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에이드 PICK
- 경기도에서는 공동주택 품질 분쟁의 사전 예방 및 주택 품질 향상을 위하여 2006년부터 공동주택 품질점검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건축", "조경", "전기통신", "기계", "소방" 등 다양한 분야의 품질점검위원들이 참여하여 현장점검을 진행합니다. 공동주택 품질점검은 총 4번에 걸쳐서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 1차 : 골조공사 중 (공정률 25% 내외)
- 2차 : 골조완료 후 (공정률 50% 내외)
- 3차 : 사용검사 전 (입주자사전점검후 10일 이내)
- 4차 : 사후점검 (준공 이후)
- 경기도에서는 공동주택 품질점검을 진행하면서 사업관계자들이 참고해야할 점을 "공동주택 품질점검 사례집"을 통해 알리고 있습니다. 최신 기술과 모범사례를 반영하여 매년 개정판을 발간하고 있으며, 현장의 다양한 요구와 해결책을 담고 있습니다.
- "공동주택 품질점검 사례집"은 6가지 대목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동주택 품질점검 제도의 개요와 실적"을 비롯하여 "공동주택 불편 개선사례", "공동주택 품질점검 사전리스트", "분야별 품질향상 고려사항", "기타 참고자료" 등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분야별 품질사항 고려사항은 총 10개 분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분야별 주요 지적사항, 각 단계별 고려사항, 우수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공동주택의 고층화, 대형화, 기계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공동주택이 우리의 삶에서 갖는 의미를 생각할 때 "공동주택 품질점검 사례집"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됩니다.
|
|
|
🏠 부동산 분야
딜북뉴스 # 매일 9시 # 프로젝트금융&대체투자 # 가입
📈 경제 분야
|
|
|
🏢 건설 개발
🏢 부동산 금융
📈 부동산 시장
🌃 지역 이슈
👩 분양 입주
🚧 재건축 재개발
🏛️ 공공 정책
|
|
🏛️ 금융 정책
💲 금융 기관
📊 금융 지표
🏢 부동산 금융
|
|
📈 글로벌 지표
🏢 글로벌 기업
🌎 미국 경제
🌎 중국 경제
|
|
🏢 오피스텔 / 도시형생활주택 / 생활숙박시설 / (공공지원)민간임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