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연구교수 성과확산센터 뉴스레터 | 발행인: 박정원(한국외국어대학교) |
|
|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결과물 아카이브 새단장 |
|
|
성과확산센터는 Notion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결과물 아카이브를 새롭게 단장하면서 그동안 문의가 많았던 '선정자 의무사항'에 대한 안내 코너를 신설하였습니다. A유형 선정자는 연구활동 외에도 "연구성과의 확산을 위해 연구주제와 관련된 강의 및 학술대회 발표 등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온라인 강의 성과물은 15분씩 8차시 이상으로 촬영하되, 8차시 이상의 영상 또는 영상을 업로드한 유튜브 링크를 "일괄"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1차시씩 단독 제출시 업로드 불가). 대학 (대면)강의 성과물은 강의계획서와 강의경력증명서를 제출하되, 강의계획서 상의 연락처 또는 강의경력증명서 상의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블러 처리한 후 발송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술대회 발표 성과물은 자료집/포스터 상의 대회 일정(발표일, 발표주제, 발표자명 포함)과 발표문을 제출하되, 자료집 전체가 아닌 "본인"의 발표문만 발췌하여 발송해 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더욱 알찬 정보를 제공하고 교수님들의 연구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자료 공유하기
노션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자료를 개인 자료별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자료를 클릭한 상태에서 우측 상단의 [...]을 클릭한 후 "링크 복사"를 클릭하면 현재 열려있는 자료만 공유할 수 있는 링크가 생성됩니다.
|
|
|
- 트 랙 : A-2
- 선정연도 : 2021
- 소속기관 : 전남대학교
- 과 제 명 : 이동 영화 상영과 비극장 (non-theater)의 역사성
|
|
|
위경혜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위경혜 교수님은 전남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였습니다.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Austin)에서 「미성년자 관람불가 등급 판정 영화에 대한 영화산업과 관객 수용에 관한 연구」로 영화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Irvine) 동아시아문화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중앙대학교에서 「1950년대 중반~1960년대 지방의 영화 상영과 '극장가기' 경험」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로컬리티(Locality)와 극장문화에 관한 8건의 단독 과제와 2건의 공동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2021년부터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A유형) 사업으로 「이동 영화 상영과 비극장의 역사성」 과제를 수행하면서 영화 상영 역사의 연구범위를 비극장으로까지 확대하였습니다. |
|
|
위경혜 교수가 바라보는 극장은 그것이 위치하는 지역과 도시, 그리고 관객인 지역민이 교류해 온 역사적 공간입니다. 그의 저서 『한국의 극장』에는 각 도시에서 극장이 갖는 의미와 장소성에 대한 고찰이 담겨 있습니다. 공저인 『혼존성 이후』에서는 『한국의 극장』에서 살펴본 목포극장과 동춘서커스를 식민지 근대 문화와 혼존성에 초점을 맞춰 비판적으로 성찰하였습니다. 한편 『광주극장』에서 그의 전작인 『호남의 극장문화사』나 『광주의 극장문화사』에 이어 극장을 둘러싼 도시와 사람들의 역사를 세세히 풀어내고 있습니다. 위경혜 교수가 이동영사 구술자료집 『굿쟁이, 로뗀바리, 이동영사』에서 보여준 문제의식은 현재 수행 중인 「이동 영화 상영과 비극장의 역사성」 과제로 확장되었습니다. 그는 앞으로 비극장 영화 상영의 역사성을 일상사의 맥락에서 규명하고자 합니다.
|
|
|
「'광주극장', 극장의 원형을 유지한 근대 역사문화 공간」, 『한국영화』137호
|
|
|
[한국전쟁 70주년 심포지엄] "전쟁의 경험과 영상생산 그리고 아카이빙" - 위경혜 |
|
|
데이터 영상 강의
강사: 박정원(한국외대 중국학대학 교수, 성과확산센터 연구책임자) |
|
|
데이터는 인문학이 오랜 시간 동안 축적해온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만 유의미합니다. 인문학이 없는 데이터의 분석과 해석 그리고 시각화는 알맹이 없는 빈껍데기가 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인문학의 전통적인 근간이었던 텍스트와는 다른 속성인 데이터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를 의미하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필요합니다. 디지털시대를 대비하여 한국정부는 초등 및 중등교육과정에서 SW의무교육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 학생들이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대학교에 입학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데이터 시대에 새로운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인문학을 가르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1차시 태블로 설치 Tableau Installation 2차시 태블로 기본 기능 Tableau Basic 3차시 태블로 표현방식 Tableau Chart 4차시 분석, 대시보드, 스토리 Analysis, Dashboard, Story |
|
|
오픈 공개 강의
[디지털인문학 교육 소개] 디지털인문예술전공 |
|
|
교육역량 강화
이중원 저,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미래』 |
|
|
연구책임자: 박정원(한국외국어대학교, 010-9131-6127)
공동연구원: 박구용(전남대학교), 강병구(서강대학교)
전임연구원: 홍영미(경희대학교, 010-5948-327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