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입주사, VC이슈, 매출 지표 등
📩 오늘의 소식 
1. [디캠프 소식] 가을의 시작, 3분기 신규 입주사는?
2. [월간 VC 이슈] 늘어나는 CVC와 '윈윈'하려면?
3. [만능 지표 설정 프레임워크] 매출을 좀 더 입체적으로 보는 법
4. [프로그램 소개] 지금 신청 가능한 프로그램 모음.zip
✨ 디캠프 소식
가을의 시작, 3분기 신규 입주사는?

🍁 가을맞이 입주사 8팀을 소개합니다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가을바람이 느껴지는 이번 주, 마포 프론트원에서 3분기 입주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창업 지원 센터 프론트원의 인프라를 누리며 고속 성장할 신규 입주사를 확인하고 입주를 축하해 주세요! 

[프론트원 입주사 (8개 사)]
  • 📚 스마트 학습 전자책 플랫폼 '노팅'을 운영하는 '세샤트'
  • 💗 B2B 웰니스 프로그램 '달램'을 제공하는 '헤세드릿지'
  • ⚙️ 의료용 전동핸드피스 및 소모품 개발 및 판매하는 '다이나메딕'
  • 💪 개인 맞춤 운동 추천과 가이드를 제공하는 AI 운동 코칭 서비스 '플랜핏'
  • 🧠 NPU를 설계자산으로 제공하여 라이센스비 및 로열티를 받는 서비스 '에임퓨처'
  • 🤝 스타트업을 위한 영업 CRM 소프트웨어 '릴레잇'을 만드는 '픽셀릭코리아'
  • 🏍️ 사기피해 없는 이륜차 중고거래 플랫폼 '바드림'을 개발 중인 '사이클로이드'
  • 🪙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더 나은 금융 환경을 만들고자하는 '오픈에셋'

🧳 디캠프 다음 입주 기회는?
디캠프의 4분기 입주는 12월 진행될 예정이에요. 디캠프가 운영하는 스타트업 입주 공간은 마포 프론트원과 선릉 디캠프 2곳인데요. 리모델링 진행으로 2~3분기 신규 입주가 없었던 선릉 디캠프도 12월에는 새 단장을 마치고 신규 입주사를 맞이할 계획이에요. 디캠프 입주를 원하는 스타트업이라면 디캠프의 데모데이 디데이 출전을 추천드려요. 디데이 우승팀에게는 디캠프/프론트원 우선 입주의 기회가, 디데이 최종 출전팀에게는 최장 1년 입주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 월간 VC 이슈
늘어나는 CVC와 '윈윈'하려면?

📈 존재감 키우는 CVC
최근 벤처투자업계에 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CVC는 일반적으로 회사 법인이 대주주인 벤처캐피탈을 뜻하는데요. 2021년 공정거래법 개정에 따라 일반지주회사도 CVC를 설립할 수 있게 되면서 지난 5월 기준으로 포스코, GS, 효성 등 대기업 7곳을 포함한 지주회사 12곳이 CVC를 운영하고 있어요. 일반지주회사가 소유한 CVC는 지난해 130개 스타트업에 총 2118억 원을 투자하며 벤처투자 활성화에 기여했고, 올해는 잇단 CVC 설립과 하반기부터 시행되는 규제 완화로 투자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돼요.

🚩 CVC와 일반 VC의 차이점은?
CVC는 투자 수익 창출에 집중하는 일반 VC와 달리 신사업 발굴, 모기업과의 시너지 등 전략적 목적까지 고려하는 경우가 많아요. 때문에 일반 VC를 재무적 투자자, CVC를 전략적 투자자라고 구분해 부르기도 하죠. CVC의 투자를 받는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모기업의 자본과 네트워크, 인프라를 성장의 발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요.

💁‍♀️ WIN-WIN 관계를 위한 제안
CVC와의 WIN-WIN 관계 구축을 위해서 스타트업은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까요? 먼저 투자 유치를 고려하실 때 CVC의 모기업과 어떤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 고민하고 함께 논의해 보시길 권해요. 또한 밀접하게 협업을 진행하다 보면 기술 탈취 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사전적으로 비밀유지협약(NDA)을 체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본 내용은 디캠프 간접투자팀에서 선정한 VC 이슈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디캠프 간접투자팀은 ‘성장사다리펀드’, ‘은행권일자리펀드’ 등에 출자하며 지속가능한 투자 생태계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만능 지표 설정 프레임워크 #3
매출을 좀 더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법

만능 지표 설정 프레임워크 1편에서는 프로덕트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도 다양한 측면의 지표를 살펴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어요. 또 이를 위한 다섯 가지 렌즈를 제안했는데요. 오늘은 다섯 번째 단계이면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수익화’ 관련 지표를 소개할게요.

 

💰 대표적인 수익화 지표 5가지

비즈니스의 최종 목표는 수익일 텐데요. 매출 지표를 비롯한 수익화 관련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매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얻은 총수익
  2. 기간별 매출 성장률 : 전기 대비 매출의 성장률
  3. Paying Users : 돈을 내고 이용하는 유저
  4.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Active User 1명당 매출
    ㄴ 계산법: (매출) / (Active Users 수)
  5.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Paying User 1명당 매출
    ㄴ 계산법: (매출) / (Paying Users 수)

🔒 매출도 (당연히) 리텐션이 필요합니다 
쏘카, 퍼블리, 스티비를 거쳐 스타트업 어드바이저로 활동하고 있는
김민우님은 매출과 관련해 위의 다섯 가지 지표 외에 Net Revenue Retention이라는 지표도 함께 살펴볼 것을 추천했어요. Net Revenue Retention이란 무엇일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을 통해 확인하세요.

📝 지금 신청 가능한 프로그램 모음.zip
*클릭하면 신청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구독자분들께 💬

지난주 레터를 받아보신 구독자님들은 '8월 디데이 X 전 분야 우승팀은?' 콘텐츠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내주셨어요. 다음 주 뉴스레터에서는 8월 디데이 출전팀 2팀의 인터뷰를 전해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한편, 9월의 디데이는 추석 연휴의 영향으로 평소보다 조금 일찍, 9월 21일에 찾아뵐 예정이에요. 청중 신청 등 9월 디데이 소식도 뉴스레터도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 구독자님,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소중한 의견을 들려주세요!
d·camp | FRONT1
contact@dcamp.kr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551, 새롬빌딩 02-2030-9300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2, 프론트원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