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주의 주요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폐기되었던 '노란 봉투법'이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빠르게 입법 추진 중이며, 8월 4일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주간 브리프에서는 화제의 노란봉투법이 무엇인지 요약하여 전해드립니다.


01. 노란봉투법이란?
  • '노란봉투법'은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을 뜻하며, 노조법상 사용자의 범위와 적법한 쟁의행위 대상을 넓히고, 쟁의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조정하는 내용의 개정안입니다.
  • '노란봉투법'이라는 명칭은 2014년 법원이 장기 파업을 한 쌍용차 노조원들에게 47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판결을 내리자, 시민들이 노란봉투에 성금을 전달하며 후원한 사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02. 노란봉투법 핵심 내용

1) 사용자 범위 확대

 

✔️ 현행법

현행법상 노조법상 사용자는 직접 근로계약을 맺은 회사로 한정됩니다. 따라서 직접 고용된 노동자만 사용자를 상대로 단체교섭 요구 및 쟁의행위를 할 수 있고, 하청, 특수고용 등 간접고용 노동자는 원청이 실질적으로 자신의 근로조건을 결정함에도 불구하고 교섭이 불가능하였습니다.

 

✔️ 개정안

  • 노란봉투법은 사용자의 범위를 근로계약을 직접 맺은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근로조건에 대하여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자’로 확대합니다.
  • 개정안에 따르면, 직접고용관계가 아닌 하청업체의 노조가 실질적 지배력을 갖춘 원청을 사용자로 보고 단체교섭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Point : 원청-하청 노조 직접 교섭 가능 (단, 원청의 실질적 지배력 인정시)
    → 현재 무노조 기업이라도, 원하청 간 지휘결정권한 점검 필요

2) 쟁위행위 대상 확대

✔️ 현행법

현행법상 쟁의행위(파업 등)는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사안, 즉 임금과 복지 등 근로조건에 직접 관련된 사안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 정리해고나 사업장 이전, 구조조정 등 경영상 의사결정에 속하는 사안 등에 대해서는 쟁의행위가 제한되었습니다.


✔️ 개정안

  • 노란봉투법은 쟁의행위의 대상을 ‘근로조건의 결정’에서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경영상의 결정’ 및 ‘단체협약 위반 분쟁’까지 확대하였습니다.
  • 개정안에 따르면 정리해고, 사업장 이전 등 경영상 의사결정이나 사용자의 명백한 단체협약 위반에 대해서도 합법적 쟁의행위가 인정됩니다.
💡Point : 경영상 결정이나 단체협약 위반에 대해 쟁의행위 가능
  → 모든 경영상 결정에 반드시 노조 허락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님. 정리해고처럼        근로조건과 밀접하게 관련된 경우만 해당. (<고용노동부 주요 질의답변> 참조)

3) 손해배상 청구 제한

✔️ 현행법

현행법상 기업은 노조의 위법한 쟁의행위(파업 등) 중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노조 및 노조원에게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쟁의행위에 참여한 조합원에게 연대 책임으로 과도한 배상액이 부과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 개정안

  • 노란봉투법은 노조가 사용자의 불법행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으킨 손해는 면책합니다. 

  • 법원이 손해배상액 산정시 일률적 손해배상 책임을 금지하고, 개인별로 책임 비율을 다르게 산정합니다.

  • 책임비율은 노조에서의 지위와 역할, 쟁의행위 참여 경위 및 정도, 손해 발생에 대한 관여의 정도, 임금 수준과 손해배상 청구 금액, 손해의 원인과 성격 등을 고려하도록 합니다.

💡Point : 기업의 손해배상청구 범위 제한, 책임 비율 개인별 산정
※ 노사관계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법안이므로, 노란봉투법 입법 관련 이슈는 주간 브리프와 월간 고용노동레터를 통해 빠르게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관련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 담당 노무사에게 문의 바랍니다. 
지난 소식을 다시 보시려면 이메일 주소로 로그인해주세요🙂
링크 우측 상단 "로그인" 버튼 클릭 ➡️ 이메일 주소 입력 ➡️ 내 이메일에서 링크 클릭 ➡️ 접속!
  
노무법인 해밀
www.with-nomusa.com
(07014)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65, YM타워 6층 
T. 02-2055-1522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