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장에서의 생생한 경험이 덧붙여졌습니다. 박선영 루닛 사업전략실장은 "임상적으로 악성 폐 결절이나 유방암 진단에서 전문의 단독으로 진단하는 것보다 AI 솔루션을 활용했을 때 진단의 정확성이 상승했다"고 밝혔고, 나군호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장 또한 "의사로 일할 때의 고충을 담아 사내 병원에서 AI를 통해 1차 분석과 의료 노트 작성을 돕는 서비스를 도입했는데, 의사와 환자 입장에서 모두 효율적"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다만, 토론자 모두 생성형 AI가 단독으로 사이버 닥터, AI 주치의로서 역할 하는 등 기술에 주도권을 넘긴 활용에 대해서는 깊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특히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분야인 만큼 무거운 책임 아래 인간과 기술이 서로를 보완하는 관계에 무게중심을 두고, 현재 사회의 표준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AI와 현실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했지요.
이는 비단 의료 분야에만 국한된 이야기는 아닐 겁니다. 토론자로 참여한 강성지 웰트 대표는 토론 말미 "우리보다 똑똑한 자식을 어떻게 가르치고 통제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AI가 우리를 능가할 정도로 발전했을 때 그들이 제시하는 솔루션을 어떻게, 어느 정도로 받아들일지 미리 고민이 필요하다고요. 바로 지금, 그에 대한 충분한 고민이 이뤄졌을 때 우리는 한층 진보한 세상에서 AI와 더불어 사는 삶을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
p.s. 포럼의 주요 내용을 담은 인사이트 글과 하이라이트 영상을 함께 살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