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라미드부터 부캐 열풍까지, 프로젝트의 힘 프로젝트라는 건 대체 무엇이고, 그 특별함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 〈프로젝트 피플〉은 3회에 걸쳐 '프로젝트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② 프로젝트에 관한 아주 짧은 역사 ③ 시작하는 프로젝트 피플을 위한 최소한의 안내서 인사이트 프로젝트에 관한
아주 짧은 역사 지난 번 〈당신에게 프로젝트란〉 설문 답변을 정리하면서 요즘 사람들의 머리속에서 프로젝트라는 단어가 차지하는 위치를 흐릿하게나마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아무래도 '멋진 프로젝트를 하는 사람'으로는 윤종신, 니키리와 같이 매스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각인된 유명인들이 많이 언급되었는데, 특히 음악, 영화, 미술과 같은 문화·예술 종사자들이 많았다. 한편 '기회가 된다면 해 보고 싶은 프로젝트'로는 공예, 출판, 프로그래밍 아이디어가 다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정작 '프로젝트'라는 것의 역사를 살펴보면 이렇게 개인 주도로 창의성을 발휘해 예술적, 기술적인 목표를 달성해 내는 프로젝트이 대중적 관심을 끈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과거에는 주로 건설이나 토목, 과학, 군사와 같은 분야에서 국가나 기업이 주도해서 추진하는 대규모의 과업들을 '프로젝트'라고 불렀다면, 최근에 와서야 이 단어를 문화·예술 분야나 개인이 기획한 활동에도 경계 없이 쓰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프로젝트'라는 말이 이처럼 여기저기 쓰이게 된 것이 그저 한 단어의 유행에 불과한 것일까? 아니면 세상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어떠한 중요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일까? 프로젝트의 정의 프로젝트의 역사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젝트를 명확히 정의내릴 필요가 있다. 프로젝트 관리 분야의 국제적인 표준으로 통하는 PMBOK 가이드는 프로젝트를 "하나의 유일무이한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수행되는 일시적인 노력"으로 정의한다. 일시적이라는 것은 분명한 처음과 끝이 있음을 뜻한다. 몇 년, 몇십 년이 걸리는 프로젝트도 있지만, 영원한 프로젝트란 없다. 예전에 없던 고유한 무언가를 창조해내기 위한 시도로서, 평소에 하는 상시 활동과는 달리 한 번 하면 끝나는 일회성 활동이라는 점 또한 중요하다. 프로젝트(project)라는 단어의 어원은 라틴어로 '미래를 향해(pro-) 던진다(-jacere)'의 결합이다. 즉 프로젝트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미래에 이루어졌으면, 혹은 만들어졌으면 하는 어떤 결과를 내기 위해 현재인 지금 기획하는 무언가를 말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하나의 기획 없이 이미 완료되어 있는 이런 저런 일들을 추후에 묶어서 '프로젝트'라고 부를 수는 없다. 이처럼 특정 시간 속에 존재하면서 단 한 번만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불확실성은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속성이다. 우리가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프로젝트가 성공할 것임을 미리 확언할 수는 없다. (만약 결과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일이라면 그 일은 프로젝트로 볼 수 없다.) 프로젝트는 알 수 없는 미래에 우리가 의도를 적용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불확실한 시도인 것이다. 최초의 프로젝트들 현대 사회에서 프로젝트가 중요해졌다고 해서 프로젝트가 옛날에는 없었다가 갑자기 생겨난 것은 아니다. ![]()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기원전 26세기에 완공된 이집트 기자의 대피라미드가 기록된 최초의 프로젝트라고 말한다. 피라미드라는 엄청난 건축물을 완성시키기 위해 업무의 범주, 일정, 품질, 자원, 위험 요소 등에 관한 계획과 실행이 필요했으리라는 것이다. 그 당시 건축은 파라오의 권한으로 무한정의 노동력이나 시간을 투입했을 것처럼 보이지만, 기록을 살펴보면 아무리 많은 자원과 권력이 있다 하더라도 일을 작게 쪼개고 우선순위를 정해서 실행하는 정교한 계획이 있었다는 점을 알게 된다. 대규모의 건축물을 만드는 것은 한두 사람의 노력으로는 할 수 없고 큰 규모의 자원이 투입되는 일이었기에,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먼저 자연스럽게 프로젝트 단위로 일이 기획·조직되어 왔다. 현존하는 건축 프로젝트 중 가장 오래도록 진행 중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은 프로젝트의 본질적인 불확실성을 잘 보여주는 예시다. 1882년에 건축가 비야르의 지휘 하에 시작되었다가 이듬해 가우디에게 넘어가고 나서 최초의 계획과 다르게 양식적인 변형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1926년 가우디의 사망과 1950년대의 전쟁 등으로 일시적으로 중단되기도 했지만 꾸준히 진행되어 현재 2026년 완공을 바라보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의 등장 건축·토목 분야에서 인류 최초의 프로젝트들이 오랫동안 진행되어 오기는 했지만,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가 정식 분야로 확립된 것은 정보기술의 발달로 세계화가 본격적으로 가속된 20세기의 일이다. ![]() 1917년에는 가장 오래된 일정계획 기법으로 꼽히는 '간트 차트'가 개발되어 프로젝트에 필요한 작업들을 일목요연하게 표시하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시했다. 간트 차트는 현재에도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애용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세계 최초로 핵폭탄을 개발한 '맨해튼 프로젝트', 냉전 시대에 '인간을 달에 착륙시킨 후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 '아폴로 프로젝트' 등은 군사적·정치적 목적으로 최신 과학기술을 이용해 국가의 주도로 진행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들을 전세계인의 뇌리에 각인시켰다. ![]() 이처럼 고도화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예전보다 더 과학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국가 지도자나 경영자들 사이에서 확산되었다. 미국방부는 1962년에 WBS(Work Breakdown Structure)라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정립해 모든 프로젝트 관리에 적용했고, 유럽에서는 1964년에 IPMA(International Project Management Association)이라는 최초의 프로젝트 관리 국제 기관이 설립되기도 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급격히 발전하는 컴퓨터와 정보통신 분야가 프로젝트 관리의 진화를 주도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은 토목 공사와는 달리 개발 지연이 발생하는 원인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영국 정부는 국가 주도 소프트웨어 개발이 항상 계획보다 늦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PROMPTII Method라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정립했고, 비슷한 시기 IBM의 임원 프레드 브룩스는 "지연되는 개발 프로젝트에 사람을 더 넣으면 그만큼 더 지연된다"는 명언을 남겼다. 이후 80~90년대를 거치며 전세계 수많은 개발자들과 경영자들이 프로젝트 관리 분야를 고도화하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여러 작은 팀들이 상호의존성을 띈 소프트웨어의 여러 부분들을 점진적으로 개발하는 스크럼(Scrum) 방법론의 경우 1986년에 처음 제안된 이래 IT 분야에서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창조적 활동의 프로젝트화 특출난 예술가 또는 장인의 손에서 작품이 탄생하고 도제와 같은 방식을 통해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것이 근대의 예술 작품 또는 문화적 콘텐츠의 기본적인 창작 방식이었다면, 20세기에 들어서는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이러한 크리에이티브 분야 역시 여러 사람의 협업, 기획된 자본의 투여, 특정 산출물을 조건으로 한 일시적 참여 등을 특징으로 한 프로젝트 형태가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 영화 등 대중예술 분야에서의 프로젝트와 역사 최초의 대중적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그리고 개인의 인생까지도 프로젝트 단위로 변화하고 있는 '모든 것의 프로젝트화'에 대한 이야기는 전문에서 이어집니다 > 글 김괜저 / 일러스트 최재훈 오늘의 '동경' 인디 음악가 천용성의 신작 <수몰> 프로젝트 스토리에 프로듀서 단편선이 보탠 말. 프로젝트 보러가기 스크랩 텀블벅 커뮤니티가 오랫동안 기다려 온 모바일 앱이 드디어 출시되었다. 알림을 통해 프로젝트 소식과 메시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하단 바를 이용해 프로젝트 둘러보기, 좋아한 프로젝트 등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보컬 백예린을 중심으로 고형석(베이스), 조니(기타), 김치헌(드럼)이 결성한 록 밴드 더 발룬티어스(The Volunteers)의 앨범 출시 인터뷰. '임팩트스테이션'에서 넥스트 숏-폼이라는 제목으로 단편 영화, 웹 드라마, 웹 예능 등 5분에서 30분 사이 콘텐츠 공모를 받는다. 첫번째 책 〈유물즈〉를 통해 문화재 전문가와 일반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던 작가 김서울의 신작 〈아주 사적인 궁궐 탄생〉 출간 기념 인터뷰. 김서울은 텀블벅을 통해 〈뮤지엄서울〉을 연재, 출간하기도 했다. 글로벌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는 각국의 인디 아티스트들을 전 세계 청취자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 '프레시 파인즈(Fresh Finds)' 글로벌 프로그램을 론칭했다. 관련해 공개된 플레이리스트의 커버에는 힙합 아티스트 EXN(을씨년)이 실렸다. 지난호 뉴스레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