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스레터로는 처음 인사드립니다. 저는 SSIR 한국어판의 콘텐츠 어시스턴트이자, 사회성과 측정 전문 조직 임팩트리서치랩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는 조수연입니다. 임팩트를 측정하는 일이 아직 많은 분들에게는 낯선 직무일 텐데요. 제가 하는 일의 대부분은 변화를 만들고자 애쓰는 여러 조직과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일을 듣고, 그들이 만드는 성과를 근거에 기반해 설명하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조직을 만나게 되고, 예상치 못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그들의 고민과 마주하게 돼요. 최근에도 이런 고충을 들었습니다.
"우리가 만든 임팩트가 숫자에 전부 담기지 않아요."
"우리가 잘 해내고 있는 일을 설명할 기준이 없어요."
"이야기를 더 전하고 싶은데, 파트너 기관은 숫자로 말하기를 원해요."
이런 이야기들을 들을 때마다, 완벽하지 않을지라도 임팩트를 정의하고 측정한다는 건 그 시도만으로 의미가 있다고 말씀드리곤 합니다. 임팩트를 잘 만들어가고 있는지, 더 잘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조직과 사업을 구조적으로 들여다보게 되기 때문입니다.
임팩트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개인과 조직의 고민도 더 많이 접할뿐더러 임팩트에 대한 논의의 기회도 생태계 전반에서 늘고 있고, 그 깊이를 더해가고 있다고 생각해요. 지난 4월, 일본에서 열린 AVPN(아시아 33개국 600개 이상의 회원이 소속된 아시아 최대 규모 사회적 투자자 네트워크) 동북아시아 서밋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보여주는 장면이라 느꼈어요. 아시아 전역의 재단, 임팩트 투자사, NGO 등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모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를 연결하고, 더 큰 임팩트를 위한 논의를 이어가는 현장에 저도 참여할 수 있어 좋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