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뉴스레터 ‘타파스’를 만들고 있는 현PD😎입니다. 이번 주 타파스는 지난 주에 이어서, 뉴스타파가 확보한 검찰 예산 자료 검증 특집으로 꾸며 봤어요. 오늘은 그 중에서도 특수활동비(특활비) 예산에 대해 집중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특활비란 말 그대로 ‘특수한 활동’에 지원되는 예산입니다. 국가 예산 책정과 관리를 담당하는 기획재정부는 매년 각 공공기관에 예산 집행 지침을 전달하는데요. 이 지침에서 ‘특수활동비’ 항목은 아래와 같이 규정되어 있어요.

▲ 기획재정부에서 작성한 예산 집행 지침 중 특수활동비 항목.(2022년 기준)

위 자료를 보면, 특활비는 ‘기밀유지가 요구되는 정보 및 사건수사, 또는 이에 준하는 국정수행활동’에 써야 한다고 정해져 있죠. 그렇다면 검찰은 과연 이 특활비를 목적에 맞게 잘 쓰고 있었을까요?🤔


지난 주에도 말씀드렸듯이, 뉴스타파와 시민단체들은 약 3년 반의 소송 끝에 검찰의 특활비 사용 내역과 증빙자료 등을 확보했습니다. 물론 일부 자료는 아예 흔적도 없이 사라진데다, 그나마 남아있는 자료도 상태가 엉망인 경우가 많았지만요.😅
(뉴스타파가 입수한 검찰 특활비 자료는 <검찰의 금고를 열다> 특별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뉴스타파와 시민단체들은 남아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검찰 특활비가 지금까지 어떻게 관리되어 왔는지 그 윤곽을 알아낼 수 있었어요. 지금부터 뉴스타파가 밝혀낸 검찰 특활비 관리 실태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특활비 156억 원, 월급처럼 ‘정기 지급’ 됐다🤔


이번에 뉴스타파가 확보한 검찰 특활비 자료는 2017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총 29개월간의 자료입니다. 이 시기에 검찰이 쓴 특활비는 총 292억 원에 달했는데요.🤔


이 특활비의 사용 내역을 자세히 살펴보니 특이한 점이 눈에 띄었어요. 전체 292억 원 중 156억 원의 특활비가 매달 일정하게, 어딘가로 송금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는 전체 특활비 집행 금액의 53.4%로 절반이 조금 넘는 비율입니다.

▲ 특활비 292억 원 중 156억 원은 월급처럼 ‘정기 지급’되고 있었습니다.

먼저 이 ‘정기 집행분’ 156억 원 중 80억 5천만 원은 전국의 검찰청에 매달 계좌 이체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검찰청 특활비 지급 내역에 매달 64~65개의 관서(官署)에 돈을 보냈다고 적혀 있는데, 이 숫자가 전국 검찰청의 숫자와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나머지 75억 5천만 원은 15~17명의 사람이나 기관이 매달 현금으로 가져간 것으로 보여요. 다만 검찰이 대부분의 정보를 가려 뒀기 때문에, 누가 왜 이 돈을 가져갔는지는 파악할 수 없었습니다.🤨


처음에 말씀드렸듯이 특활비는 ‘기밀 수사 등 특수한 활동’에 써야 하는 돈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각 검사나 검찰청이 필요할 때마다 특활비를 신청하고, 검토 후에 필요한 만큼 돈을 보내주는 것이 올바른 관리 방식이겠죠.


그런데 매달 일정한 돈이 마치 월급처럼 지급됐다는 것은, 특활비의 본래 목적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정황입니다. 특활비가 필요한 ‘특수 상황’이 매달 똑같이 일어나고 있는걸까요?🤔 그게 아니라면 특활비가 각 검사나 검찰청의 일반 경비처럼 쓰이고 있는걸까요? 어느 쪽이든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검찰총장 전용 특활비’ 136억 원, ‘이중 장부’로 관리😰


위에서 특활비 292억 원 중 절반 가량이 월급처럼 ‘정기 집행’ 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절반은 어디에 어떻게 쓰였을까요?🤔


놀랍게도 나머지 절반은 검찰총장이 전권을 가지고 있는 ‘총장 전용 특활비’로 밝혀졌습니다. 뉴스타파는 앞서 살펴본 ‘정기 지급분’ 이외에 다른 종류의 문서를 찾아냈는데요. 검찰총장 비서실에서 작성한 이 문서의 제목은 바로 ‘검찰총장 특수활동비 집행내역’ 이었습니다. 


그리고 문서 하단에는 검찰총장 한 사람의 서명이 적혀 있었어요. 즉 검찰총장이 지출 전권을 가지고, 총장 비서실이 관리하는 예산이 따로 존재했다는 뜻이죠.🤔

▲ 2019년 8월 검찰총장 특활비 집행내역. 문서 하단에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의 서명이 적혀 있습니다.

이렇게 검찰총장이 직접 결재한 예산에는 한 가지 특징이 있었습니다. 바로 한 번에 나가는 돈이 많았다는 거예요. 5천만 원, 8천만 원 등 수천만 원대 지출도 많았고 한 번에 1억 원이 나간 경우도 많았어요. 29개월간 이렇게 지출된 돈을 전부 합치면 총 136억 원에 달합니다.


또 놀라운 것은 이 ‘총장 전용 특활비’가 별도의 계좌에서 관리됐다는 것인데요. 정리하자면, 전체 특활비 292억 원 중 약 절반에 해당하는 136억 원을 매달 다른 계좌에 넣어두고, 검찰총장이 원할 때마다 수천만 원에서 1억 원을 뽑아서 썼다는 말이죠. 그리고 이렇게 쓴 돈은 ‘검찰총장 특활비 집행내역’ 이라는 이중 장부로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아무리 작은 회사라도 공금을 쓸 때는 법인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부득이하게 현금을 쓸 일이 있다고 해도, 굳이 별도의 계좌로 옮긴 뒤 대표 마음대로 현금을 뽑아서 쓰지는 않죠. 


게다가 이렇게 쓴 돈을 이중장부로 관리하는 것은 예전 재벌 총수들이 비자금을 조성한 것과 매우 유사한 방식입니다.🤔 그런데도 검찰은 굳이 이렇게 위험하고 불투명한 방식으로 136억 원에 달하는 돈을 쓰고 있어요. 이 돈이 다름아닌 국민 세금으로 조성된 것임에도 불구하고요.🤨

문무일 총장 재직 중 ‘무증빙 지출’ 최소 2억 원🤨


이처럼 특활비가 관리되는 방식 자체도 충격적이지만, 그 세부 내용 역시 충격적이긴 마찬가지였습니다. 뉴스타파는 검찰이 공개한 특활비 자료를 하나하나 살펴보며 지출 내역과 증빙자료가 일치하는지, 혹시 누락된 증빙자료는 없는지 확인했는데요.


말씀드렸듯이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2017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총 29개월간의 자료입니다. 이 중 23개월은 윤석열 대통령의 전임 검찰총장이었던 문무일 총장의 재직 기간(2017.7 ~ 2019.7)과 일치했어요.


그런데 놀랍게도, 문무일 총장의 재직 기간 작성된 특활비 장부 중에서 증빙자료와 집행금액이 일치하는 장부는 단 3개월치에 불과했습니다.😰 나머지 20개월치는 증빙자료의 합계와 집행금액이 맞지 않는 ‘엉터리 장부’였는데, 이 엉터리 장부에도 문무일 총장의 서명이 빠짐없이 들어가 있었어요. 


게다가 일부 특활비 집행분은 아예 아무런 증빙자료 없이 지출되기도 했습니다. 문무일 총장 재직 중 이렇게 ‘무증빙 지출’된 특활비는 뉴스타파가 확인한 것만 최소 2억 원 규모입니다.

▲ 문무일 전 검찰총장의 재직 시기, 증빙자료 없이 지출된 특활비는 최소 2억 원에 달합니다.

윤 대통령, “국민 혈세 쓰는 곳에 성역은 있을 수 없습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검찰 특활비의 약 절반이 사실상 검찰총장 마음대로 쓰이고 있는데, 이 돈은 검찰총장 전용 이중 계좌이중 장부로 관리됩니다. 심지어 이 ‘이중 장부’조차도 대부분 증빙자료와 일치하지 않는 엉터리 장부였고, 아예 증빙자료 없이 지출된 돈도 수억 원에 달했습니다.😰


볼펜 하나, 봉투 한 장을 사더라도 공금을 쓸 때는 정확한 기록증빙자료를 남기는 것이 상식입니다. 더군다나 그 공금의 출처가 국민의 세금이라면 더더욱 철저하게 관리해야 되겠죠. 하지만 뉴스타파가 확인한 검찰의 특활비 사용 실태는 우리가 아는 상식과 너무나도 동떨어져 있었습니다.🤔


"국민의 혈세가 그들만의 이권 카르텔에 쓰여진다면 국민 여러분께서 이를 알고 용납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국가 재정은 투명하고 원칙 있게 쓰여져야 됩니다. 국민의 혈세를 쓰는 곳에 성역은 있을 수 없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작년 국무회의에서 위와 같이 말했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은 시민단체, 노동조합, 사교육 시장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이권 카르텔’과 기나긴 전쟁을 치르고 있죠.


수백억 원에 달하는 세금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쓰고 있는 검찰, 그러면서도 아무런 감시를 받지 않는 검찰, 전현직 검사들의 비리와 특혜로 얼룩진 검찰의 모습은 윤석열 대통령이 말하는 ‘이권 카르텔’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윤 대통령의 말대로 국민의 혈세를 쓰는 곳에 성역이 없다면, 스스로가 오랜 세월 몸담았던 검찰에 가장 먼저 개혁의 칼날을 향해야 하지 않을까요. 🌮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기사로 한 입에 쏙!
📰 이런 기사도 있어요
뉴스타파 10년 책 <언론게릴라, 뉴스타파하다>를 드립니다!
올해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 설립 10주년을 맞아 
지난 10년을 기록한 책, <언론게릴라, 뉴스타파하다>를 출간했습니다. 
아직 신청하지 못하신 회원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신청 바랍니다.

뉴스쿨의 학교장이 되어주세요

뉴스타파함께재단과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뉴스타파 첫 보도 10주년을 맞은 지난해 ‘독립언론 100개 만들기’라는 담대한 프로젝트, 뉴스쿨(뉴스타파저널리즘스쿨)을 시작했습니다. 뉴스쿨은 기성 언론 입사를 위한 저널리즘스쿨이 아닌 독립언론 창업을 목표로 하는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입니다. 


그 성과로 1호 독립언론이 탄생하기도 했습니다. 이창호 기자(뉴스쿨 1기)와 홍봄 기자(뉴스쿨 2기)가 합심해 만든 독립언론 <뉴스하다>입니다. 미디어 감시를 전문으로 하는 2호 독립언론도 창간을 앞두고 있습니다.


뉴스쿨은 거대 자본이 아닌 시민들의 자발적 기부와 후원으로 운영합니다. 시민들이 곧 뉴스타파저널리즘스쿨의 학교장이자 설립자입니다. 뉴스쿨의 학교장이 되어주세요. 뉴스쿨에 후원하신 분의 성함을 뉴스타파함께센터 벽면에 남겨 늘 ‘함께’의 의미를 살리겠습니다. 


시민들의 응원 속에 독립언론이 하나 둘, 백 개로 늘어난다면 한국언론 생태계는 분명 바뀔 것입니다. 


*기부/후원 방법

신한은행 140-013-664233 예금주: 뉴스타파함께센터


동판에 이름 새기기를 원하시는 분/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에 접속해 성명과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링크 https://forms.gle/Bx3TPw42vhAGwKJW9

뉴스타파 6월 <회원초청시사회>가 열렸습니다
이번 6월 29일 <회원초청시사회>는 서울 뉴스타파함께센터에서 진행했습니다. 
뉴스타파와 시민단체들(세금도둑잡아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함께하는 시민행동)과의 협업으로 제작한 "검찰의 ‘안하무법’과 사라진 윤석열 영수증"를 함께 시청하고, 담당 제작진과 회원님이 직접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나누었습니다. 
특별히 이번엔 뉴스타파 회원뿐 아니라 뉴스타파를 시청하는 모든 분을 초대했는데요. 아래는 한 구독자 분의 후기입니다. 
"사실 전 그냥 구독자고, 후원자가 아닌데... 불러주셔서 감사했어요. 혼자서 뉴스를 보기엔 지쳐 있었는데, 뉴스타파와 시민단체 분들을 보고 많은 힘을 받은 것 같아요. 기회가 되면 또 가고 싶습니다."
뉴스타파는 매월 마지막 목요일  <회원초청시사회>를 통해 회원님과 구독자님을 만납니다. 서울뿐 아니라 지역에 계신 분들도 직접 뵙고자 하는데요. 앞으로 어느 지역에서 시사회를 할지는 예정되어 있지 않지만, 행사 일주일 전 참여 신청서를 메일로 보내드립니다. 편하게 오셔서 직접 얼굴 보기를 기대합니다.
안녕하세요! 뉴스레터 ‘타파스’를 만들고 있는 현PD😎입니다.
더 나은 타파스를 만들기 위한 의견은 언제나 환영이에요.
newsletter@newstapa.org로 타파스에 바라는 점을 말씀해주세요!
이번 주도 타파스와 함께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뉴스타파는 광고와 협찬을 받지 않고 오직 시민들의 자발적인 후원으로 제작·운영됩니다.
99% 시민을 위한 비영리 독립언론, 뉴스타파의 후원회원이 되어 주세요.
대표전화 02-2038-0977 / 제보전화 02-2038-8029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12-13(04625)

ⓒ The Korea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