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첫 번째 쿠콘레터가 도착했습니다.
2025년 4월 첫번째

최근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서 고객 확인과 본인 증명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비대면 서비스의 확장이 가속화되며 신속하고 안전한 본인 확인 절차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를 위해 많은 기업이 효율적인 고객 인증을 위한 API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API는 기업의 신뢰성을 높이고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쿠콘레터에서는 고객 확인, 본인 증명, 대상자 검증 등 다양한 본인 확인 과정을 지원하는 쿠콘 API를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쿠콘 API를 통해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인증 환경을 구축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보세요!


COOCON API
쿠콘이 추천합니다
신분증 위조여부를 판별하여
개인정보 보호 및 위·변조를 방지하고 싶으신가요?

쿠콘 비대면 신분증 사본 판별 API로 실물 신분증의 사본 패턴을 분석하여 위·변조 신분증 사용을 방지하고, 금융 사고 및 신분증 도용 범죄를 사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나 스캔한 문서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추출하는 OCR 기술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높은 정확도로 신분증의 위·변조 여부를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기술력과 금융사고 예방 지침을 준수하며, 관련 법령과 가이드라인을 따르기에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금융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합니다.


비대면 신분증 사본 판별 API로 금융 서비스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본인 인증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신분증 사본 판별 API 보러가기 >

국가보훈부에서 발급하는
국가보훈등록증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쿠콘 국가보훈등록증 진위 확인 API는 국가보훈부에서 발급한 국가보훈등록증의 진위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API는 성명, 생년월일, 보훈번호, 발행일 정보만으로 국가보훈부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험금 지급, 계좌 개설, 대출 심사 등 비대면 실명 확인이 필요한 금융 업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보훈대상자 본인 확인 수단으로 국가보훈등록증이 활용되는 경우, 기존 신분증 진위 확인 프로세스에 자연스럽게 연계해 도입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기존 신분증 진위 확인 API를 활용해온 기업이라면, 보훈대상자를 위한 서비스 강화를 위해 ‘국가보훈등록증 진위 확인 API’를 추가해 보세요. 쿠콘이 빠르고 정확한 본인확인 업무를 지원합니다.


국가보훈증 진위 확인 API 보러가기 >

고객이 입력한 정보와 휴대폰 명의자 정보가
일치한 지 확인하고 싶다면?

쿠콘의 KCB 휴대폰 본인확인 서비스SMS 및 PASS 인증을 통해 간편하고 신속한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 인증 완료 후 제공되는 고객 식별 정보(CI/DI)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어,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SMS 번호 인증과 간편 본인 확인(PASS) 두 가지 인증 방식을 모두 지원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한층 높인 안정적인 인증 절차를 제공합니다.


KCB 휴대폰 본인확인 서비스 보러가기 >


WITH COOCON
쿠콘과 함께합니다!






카페24

카페24는 쿠콘 API를 활용하여 자사의 AML 시스템을 한층 고도화하였습니다.


신분증 진위 확인 API를 통해 플랫폼 가입 시 고객의 신분증을 검증함으로써, 불법 계정 생성과 신분 도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법인등기부등본 조회 API를 활용하여 법인 고객 정보를 정기적으로 갱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최신 상태를 반영하고 거래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







트래블월렛

트래블월렛은 해외송금, 전자금융, 온라인 환전, 외화자금이체 등 관련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차별화된 해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간편인증서 패키지와 ARS 인증 API를 활용해 외화 환전 시 필요한 본인 인증 절차를 구현하였으며, 다양한 고객 확인 및 동의 수단을 통해 앱 이용 고객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







후엠아이글로벌

후엠아이글로벌은 쿠콘 API를 활용해 온라인 서류 발급 플랫폼을 구축하였습니다.


간편 인증서 패키지를 통해 네이버, 카카오, PASS 등 인증 사업자와 한번에 연동함으로써 공동인증서 없이도 손쉬운 본인 인증 절차를 제공합니다.


소득증명서 발급, 대법원 증명서 열람, 출입국 사실증명 조회,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 조회, 정부24 주민등록표등본 발급 등 다양한 데이터 API를 연계하여 정부24, 대법원, 국세청 홈택스 등 주요 기관의 증빙서류를 한 곳에서 간편하게 조회하고 발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자세히 보기 >

I N T E R V I E W
쿠콘이 만났습니다!
신분증부터 계좌 인증까지 쿠콘 API로 완성한
유니컴즈

조원준 본부장님
" 오랜 기간 동안 쿠콘의 지원에 있어 아쉬웠던 적이 없습니다. "

1원 계좌인증, 신분증 진위 확인 API 모두 고객 본인 확인 과정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신분증 진위 확인 API를 통해 알뜰폰 개통을 신청하는 고객의 신분증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 1원 계좌인증 API로 고객이 해당 계좌를 실제로 소유하고 있는지 검증합니다.


쿠콘 API가 없었다면 본인 확인 절차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많은 고민이 필요했을 것이며, 그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을 것 같습니다. 쿠콘 API 덕분에 개발 시간을 크게 줄이고, 효율적으로 고객 확인 프로세스를 빠르게 정립할 수 있었습니다.


COOCON NEWS
쿠콘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쿠콘, 우리카드에 '입/출금 이체 서비스' 제공

쿠콘이 우리카드에 ‘입·출금 이체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자금융 업무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우리카드는 카드 대금 출금과 집금 업무를 쿠콘 서비스를 통해 통합 운영하게 되었으며, 복잡한 은행별 연동 과정을 간소화해 개발 부담도 크게 줄였습니다.


은행 별 상이한 전문 체계로 인해 우리카드가 각 은행과 개별적으로 연계하려면 상당한 개발 공수와 시간이 필요했지만, 쿠콘은 이미 국내 전 은행과 금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대폭 간소화했습니다. 이로써 우리카드는 입·출금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도입·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우리카드는 쿠콘의 데이터 API도 폭넓게 활용해 디지털 업무 환경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화물차 유류 할인카드 업무 자동화도 검토 중입니다.

 

쿠콘은 앞으로도 금융기관의 전자금융 경쟁력을 높이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로서 함께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 쿠콘 입금이체 API 보러가기 >

👉 쿠콘 출금이체 API 보러가기 >

쿠콘, 배달 대행 플랫폼 플라이에
'선불 대행 서비스' 제공

쿠콘이 배달 대행 플랫폼 플라이에 '선불 대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쿠콘은 배달 대행사의 자금 관리 부담을 덜고, 배달 플랫폼 내 충전금의 투명한 운영과 효율적인 정산 체계를 지원합니다. 이는 예치금 유용 사고를 예방하고, 2024년 개정된 전자금융거래법에 맞춰 안정적인 자금 운용 체계를 구축하려는 선제적 대응입니다.


쿠콘 서비스를 통해 가맹점 충전금 관리부터 배달기사 정산까지 통합 지원받아 자금 흐름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플라이는 비용 관리 업무를 자동화하고 실시간 업무 처리를 통합 지원 받아 본연의 사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플라이는 쿠콘 가상계좌, 입금이체 API도 도입해 배달 수수료를 간편하게 충전하고, 배달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급하고 있습니다.


쿠콘은 선불 대행 서비스가 필요한 업권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금융 인프라를 적극 지원할 계획입니다.


자세히 보기 >

R E P O R T
쿠콘이 들려주는 IT트렌드
마이데이터 2.0
금융권 혁신과 데이터 주권 강화의 새로운 전환점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주체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로, 주로 금융권에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 시 중복된 동의 절차나 자산 내역이 상세히 조회되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마이데이터 2.0 추진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오는 5월부터 시행되는 마이데이터 2.0에서는 데이터 주체인 개인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며,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데이터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이미지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이제 금융 마이데이터는 '조회 중심' 시대를 넘어 '활용 중심' 시대로 전환되었으며, 2.0 체계는 금융소비자 주권을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주체가 자신의 데이터를 더 잘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며, 데이터의 선택적 제공과 제3자와의 공유가 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마이데이터 정보 확대, 영업 활성화, 이용자 편의성 제고, 정보 보호 강화 등의 목표가 실현될 것입니다. 이제 금융위원회의 마이데이터 2.0 추진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1. 마이데이터 이용자 확대 


(1)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오프라인 채널 개설


그동안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었던 디지털 취약계층(고령층, 저시력자 등)은 이제 은행과 같은 오프라인 점포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가입하고 정보를 조회하거나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오프라인 채널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입과 정보 조회가 가능해짐에 따라, 디지털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도 손쉽게 금융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고령층이나 저시력자에게는 전담 상담사를 통한 세심한 서비스가 제공되며, 고객의 요구에 맞는 금융상품 추천과 기존 오프라인 상담을 디지털 데이터 기반으로 보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온라인 서비스만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고객층을 대상으로 새로운 서비스 라인업을 확장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14세 이상 청소년도 가입 가능


14세 이상 청소년도 법정대리인 동의 없이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본인 계좌와 카드 사용 내역을 통합 조회하고, 이를 기반으로 용돈을 스스로 관리하는 등 보다 주도적인 금융 생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에는 용돈, 아르바이트 등 다양한 수입원이 청소년기부터 발생하면서 자산 관리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금융사는 소비 분석, 목표 저축, 자산 리포트 등의 기능을 통해 청소년의 올바른 재무 습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청소년 시기부터 관계를 형성한 고객은 금융사에 장기적으로 높은 충성도를 보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운영 중인 금융사는 마이데이터 2.0을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잠재 고객을 선점하는 전략을 펼칠 수 있습니다.

 

2. 마이데이터 제공 정보 확대 


(1) 전체 금융자산을 한번에 연결·조회


기존 마이데이터 서비스에서는 이용자가 가입한 금융회사를 기억하고 번거롭게 선택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해 휴먼 예금, 보험금 등의 정보를 조회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마이데이터 2.0은 이용자가 가입한 모든 금융회사와 금융상품을 별도의 선택 과정 없이 한 번에 조회할 수 있게 되며, 휴면 예금이나 보험금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사용 계좌를 마이데이터 앱에서 직접 해지하거나, 잔고가 있을 경우 원하는 계좌로 이전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2) 상세 내역을 제공하여 정확성 향상


이전에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 플랫폼에서 결제 시, 실제 결제처 상호 대신 PG사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만 보여주어 이용자가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전자금융업법 개정으로 결제 사업자에서 최종 판매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면서, 마이데이터에 판매 사업자명과 구입한 물품 내역이 정확히 표시된 결제 내역이 제공됩니다. 이를 통해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이용자의 소비 성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실제 수요에 따른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마이데이터 영업 활성화 


그동안 금융기관은 마이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영업 및 부수업무를 진행하는 데 법적 제약을 받아 왔습니다. 그러나 마이데이터 2.0에서는 겸영업무가 포괄주의(Negative) 방식으로 폭넓게 허용되며, 사후 신고 방식으로 개선됩니다.


부수업무의 경우 사전 신고는 유지되나 이미 신고되어 공고된 업무는 생략하고, 자주 신고되는 부수업무 위주로 신고서 작성사례 등을 안내하여 심사기간을 단축합니다. 이러한 규제 완화는 새로운 금융 서비스나 상품을 신속하게 출시하고 운영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하게 됩니다. 금융기관은 서비스의 혁신성을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4. 마이데이터 정보 보호 강화 


마이데이터 2.0은 데이터 제공 및 활용 과정에서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금융기관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이를 적법하게 활용할 책임이 커집니다. 마이데이터 2.0은 고객이 자신의 데이터를 제3자에게 제공할 때 명확하게 선택하고 동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보안 시스템이 강화되어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 등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안 강화는 금융기관이 고객과의 신뢰를 구축하고, 데이터 활용에 있어 법적,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이데이터 2.0은 마이데이터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후의 변화와 사업자의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마이데이터 2.0은 단순히 데이터를 모아 보여주는 수준을 넘어, 개인의 금융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예적금, 펀드, 보험, 대출 등 마이데이터 2.0으로 수집된 다양한 금융정보를 분석해 자산 구성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게 됩니다. 투자성향이나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자산 비중을 추천할 수 있으며, 일정 주기마다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재구성하거나, 변경 권유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더불어 고객의 금융 소비 패턴, 자산규모, 신용정보, 거래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신용대출, 적금, 카드, 보험 등의 금융상품을 개인 맞춤형으로 추천합니다. 단순 인기 상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고객이 실제로 수익을 얻거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상품 중심으로 추천이 가능해집니다.


2. 데이터 활용 및 분석 강화 


마이데이터 2.0의 가장 큰 변화는 전략의 중심이 상품에서 고객으로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기존에는 상품을 먼저 만들고 고객을 찾았다면, 이제는 고객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요를 예측하고, 그에 맞춘 맞춤형 상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하는 흐름으로 변화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소득이 없는 고객에게는 유연하게 납입 가능한 적금 상품을 제안하거나, 갑작스러운 지출이 늘어난 고객에게 소비 조절 알림과 함께 적절한 대출 상품을 추천합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갱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고객의 재무 상황 변화나 이상 징후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데이터 분석이 정교해지며 고객을 세분화하는 방식도 변화합니다. ‘30대 직장인’처럼 단순한 연령/직업 구분이 아닌, ‘최근 3개월 간 주식 거래가 급증한 고객’처럼 데이터 기반의 마이크로 타켓팅이 가능해지며, 마케팅 전략 역시 한층 정밀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마이데이터 2.0은 공공과 금융 분야를 넘어 다양한 산업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3월, 정부가 전 분야 마이데이터 시행 계획을 밝혀 적용 범위가 의료, 통신, 에너지 등으로 확대됩니다. 이에 따라 마이데이터 활용이 본격화되며 관련 시장의 빠른 성장이 예상됩니다.


데이터 경제의 핵심인 마이데이터 2.0은 소비자의 데이터 주권을 더욱 강화하고,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높입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의 다변화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참고자료]

- (금융위원회) 「마이데이터 2.0」 시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습니다

https://www.fsc.go.kr/no010101/83150?srchCtgry=&curPage=&srchKey=&srchText=&srchBeginDt=&srchEndDt=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전 분야 마이데이터 시행(3.13), 국민의 데이터 주권 시대가 열린다

https://www.pipc.go.kr/np/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S074&mCode=C020010000&nttId=11053

- (대한금융신문) 미성년자 자산관리 한 번에...'마이데이터 2,0' 포문

https://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313

- (전자신문) 마이데이터 2.0, 5월 29일 전면 시행한다

https://www.etnews.com/20250325000274

- (연합뉴스) 금감원, 마이데이터 사업자 CEO 간담회..."신용정보 철저 관리"

https://www.yna.co.kr/view/AKR20250320068600002?input=1195m

- (디지틀조선일보) 일상이 된 혁신, 핀테크가 바꾸는 금융

https://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25/04/10/2025041080177.html

- (스트레이트뉴스) 금융사 통신/유통 추진 및 마이데이터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970

- (스트레이트뉴스) 2.0..사용자 경험을 반영해야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545

- (조세일보) 금융위 "마이데이터 2.0" 시행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할 것

https://www.joseilbo.com/news/htmls/2024/09/20240929526721.html

- (비즈워치) 2%부족했는데...데이터 경계 더 허문다

https://news.bizwatch.co.kr/article/finance/2024/06/26/0025

- (아주경제) 6월 말 '마이데이터 2.0' 로드맵 나온다... 은행권, 대면 운영 주목

https://www.ajunews.com/view/20240617134149252

- (비즈니스포스트) 마이데이터 사업자 대면영업 가능해져, 이용연령 제한도 14세 이상으로 확대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67344


이번 쿠콘레터는 어땠나요?   📝의견 보내기>


본 메일은 쿠콘레터 수신을 동의한 분들에게 발송되는 메일입니다.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수신거부/Unsubscribe] 를 클릭해 주세요.
아직 쿠콘레터 구독신청을 하지 않으셨다면, [구독신청] 을 클릭해 주세요.

(주)쿠콘
biz@coocon.net
서울 영등포구 영신로 220 KnK디지털타워 19층 1588-3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