해지고 있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리게 만듭니다. 아마 여러분도 이 글을 읽고 난 뒤, 쓰레기 정보의 피해에 대해 잠깐 생각해본 뒤, 다시 릴스를 켤 수도 있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