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AI 섹터를 중심으로 강한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한 주간 월드코인 +133.4%, 아캄 +131.6 [시황 코멘트] 가상자산 시장은 횡보세를 이어감. 한때 비트코인 가격이 53K에 다가서기도 했으나, 이내 하락하며 51~53K 사이에서 거래됨. 지난 16일부터 23일 가상자산 시장의 시가총액은 전주 대비 약 0.1% 하락.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각각 한 주간 -1.9% 하락, 4.9% 상승하여 5만 1천 달러대, 3,000 달러선에 다가섬.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횡보하는 동안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자산)은 일부 섹터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임. 특히 AI 섹터를 중심으로 강한 상승세가 나타남. 한주간 월드코인 +133.4%, 아캄 +131.68%, 렌더토큰 +42.59%, NFPrompt +24.8% 등 주요 알트코인들이 큰 폭으로 상승.
한편, 16거래일 동안 순유입을 기록하던 비트코인 현물 ETF가 21일(현지시각) 순유출을 기록했으며 일부 가상자산 해외선물거래소에서 비트코인 선물 롱 포지션이 줄어드는 모습을 확인.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나, 단기적인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음. 최근 AI 섹터를 중심으로 강한 상승세가 나오고 있지만, 상승세를 즐기되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
|
마이클 세일러(Michael Seylor)가 이끄는 미국의 BI 소프트웨어 개발사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y, NASDAQ:MSTR)의 X 계정이 해킹당해 피싱 에어드랍 링크가 게시되었습니다. 피싱 게시글에는 이더리움 기반 $MSTR 토큰을 런칭했으며 현재 에어드랍이 진행중이라고 작성되어 있습니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ZachXBT에 따르면 현재 44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
|
|
엑스플라(Xpla, $XPLA)가 국내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 수호아이오(SOOHO.IO)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수호아이오의 블록체인 기술 전문성과 엑스플라의 게임 플랫폼을 결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하고 디파이 서비스의 접근성을 확장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수호아이오는 엑스플라의 인프라 향상을 목표로 Cosmwasm/EVM과 같은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DEX 솔루션을 배포하고자 준비 중입니다. 추후 수호아이오는 DEX 사용을 게임과 같은 몰입형 경험으로 전환하고 웹2.0 사용자를 위해 유동성 제공과 디파이 투자를 간소화할 계획입니다. |
|
|
토큰 언락(Token Unlocks)에 따르면 3월 1일 디와이디엑스(dYdX, $DYDX)의 토큰 락업 해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락업 해제 규모는 33,330,000 $DYDX 규모로 유통량의 11.09%에 해당합니다.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섹터 별 토큰 락업 해제 물량
- 투자자: 18,490,000 $DYDX
- 창립자, 팀, 어드바이저, 컨설턴트: 10,180,000 $DYDX
- 미래 임직원: 4,670,000 $DYDX
|
|
|
1. 25일 유명 인플루언서인 @WuBlockchain이 트위터를 통해 Blast 생태계 내의 프로젝트인 RiskOnBlast에서 러그풀이 일어난 것으로 의심된다고 전함
- Blast는 네이티브 이자 생성 기능을 갖춘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tic rollup)기반 레이어2 솔루션으로 현재 약 $2B의 TVL을 보유 중임
- RiskOnBlast는 Blast 생태계 내의 베팅 플랫폼임
2. 러그풀 의혹은 25일 갑작스럽게 RiskOnBlast의 공식 트위터, 웹사이트, 디스코드에 접근이 되지 않으며 확산됨
3. 이후 외신에서 RiskOnBlast의 러그풀 소식을 전했으며, 이더스캔에서도 피싱/스캠으로 표시됨
4.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
- "Blast의 공식 트위터에 RiskOnBlast가 올라온 것을 보고 투자했다. 환불 받기를 원한다" 라는 반응이 존재
- 외에도 Blast와 RiskOnBlast를 비판하는 반응이 대거 존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