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본질: 리사 펠드먼 배럿의 구성된 감정 이론
한 줄 요약: 리사 펠드먼 배럿은 감정이 단순히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뇌가 현재 신체 감각과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 과정에서 감정 개념의 세분화와 신체 감각에 대한 주의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신경과학자 리사 펠드먼 배럿이 출연한 에피소드입니다. 국내에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는 책으로 이름을 알린 바 있습니다. 아마 읽어본 분도 계실 것 같습니다.
- 배럿은 감정은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하는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감정에 대응하는 보편적인 얼굴 표정 같은 것이 있어서 그것을 읽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표정이라도 그 표정을 보게 되는 상황, 표정을 보는 사람의 내적 상태 등 표정이 위치한 맥락에 따라 전혀 다른 감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자신의 내적 감각을 해석할 때도, 비슷한 감각에 각기 다른 감정을 매칭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비슷한 어지러움이라 하더라도 불안으로 경험하거나 갈망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하나 더 들어볼까요. 불확실성이 우세한 상황에서 비슷한 각성 상태를 느낀다 하더라도 어떤 사람은 위협에 대한 불안으로, 또 다른 어떤 사람은 정보를 더 찾아야 한다는 신호로 각성 상태를 경험함으로써 각기 다른 대처 양상을 보이기 쉽습니다.
- "당신 주의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과 관련해 당신의 신체 감각이 의미하는 바를 당신의 뇌가 구성한 것이 바로 감정이다.", "뇌는 감각 입력과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행동을 지시한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현재 신체 감각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과거 유사 경험입니다. 현재 신체 감각에 연관된 과거 경험 중 유사한 몇 가지 경험 샘플을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행동을 준비하게 되며(사지를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심박수라든지 자율신경계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 이 모든 과정을 요약한 내용이 바로 감정이라는 부분이 흥미롭습니다.
- 고려해야 할 모든 과거 경험을 분석하는 것은 신체 예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는 뇌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다소 불완전하고 오류가 있다 하더라도 매우 자동화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몇 가지 경험 샘플을 추출하여 이 신체 감각을 어떤 감정으로 구성해야 생존에 유리할지 무의식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 가령, 가까운 관계 안에서 반복적인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사람의 경우 친밀감에 수반되는 신체 감각을 긍정적 감정 개념으로 구성해내기보다 도피 반응에 연관되는 부정적 감정 개념으로 구성해낼 가능성이 더 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관되고 안정감을 주는 사람을 만나더라도 관계가 깊어질수록 자신도 모르게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며 그 관계로부터 거리를 두려 할 수 있습니다.
- 배럿이 직접적으로 언급했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감정 경험의 능동적 구성자로서 우리가 의식적으로 할 수 있는 일 중의 하나는, 샘플 추출 과정에서 현재 상황과 관련이 적은 과거 경험을 추출함으로써 적응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감정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자신의 반응을 성찰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 이는 심리치료 말하는 교정적 관계 경험일 테죠. 내 앞에 앉은 상담자가 나를 정서적으로 학대했던 주요 타인과 비슷한 두려움을 야기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감정 요약본이 상황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몸과 의식 모두로 경험하는 과정 말입니다.
- 배럿은 감정에 대한 세분화된 어휘를 갖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세분화된 감정 어휘를 갖는다는 것은 상황에 따라 달리 사용할 수 있는 연장을 여럿 갖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가령 분노는 격분에서부터 불만족에 이르기까지 감정 강도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고, 강도의 범위가 80에서 100인 분노 어휘를 지닌 사람보다 40에서 100인 분노 어휘를 지닌 사람이 상황에 더 적절한 감정 개념을 통해 보다 적응적인 반응이 가능할 것입니다.
- 시각, 청각, 후각, 심장박동, 호흡, 근육 긴장 등 신체 감각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신체 상태 스캔이 잘 돼야 그에 부합하는 세분화된 어휘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 관련 글: 스스로가 구성하는 작품으로서의 감정 경험
- "내담자가 상담 중에 뚜렷한 전환(a distinct shift)을 느끼는 특정 순간으로, 내담자는 치료자와의 관계를 기대하지 못했던 다른 방식에서 정서적으로 이해하거나 혹은 경험하며, 이를 통해 어떤 방식에서 교정이 일어나는 것" - 상담에서의 교정적 관계 경험, 6쪽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