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불과 3주 만에 주가가 120%나 오른 종목이 있는데요📈. 국내 게임 업체 #위메이드(122040)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주식 투자 좀 하시는 구독자님도 아마 들어보셨을 거예요. 10월 12일 종가 기준 9만500원이었던 위메이드 주가는 11월 3일 19만9100원으로 신고가를 경신했어요. (참고로 푸시뉴스는 대세를 감지하고 진작에 위메이드를 소개했었다는 거✌🏼. 👉기사 보러 가기)

위메이드 주가 급등은 신작 게임 '미르4'의 흥행 덕분인데요. 단순히 게임이 성공해서 주가가 오른 건 아니에요. 중요한 핵심은 미르4에 'NFT'를 도입했다는 것!

NFT는 요즘 주식 시장을 가장 뜨겁게 달구고 있는 키워드에요. 위메이드를 시작으로 NFT만 붙었다 하면 주가가 폭등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죠. 다만 아직은 NFT가 뭔지 정확히 감이 안 오시는 분들도 많을 거에요🤔.

그래서 이번주 푸시레터에서 NFT가 대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다른 관련주는 어떤 곳이 있는지 정리해봤어요. 사실 업계에선 이미 NFT를 수소와 메타버스의 뒤를 잇는 주도 테마로 보고 있다는 사실🤫.

오늘 미국과 중국의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 국내 증시에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세 유입. 미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의 상승세와 함께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투자 본격화 소식에 반도체 업종 강세. 미국 민주당 주도 연방 회의에서 연방 정부가 대마초 합법화 법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국내 대마초 관련주 상승.

🧐NFT가 대체 뭔데?
NFT(Non-Fungible Token), 직역 그대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에요. 토큰이 서로를 대체할 수 없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 100원짜리 동전은 모두 똑같은 100원의 가치를 갖고 있어요. 그래서 100원짜리 동전끼리 대체가 가능하죠. 하지만 NFT는 토큰마다 서로 부여된 가격이 다 달라요. 서로 대체할 수 없고, 상호 교환도 불가능하죠.  

(출처 : Cryptoverz.com)
그래서 그게 왜?
NFT는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통해 각 토큰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해서 만들어요. 이렇게 만든 토큰을 음원, 미술 작품, 게임, 영상 등 디지털 자산에 적용할 수 있죠. 그동안 디지털 자산은 복제가 너무 쉬워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가 많았어요. 그런데 NFT를 부여하면 각 디지털 자산에 일종의 '정품 인증서'를 붙일 수 있게 되죠.

NFT가 부여된 디지털 자산은 그 자체로서 '유일'하기 때문에 더 높은 가치를 지닐 수 있어요. 사고팔 수도 있고요. 그만큼 돈이 된다는 말씀😎. 새로운 수익 창출 시장이 열린다는 소식에 사람들의 관심도 폭발적으로 몰렸어요.

덕분에 이미 발 빠르게 NFT 플랫폼 시장에 진출한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다날(064260) 등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주가가 급등했죠.
💸게임하면서 돈도 번다?
현재 NFT의 활용 분야로 가장 주목받는 곳은 단연 게임 업계에요. 게임에서 획득한 캐릭터나 아이템을 NFT화 해서 거래하는 거죠. 여기에 암호화폐를 결합하면, 단순히 교환하는 것을 넘어 실제 돈을 벌 수 있어요. 위메이드가 도입한 시스템이 바로 이런 것이에요.

(출처 : 위메이드)
미르4의 유저들은 게임 아이템을 게임 속 가상화폐인 '드레이코'로 교환할 수 있어요. 또 드레이코는 위메이드의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위믹스' 코인으로 바꿀 수 있죠. 그리고 이 위믹스 코인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 상장해 있어요. 즉, 게임 아이템을 진짜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거죠😮.

기존의 게임 업계는 유저들이 게임을 이기기 위해 아이템에 돈을 쓰는 P2W(Pay to Win) 구조였어요. 그런데 위메이드가 게임을 하면서 돈도 버는 P2E(Play to Earn) 시스템을 만들어낸 거예요. 위메이드는 미르4를 시작으로 위믹스 코인을 게임 업계의 기축 통화로 만들겠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죠.

후발 주자는 어디?
위메이드의 P2E 시스템은 그야말로 초대박을 냈어요. 전 세계 170개국에 서비스되는 미르4는 최근 동시 접속자 수 130만명을 돌파했어요. 이 많은 유저가 모두 위믹스 플랫폼에서 NFT를 거래한다면? 위메이드는 수수료로 떼돈을 벌 수 있는 셈이에요.

(출처 : giphy)  
다른 업체들도 가만히 있을 수 없겠죠? 다들 자사 게임에 NFT를 도입하겠다고 나섰어요. 11일에는 NFT를 적용한 신작을 발표한다는 소식에 무려 #엔씨소프트(036570)가 상한가를 찍었어요📈. 시가총액 15조원이 넘는 주당 60~70만원짜리 종목이 상한가라니, NFT의 파워가 실감 나시나요?

그밖에 #게임빌(063080), #컴투스(078340), #네오위즈홀딩스(042420) 등 중대형 게임사도 NFT 사업 진출 선언과 함께 주가 초강세를 기록 중이에요. 세 종목 모두 엔씨소프트가 급등한 11일, 함께 신고가를 경신했죠. 

만약 비싼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비교적 시총이 가벼운 #룽투코리아(060240)#미투온(201490) 같은 중소 게임사도 주목할 만하답니다. 이들 종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기사를 클릭해 주세요!
😘팬심을 공략해라!
엔터테인먼트 업계도 게임만큼이나 NFT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분야로 꼽혀요. 어쨌든 NFT를 부여할 콘텐츠 그 자체가 필요하니까요. 게다가 엔터 업계는 '팬(Fan)' 파워가 어마무시하다는 점!

실제로 MBC가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의 명장면 영상을 NFT로 만든 일명 '무야호' NFT가 최근 경매에서 950만원에 팔리기도 했어요. 만약 방탄소년단이 출연한 영상에 한정판 NFT를 적용해 판매한다면? 말 그대로 부르는 게 값이 될 수 있겠죠💸.

(출처 : MBC 공식 홈페이지)  
이에 #JYP Ent.(035900), #하이브(352820),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는 이미 K팝 기반 NFT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요. 메타버스 관련 자회사인 #디어유(376300)를 통해 NFT 사업 진출 계획을 밝힌 #에스엠(041510) #SM C&C(048550)도 있고요. 싸이월드와 손잡은 #초록뱀컴퍼니(052300)는 NFT 사업을 위해 위메이드, 빗썸, 비덴트 등으로부터 800억원 규모 투자를 받으며 눈길을 끌었어요.

아래 기사를 읽으면서 구독자님이 생각하는 NFT와 '찰떡궁합' 엔터 종목을 골라보세요😉.
💪'두나무'도 NFT 타고 벌크업!
한편 앞서 언급한 엔터사들이 NFT 사업을 위해 너도나도 손잡은 회사가 있는데요. 바로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에요. JYP나 하이브 같은 엔터사가 콘텐츠와 IP(지식재산권)를 NFT로 제공하고, 두나무는 이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거죠.

두나무는 올 7월 이미 JYP와 지분 관계를 맺고 NFT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어요. 이어 최근 하이브, #YG PLUS(037270)와도 NFT 거래소를 구축하기로 했죠.

안 그래도 암호화폐 시장 성장과 함께 최근 초고속으로 몸집을 불려오던 두나무. 올 2월 1조5000억원가량이었던 기업가치는 4월 6조7000억원으로 두 달 만에 4배 이상 성장했어요. 여기에 NFT 테마까지 붙으면서, 이제 한 단계 더 벌크업이 예상되는데요.

(출처 : giphy)  
이에 두나무에 지분을 투자한 #우리기술투자(041190), #한화투자증권(003530),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021080) 등 창투사 종목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답니다. 

두나무 기업 가치가 올라갈수록 회사가 보유한 두나무의 지분 가치도 쑥쑥 자랄 테니까요. 과연 세 회사는 두나무 지분을 몇 퍼센트나 보유하고 있는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해보세요!👇

📅 푸시 캘린더
📌11월 15일
   -한국-싱가포르 트래블버블
      👉관련 기사 보러 가기

📌11월 17일
   -영화 '장르만 로맨스' 개봉
   -지스타 2021

📌11월 18일
   -수능

📌11월 19일
   -넷플릭스 '지옥' 공개
👬 '카카오뷰'에서도 푸시뉴스를?!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시면,
    한 발 빠른 증권 기사를 한눈에! 

오늘의 뉴스레터가 유용했다면?😊
뉴스레터를 지인에게 공유하세요! 
(주)푸시뉴스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19 대하빌딩 1670-1106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