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밭비누 #비즈니스모델 #소셜벤처 화장실 벗어난 비누, 동구밭의 매출 100억 비하인드 |
|
|
동구밭은 ‘설거지 워싱바’로 유명한 고체 비누 제작회사입니다. ‘사회적 기업은 영세하다’는 편견과 달리, 해마다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내고 있어요. 영업이익만 20% 이상이라 투자 러브콜을 보내는 VC도 많습니다. 최근에도 100억원 규모 딜(deal) 이야기가 오갔는데요. 노순호 대표는 끝내 고사합니다. 노 대표가 말하는 동구밭 성장 비결은 무엇일까요? |
|
|
"B2B에서는 스토리텔링이 통하지 않아요.
실력만으로 정면승부해야죠." |
|
|
저는 ‘동구밭’ 대표 노순호입니다. 고체 비누 등 친환경 제품을 만들고 있어요. 저희의 첫 출발은 농사 프로젝트였는데요. 해결해야 할 사회 문제를 찾다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관심이 생겼습니다. 곧장 도시농부 협동조합을 만들고 비장애인과 발달장애인이 함께 농사를 짓기로 했죠. 히지만 6개월이 지난 뒤 깨달았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지속가능하지 않았다’는 것을요. |
|
|
6개월 만에 끝날 뻔했던 프로젝트가 지속된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친구가 되는 일’입니다. 농사가 아니라, 비장애인 친구를 사귀고 시간을 보내며 사회성을 키워나가는 ‘경험’이 필요했던 것을 깨달았죠. |
|
|
농사는 과감히 접었습니다. 대신 제조업으로 사업 모델을 바꿨어요. 안정적인 고정 매출을 내는 게 최우선 과제였거든요. 그렇게 2017년 비누 사업에 뛰어들었어요. 대기업이 진출하지 않은 시장이라 1등 할 승산이 있어 보였죠. 대신 저희는 철저하게 B2B를 공략하기로 했어요. 아모레퍼시픽이나 신세계, 애경 등 대기업 유통회사를 고객사로 두고,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DM(제조업자 개발 생산)으로 제품을 납품했습니다. |
|
|
장애인 이야기는 절대 꺼내지 않았습니다. 감정에 호소해 돈 벌고 싶지 않았거든요. 하나의 기업으로, 제품으로 평가받고 인정받는 게 가장 중요했어요. 그리고 B2B에서는 스토리텔링이 통하지 않습니다(웃음). |
|
|
동구밭에서는 발달장애인 38명이 비누 제조 과정에 직접 참여해 상품을 생산한다. ⓒ 동구밭 |
|
|
하지만 비누 시장은 한계가 명확했습니다. 규모가 너무 작아 매출 10억원을 넘기는 것도 힘들었죠. 이대론 안 되겠다 싶었어요. ‘비누가 화장실을 벗어나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고체 타입 설거지 워싱바도 만들고, 고체 샴푸·린스로 상품 라인업을 확장했는데요. 2017년, 기회가 찾아왔죠. 액상 세제를 많이 쓰면 체내에 화학물질이 쌓인다는 다큐멘터리가 방영된 뒤 고체 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거든요. |
|
|
자연스럽게 고체 세제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 강남 맘카페에서 저희 설거지 워싱바를 공동구매하는 등 젊은 엄마들 사이에 입소문이 퍼졌습니다. 사회적으로 친환경 트렌드가 보편화한 것도 한몫했고요. 덕분에 설거지 워싱바는 제품 출시 석 달 만에 4만 개가 팔렸어요. |
|
|
B2B와 B2C가 동시에 성장하자 2가지 문제에 부딪혔어요. 하나는 생산량이었습니다. 생산량이 부족하면 B2C 제품은 몇 달 동안 품절 상태로 두고, B2B 제품 생산에 몰입했죠. 그러다 보니 충성도가 높은 소비자들이 항의하기 시작했어요. 다른 하나는 B2B 고객과의 관계였어요. 자체 브랜드 말고 OEM으로 납품해달라는 고객이 많았죠. |
|
|
하지만 저희는 자체 브랜드를 계속 키워나가기로 했어요. 자체 브랜드가 더 확실한 메시지를 줄 수 있다고 판단했거든요. 다만, 기존에 신의를 잃지 않기 위해 B2B 제품 먼저 납품했습니다. 동시에 자체 브랜드 제품을 올리브영이나 이마트 등 대형 유통사에도 입점시켰어요. 코로나19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전보다 판매량도 늘었어요. 자체 브랜드 매출이 OEM 비중을 뛰어넘었을 정도니까요. |
|
|
국민 앱 된 당근마켓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최정윤 마케팅은 ‘바이럴 마케팅 없는 마케팅’을 비결로 꼽습니다. 서비스 핵심 가치에 충실하면서, 관찰력에 데이터를 결합한 캠페인을 펼쳤죠.
덕분에 인위적 마케팅 없이 중고거래→커뮤니티로 인식 전환에 성공했어요. 브랜드의 성장을 이끄는 단계별 마케팅 전략을 들려드립니다.
👉🏻 2023.03.30(목) 저녁 8시 유튜브 라이브 |
|
|
휠라 X BTS 캠페인, 갤럭시 빅스비 캠페인, 배틀그라운드 비주얼 리브랜딩을 총괄한 신석진 크래프톤 크리에이티브센터장은 어떻게 기획을 시작할까요?
16년간 크리에이티브 최전선에서 현업 전문가로 쌓아온 기획법과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 2023.03.16(목) 저녁 8시 유튜브 라이브 |
|
|
NEW! 다른 멤버들이 많이 본 신규 콘텐츠는? 👀 |
|
|
지난 주, 이런 의견이 있었어요!
직군별 콘텐츠도 좋았는데 나이대별 관심 콘텐츠를 선별해 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님의 의견도 궁금해요.
이번 글랜스레터, 어떠셨나요? 더 나은 글랜스레터를 위해 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설문에 참여하신 분 중 추첨을 통해 커피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
|
|
폴인 fol:in
서울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폴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