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M-November Newsletter(202411_vol.9) |
|
|
1. 2024 3rd Int'l LM Conference
2. 2024 Int'l Board Certification Exam.
4. Class / Course / Program |
5. LM in Focus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Policy, Resources)
6. KCLM Membership Benefits
7. Partner/Collaboration/Participation |
|
|
KCLM 2024 3rd International
Lifestyle Medicine Conference |
|
|
개회사, 축사에서부터 5개국 국내외연자 총 40명(for 11hrs.) ~ !!
자격증유지프로그램(MOC)을 위한 10CME 수료증 발급 |
|
|
Regular(9~11/22), No On-Site |
|
|
주소 :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대중교통 : 2호선 신촌역 2번 출구(출발) ➡️ 연세대교차로 방향 500m ➡️ 횡단보도 건넌 후 ➡️ 금호아트홀 연세 방향(도보 총 17분거리) ➡️ 백양누리관 (도착)
|
|
|
KCLM 2024 3rd Int'l LM Conference 후원 참여 안내 |
|
|
본 국제 생활습관의학 콘퍼런스의 성공적 개최와 국내외 생활습관의학 전문가들 및 참석자들의 학술적 교류와 발전을 위해 후원할 기관이나 후원인을 모십니다.
□ 대상 : 병의원, 기관, 기업, 그룹, 단체, 개인 등
□ 유형 : 골드(300만원), 실버(200만원), 브론즈(100만원)
□ 혜택
- 콘퍼런스 VIP 초대 : 후원유형에 따른 3인 / 2인 / 1인
- KCLM 평생회원십 제공 : 회원유형에 따른 3인 / 2인 / 1인
- 후원대상 소개 : 콘퍼런스 홈페이지, 초록집, 콘퍼런스 행사, 선물 증정을 통한 소개
□ 후원방법 : 010-3291-2354로 문자<콘퍼런스 후원>를 보내주십시오. 연락드리겠습니다.
□ 신청기한 : 11/15(금)
□ 입금계좌 : 하나은행 281-910032-87704 대한생활습관의학원
|
|
|
2024 International Board Certification Exam |
|
|
2024년 6기 국제생활습관의학 보드전문의/전문인 자격증 시험
- 일시: 2024.12.1(일), OT 오전 8시 30분, 시험 9~13(4H)
-장소 : 연세암병원 서암강당(B3) |
|
|
IBLM 6600+ Diplomates from
72 Countries since 2017
IBLM 바로가기 ➔
|
|
|
참고 : 2024 Board Exams around the World(October ~ December)
|
|
|
- Pakistan: October 4, Islamabad
- India: October 7, Delhi
- Qatar: November 2, Doha
- Chile: November 8, Santiago
- Brazil: November 7, Florianopolis
- Saudi Arabia: November 14, Bukayriyah
- Thailand: November 17, Bangkok
- Malaysia: November 23, Kuala Lumpur
- Hungary: November 23, Budapest
|
- Nigeria: November 28th, Lagos
- UK: November 29, London
- USA: at Prometric testing centers during exam weeks (Nov 23 to Dec 8)
- South Korea: December 1, Seoul
- Philippines: December 3, Manila
- Portugal: December 7, Lisbon
- China: December 8, Shanghai
- Australia: December 8, Melbourne
|
|
|
2025년 7기 보드전문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정 및 시험 등록 2025년 1월 안내 !
관심/문의는 office@lifestylemedicinekorea.org로 연락주십시오 |
|
|
보드시험 특별 자료집 : 국제생활습관의학 보드 전문의/전문인 자격증 시험 준비용 |
|
|
7월 1일 출시
<4차 개정판 보드리뷰매뉴얼 한글판>
☑️ LM 기초역량 학습 기회 : 모든 보건의료제공자 및 관심 있는 개인 또는 그룹
☑️ LM 역량강화 업데이트 기회 : LM Diplomates
☑️ KCLM이 직접 인쇄 + 배송으로, 신청에서
매뉴얼 수령까지 최대 3일 가능 !
☑️ ACLM 온라인 코스 접속 코드 제공
10명그룹 10%할인
|
|
|
7월 12일 출시
<미래를 여는 헬스케어 솔루션>
모든 의료제공자를 위한 생활습관의학
진료 지침서
의료계에 부는 변화의 바람!
건강과 의학 그리고 생활과 삶에
새로운 길을 제시하는 생활습관의학
|
|
|
8월 8일 출시
<빛나는 여성의 웰니스를 위하여>
건강하게 나이들고 싶은
여성을 위한 자기관리 12단계
이 책은 모든 여성, 특히 폐경 전후의 중년 여성들이 생애전환기를 맞아, 새롭게 자신의 최상의 모습과 삶을 소망하고 염원하면서, '웰니스 생활습관'을 선택하고 실천하여, 더욱 풍성하고 아름다운 웰빙과 웰니스 라이프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특별히 기획된 안내서이다. 지난 십여 년간 하버드 의대 부속 병원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어 온 12단계의 '웰니스로 가는 길(PAVING the Path to Wellnes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이 책은 웰빙과 웰니스 라이프의 길잡이가 되어 주는 보물 같은 책이다. - 뒷표지 글 중에서-
|
|
|
"Upcoming" KCLM 역서 출간(2025년) |
|
|
"포킷 사이즈의 LM 가이드, 국내 출시"
(2025년 1월 출간 예정)
- LM 진료, 상담, 코칭, 즉석 사용 등을
용이하게 보조하는 가이드 -
이 책은 의학교육과 동시에 과학적 근거에 중요한 주제들을 개념적으로 결합했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으며, 실제로 모든 의료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얇은 두께로 영양, 신체활동, 체중 관리, 스트레스 감소, 약물남용 회피, 건강한 수면, 긍정적 인간관계 등의 영역에 대한 관련 근거를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각 장은 가용한 모든 근거를 자세히 설명하기보다는 ‘필수’에 해당하는 근거의 틀을 세워줍니다. 임상의 교육의 중요한 영역에서 이 포킷 가이드가 가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자 서문 중에서-
|
|
|
1) 1차 출간
1. Lifestyle Medicine Pocket Guide
2. Lifestyle Psychiatry: Through the Lens of Behavioral Medicine 3. Lifestyle Nursing Lifestyle Medicine Series
4. Lifestyle Nutrition
5. Empowering Behavior Change in Patients Lifestyle Medicine: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
|
|
2) 2차 출간 (a translation book publication opportunity is open)
6. Essentials of Clinical Nutrients in Healthcare 7. The Woman Physician's Survival Guide: Thriving From Residency to Retirement |
|
|
[예시] <Lifestyle Nutrition> 목차
|
|
|
1. Lifestyle Nutrition for Physicians and Other Healthcare Workers 2. The Western Diet 3. Measuring Nutritional Status 4. Nutrition, Lifestyle Medicine and Chronic Disease 5. The Role of Physicians and other Healthcare Workers in Incorporating Healthy Nutrition and other Lifestyle Medicine Concepts 6. Nutrition and Health Equity 7. Hunger, Food Insecurity and Malnutrition 8.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20-2025 9. Nutrition and Inflammation 10. Nutrition and Metabolic Health 11. Nutrition and Atherosclerosis 12. Nutri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13. Nutrition and Hypertension 14. Nutrition and Stroke 15. Nutrition and Cancer 16. Nutrition, Cognition and Mental Health 17. Nutrition and Peripheral Artery Disease 18. Chronic Kidney Disease
19. Erectile Dysfunction
|
20. Lifestyle Nutrition for Pre-Diabetes 21. Nutrition for Overweight and Obesity 22. Nutrition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23. Osteoporosis 24. Nutrition and the Microbiome 25. Lifestyle Habits and Practices to Reduce Risk Factors for Heart Disease, Diabetes, Obesity, Metabolic Syndrome, Dementia and Cancer 26. Healthy Plant Based Diets: Mediterranean, AHA, DASH, US Healthy Eating Pattern, Vegetarian and Vegan 27. Nutrition for the Elderly 28. Childhood Nutrition 29. Nutrition for Women 30. Nutrition for Physically Active People and Athletes 31. Components of a Healthy Heart Diet 32. Genetics, Epigenetics and Precision Nutrition 33. Nutrition and Planetary Health 34. Public Policy Support for Healthy Eating 35. Eating for Nutrition for Good Health and to Protect the Planet |
|
|
현재 등록중 코스/프로그램
2기 "NEURO" 기반 뇌건강 & 치매 솔루션 코스/프로그램 개강!
|
|
|
- 일정 : 추후 공지
- 대상: 뇌건강 및 치매 관련 제공자(예: 의학자, 의료 보건인, 의료 공무원) 및 관심있는 일반인
-코스(5 주 강좌, 2시간 each)
-프로그램(코스 + 5 주 맞춤형 코칭)
- 혜택: 평가자료, 강의자료, 가이드라인 등 제공(프로그램 신청자 ONLY)
-프로그램: 온라인 코칭(Zoom + Telecoaching)
- KCLM 발급하는 수료증 증정(프로그램 Only)
|
|
|
상시 오픈 코스/프로그램
생활습관의학은 기존의 REACTIVE 질병케어(결과 중심) 접근에서 PROACTIVE 헬스케어/웰케어/예방케어(원인 중심) 접근으로의 전환을 추구하며, 증세관리를 넘어 건강회복 및 웰빙의 최대화를 향한 웰니스 패러다임과 비약물 생활습관 중재를 First-Line Therapy로 사용하는 근거기반 의학입니다.
|
|
|
"생활습관의학 입문 과정"에 관심있는 전문가를 위한 필수 과목이자, "국제 생활습관의학 보드전문자격증 시험" 응시자를 위한 대비 강좌로서도 유익할 것입니다. 주7일 HAVEST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상시 편리하게 접속, 학습할 수 있도록 개설되어 있습니다. |
|
|
현재 진행중 코스/프로그램
2기 하버드기반 페이빙 웰니스 지도자 자격증 프로그램
- 하버드 부속병원들에서 현행되는 페이빙 웰니스 프로그램 기반
- 미국 PAVING Wellness 본부 자격증 수여
- 국제 PAVING Leader Community 참여 기회
|
|
|
1) 2 Core Courses(about 16weeks): PAVING Wellness Course, Compassionate Communication Course
2) 1 Complementary Course(about 8weeks):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based Healthcare Provider Wellness Course
3) Practice Assignment(about 8weeks): Self-developed PAVING Wellness Program Practice Demo.
4) Support System/Follow-Up Management(16weeks): For the leaders' practice of PAVING Wellness Program, 1:1 Coaching/Consulting, Resource, International Leader Group Meeting - lecture, seminar, forum, etc, and Community Networking are provided.
5) Toolkit, all 3 courses PPT slides(Over 1500), Recording(only for those absent)
|
|
|
LM Education
<생활습관의학 전문의를 위한 LM 역량이 접목된 6 코어 역량 영역>
(LM Competencies integrated into 6 Core Competencies for physicians who specialize in the practice of Lifestyle Medicine)
|
|
|
생활습관의학(Lifestyle Medicine, LM)에 있어서 성공은 환자와의 파트너십에서 구체적인 건강한 생활습관 행동 계획(Action Plan)을 세우고 후속방문을 통하여 의도적으로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합니다.
|
|
|
생활습관의학(Lifestyle Medicine, LM)에 있어서 성공은 환자와의 파트너십에서 구체적인 건강한 생활습관 행동 계획(Action Plan)을 세우고 후속방문을 통하여 의도적으로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합니다.
|
|
|
예컨대, 좌식생활을 하는 성인 환자들에 대한 한 중재 시험은 의사들이 건강교육자의 지원/격려 전화(Booster Call)와 함께 구조화된 카운셀링을 그들의 환자들에게 제공했을 때, 주당 걷기 운동의 전체 시간량이 표준 케어 서비스를 받은 대조 그룹의 환자들에 비하여 5배나 증가하였습니다(참조 문헌 - 3)
|
|
|
이미, 폭넓게 수용되면서 성립되고 있는 만성질환 진료 가이드에 생활습관 변화는 '1차 치료법(First-Line Therapy)'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의료제공자들이 그러한 권고를 따르고 있지 않은 현황이 여려 연구들을 통해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컨대, 비만환자 경우, 그들의 정기적 검사에 오직 36%만이 체중감량에 관해 조언을 들었습니다.(참조 문헌 - 15) 한 가정의학 전문의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오직 49%가 비만환자들에게 체중감량 처방을 역량껏 할 수 있다고 답하였습니다. (참조 문헌 - 1)
|
|
|
그런 진료의 갭을 줄이기 위하여, 2010년 생활습관의학은 5분류의 15개 기초역량들을 발표한 후, 2022년 88개의 기초역량들로 세분화한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의학계에 제시하였습니다.
|
|
|
한편, 이런 역량들은 '집중적인 치유적 생활습관 변화(Intensive Therapeutic Lifestyle Change)'에 초점을 두면서 생활습관의학 진료를 전문화(Specialize)하기 원하는 의료제공자들을 위한 역량 세트로 제시되기도 하였습니다(Kelly J., Micaela CK, Lianov, L., AMJL, 2020).
|
|
|
이 논문은 일반적인 전공의 수련 및 전문의 인증을 취해 성립된 6 코어 역량 영역의 각 카테고리에, 생활습관의학의 34개의 역량들이 접목되도록 제시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의 전공의 수련 및 전문의 인증원(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 Education and Am. Board of Med. Specialties, ACGME/ABMS)은 6 역량 영역들을 갖추고 있습니다.
|
|
|
I. 진료-기반 학습 및 개선(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II. 환자 케어 및 절차 기술(Patient Care and Procedural Skills)
III. 시스템-기반 진료(Systems-Based Practice)
IV. 의학 지식(Medical Knowledge)
V. 대인 관계 및 의사 소통 기술(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VI. 전문성(Professionalism)
|
|
|
LM 역량들이 각 카테고리에 접목된 역량 세트(A Set of Competencies)는 교육과 자격증 및 의사들의 생활습관의학 진료와 집중적인 생활습관의학 치료 시행을 전문화하려는 다른 보건의료제공자들을 위해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
|
특히, 집중적인 생활습관의학을 진료하기 원하는 모든 '생활습관의학 의사들(LM Physicians)' 은 진료 시 전문가 수준에서 '일반적인 의사 역량(General Physician Competencies)'를 갖추고 시도하도록 요구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6 역량 영역들의 각 카테고리에 명시된 역량들을 갖추어 시행하도록 요구됩니다.
|
|
|
다음은 LM이 접목된 한 역량 영역이며, 나머지 5 역량 영역들의 접목 가이드는 안내된 논문을 참조하십시오.
(논문 바로 가기)
I. 진료-기반 학습 및 개선(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환자 케어 진료를 조사하고 평가하며, 과학적 근거를 평가하고 동화하며, 그리고 환자 케어 진료를 개선할 수 있다.
1. 검증된 생활습관의학(LM) 활력 징후의 사용을 포함하여, 개인적 및 그룹 단위의 환자들의 생활습관 중재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치료 과정과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2. 전자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생활습관 중재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들을 추적한다.
3. LM의 핵심 구성 요소와 관련된 임상 연구에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시도한다.
4. 인적, 재정적, 및 물적 자료원들을 포함한 LM 진료 또는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5. 다인자적 생활습관 변화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학제 간 팀들을 구성하고 이끌어 질병들을 멈추거나 역전시킨다.
|
|
|
KCLM 회원 혜택 - 파트너 기관인 ACLM 학회의 Webinar를 안내드립니다.
|
|
|
HSC Implementation Brief Presentation Videos
|
|
|
LM Reaearch
Water intake, hydration status and 2-year changes in cognitive performance: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Medicine, 2023)
|
|
|
<수분 섭취, 수분 공급 상태 및 2년간의 인지 능력 변화: 전향적 코호트 연구>
-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스페인 고령 인구의 인지 변화와, 현재 권장사항을 기반으로 수분 섭취 상태와 수분 섭취량 간의 연관성을 종단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과체중/비만(BMI 27 이상 40 미만)과 대사증후군이 있는 성인 1957명(55~75세)의 코호트를 대상으로 PREDIMED-Plus 연구에 대한 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기준 시점에 혈액 검사와 검증된 정량적 음료 및 음식 빈도 설문지, 그리고 기준 시점과 2년간의 추적 관찰에서 8가지 검증된 검사로 구성된 광범위한 신경심리 검사를 완료하였다.
- 수분 섭취량은 총 음용수 섭취량과 음식 및 음료를 통한 총 수분 섭취량으로 평가했으며, EFSA 권장량에 따라 평가하였다. 전반적인 인지 기능은 모든 신경심리 테스트의 개별 참가자 결과를 요약한 종합 z 점수로 결정되었다.
- 대사증후군과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노인의 경우 생리적 수분 보충 상태의 감소는 2년 동안 전반적인 인지 기능의 더 큰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음료 및/또는 식품을 통한 수분 섭취량과 2년간의 전반적인 인지 기능 변화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for more info. please refer to the article)
|
|
|
LM Reaearch
Why can’t I exercise during pregnancy? Time to revisit medical ‘absolute’ and ‘relative’ contraindications: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 of harm and a call to action. (Br J Sports Med, 2020)
|
|
|
<임신 중에는 왜 운동을 하면 안 되나요? 의학적 '절대적' 및 '상대적' 금기사항 재검토>
- 임상 가이드라인에서는 금기사항이 없는 임산부는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할 것을 권장한다. 이는 산전 운동의 안전성과 이점을 입증하는 광범위한 증거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특정 의학적 상태나 금기사항이 있는 경우 잠재적인 건강 위험으로 인해 활동을 줄이거나 수정 또는 중단해야 한다. 산전 운동을 금기해야 하는 의학적 질환과 관련된 증거를 검토하고 평가한다.
- 2019년 4월 5일까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인구(운동 금기 임산부), 중재(급성 또는 만성 운동의 주관적/객관적 측정), 비교군(필수적이지 않음), 결과(산모 또는 태아에 대한 부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보고한 44개의 고유한 연구가 검토 대상에 포함되었다.
- 이전에 금기사항으로 분류되었던 11가지 합병증(예: 임신성 고혈압, 쌍둥이 임신)이 실제로는 산전 신체활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임신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수정 여부와 관계 없이). 그 예로 경증 자간전증이 있는 여성의 산전 운동은 태아의 정상적인 성장을 전제로 위험 증가 없이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경증 자간전증은 운동에 대한 상대적 금기 사항으로 격하되어야 하며, 캐나다 고혈압 임신 장애 워킹 그룹 권고에 따라 이러한 여성은 침상 휴식이나 활동 제한을 피해야 한다.
- 그러나 중증 심폐질환,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조절되지 않는 1형당뇨병, 자궁내 성장 제한, 활동성 조기 진통, 중증 자간전증 및 자궁경부무력증은 산모/태아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절대적 금기 사항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
- 경험적 증거를 바탕으로 이전에 산전 운동 금기로 간주되었던 의학적 장애와 관련된 임상 지침을 재평가할 것을 촉구한다. 특정 질환이 있는 여성의 임신 중 신체활동에 대한 장벽을 없애는 것이 실제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 결과에 도움이 될 수 있다. (for more info. please refer to the article)
|
|
|
LM Reaearch
Lending a hand: social regulation of the neural response to threat
(Psychol Sci. 2006)
|
|
|
<도움의 손길: 위협에 대한 신경 반응의 사회적 조절>
- 사회적 접촉은 다양한 생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정서적 반응의 사회적 조절 기능으로 인해 건강과 웰빙을 증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자기공명영상(fMRI) 연구에서는 기혼 여성 16명을 대상으로 남편의 손을 잡거나 익명의 남성 실험자의 손을 잡거나 손을 전혀 잡지 않은 상태에서 감전의 위협에 노출시켰다.
- 그 결과, 여성이 남편의 손을 잡았을 때 정서적 및 행동적 위협 반응을 지원하는 신경계의 활성화가 전반적으로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낯선 사람의 손을 잡았을 때는 이러한 시스템의 활성화가 더 제한적으로 감소되었다.
- 가장 놀라운 점은 배우자의 손 잡기가 신경 위협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결혼의 질에 따라 달라졌으며, 결혼의 질이 높을수록 낯선 사람이 아닌 배우자와 손을 잡는 동안 우측 전섬, 상전두회, 시상하부에서 위협 관련 신경 활성화가 덜 예측된다는 것이다. (for more info. please refer to the article)
|
|
|
LM Community
ACLM & Blue Zones partnership
Transformative ACLM, Blue Zones partnership establishes ‘clear path to the future'
ACLM은 Blue Zones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 Blue Zones-Certified Physicians” or “Blue Zones-Certified Healthcare Practitioners으로 인증받을 수 있는 기회가 ACLM/ABLM/IBLM 기관 인증 보드 전문의 또는 보드 전문인 자격증을 취득한 모든 Diplomates에게 오픈될 것입니다.
|
|
|
2025년 IBLM/KCLM-based Blue Zones 파트너십 프로젝트 론칭 - 파트너로 함께할 기관, 단체 등 또한, 블루존 인증 임상의 자격증에 관심 있는 개인 또는 그룹은 미리 연락을 주십시오.
|
|
|
LM-related Policy, Tech, Industry, etc.
|
|
|
LM Resource
KCLM 회원 혜택 - 파트너 기관인
ACLM 학회의 Resources를 안내드립니다.
|
|
|
Ex) Six Pillar Resources
(평생회원 자료실 내 한글판 자료 제공)
- 6 Pillars
- Lifestyle Nutrition
- Lifestyle Activity
- Lifestyle Stress Reduction
- Lifestyle Sleep Health
- Lifestyle Social Connection
- Avoidance of Risky Substances
- Nutrition Myths
- Calorie Density Infographic
- Dr. Gregers-Daily Dozen
- Plategraphic_Children
- ACLM Dietary Spectrum
- The Benefits of Plant-Based Nutrition Summary
- Instruction For Calm Kit
- Whole Food Plant-Based Diet
- Take Time foe Self-Care
- DALAL SMART Goals
- DALAL Mindfulness
|
|
|
그 외 다양한 ACLM Resources (한글 버전 준비중)
|
|
|
- Six Pillar Resources
- Six Pillar Handouts
- Type 2 Diabetes
- Lifestyle Medicine and Cancer
- Women's Health
|
- Pediatric/Adolescent
- Behavior Change Tools
- Healthy Brain
- Immune Response
- Self-Care
|
|
|
KCLM 콘텐츠에 대해 평생회원(10%), 연간회원(2%) 할인적용(페이빙, 보드리뷰코스 예외) |
|
|
KCLM Partner/Collaboration/Participation |
|
|
KCLM 파트너/협력기관으로 인증한 기관은 홈페이지에 게시됩니다.
|
|
|
ONN닥터TV & KCLM 파트너십 체결
"생활습관의학 프로그램" 론칭
ONN Doctor TV - Lifestyle Medicine Channel 참여자 안내
KCLM은 ONN Doctor TV의 요청으로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9월부터 생활습관의학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설합니다. 강의, 인터뷰, 연구 업데이트, 임상 결과 및 환자 케이스 소개, 책 소개, 커뮤니티 서비스/활동, 정책 제시 등을 포함하며, KCLM 회원의 전문성이나 속한 기관 또는 관련 단체 등을 공유하고 안내하기 원하는 분들을 초대합니다.
관심 및 문의는 아래 이메일로 연락을 주십시오.
|
|
|
기관명 : 대한생활습관의학원
사업자등록번호 : 228-82-70610
Office Hour : M-F 9~12, 13~16
문의 KCLM 의학원 이메일 : office@lifestylemedicinekorea.org KCLM 의학원 기획관리국 황요순 국장
김현주 간사(010-9132-3649, 관리 지원)
윤예솜 간사(010-8794-5635, IT 지원) KCLM 의학회 사무국 최정민 국장(010-3291-2354)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