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쏘프라이즈입니다. 아홉 번째 답변이 선정되었고, 프리시즌(E)의 새 질문들이 공개되었습니다!

아홉 번째 선정답변 

 오늘의 선정답변은 새파란 님의 "트워크 시각화로 알아보는 국회 법률 제안과정 속의 협치 - 16대 국회부터 21대 국회까지" 입니다. 국회의원별 발의법률안 데이터만을 가지고 단편적으로 바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조심스러운 일이지만, 적어도 21대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법률안을 발의하는 과정은 꽤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함께 만든 법률안이 통과되는 경우는 (현재까지) 극히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남겨주셨습니다. 전체 선정위원 7명 중 5명께서 통과의견을 남겨주셨습니다.

긍정적인 점

  분석에 사용할 협치의 개념을 분석 가능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교적 명확하게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분석가능한 수준으로 문제를 재정의한 점, 그리고 이를 적절한 네트워크 분석의 시각화를 통해 제시한 점을 높이 평가합니다. (1) 질문에 대해서 어떤 데이터를 사용할지 고민이 분명히 드러납니다. (2) 해당 데이터들의 생산에 대해서 검토하고 (동명이인이라든지, 당적변경, 당색 등), (3) (아직 이뤄지지 않았지만) 인터랙티브 시각화 주소를 제공하겠다고 제시한 점이 가점이었습니다.

더 나은 글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은 단순히 화려한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중심성이라든가 커뮤니티 분석, 그림을 그리는 알고리즘의 선택과 설명이라는 분석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동발의, 통과 네트워크는 주요 클러스터간 분리가 비교적 명확하게 보임. 그러나 이는 회기별로 서로 상이한 발의/법률안 통과 빈도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음. 따라서 거리의 기준을 표준화한 분석을 수행해서 같은 결론이 나타난다면 더 논의가 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선정된 답변에는 100만원이 지급됩니다. 댓글을 통해 지속적으로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더해주세요!

진행중인 시즌


 1. 학급당 학생수의 불균형 문제,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2. 변호사시험 10년, 변호사의 '적정 정원'은 몇 명일까요?
 3. 외국인 250만 체류시대, 이웃은 어디에?
 4. 지지 철회? 투표 포기? 재보궐 선거결과를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을까요??

최근 공개된 질문들

- 프리시즌(E)의 질문들이 공개되었습니다! (4/21 ~ 5/2)

 1. 남녀공학은 비공학보다 학업 성취도가 떨어질까요?
 2. 장애인은 어디서 어떻게 일하고 있을까요?
 3. '여성 징병제'의 득실을 계산할 수 있을까요?
 4. 로또 1등의 가치는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가장 간단한 차트 한 장으로 보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