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에 대한 이야기 비중을 넓혔을 때 반응이 수직 상승했어요 너무 많은 흥미로운 물건의 시대에 “이왕 사는 거라면… 더 즐겁게, 더 진정성 있게!”를 모토로 한 <따바레터> 팀을 만났습니다. 로파 서울의 김영지 대표, <따바레터>를 보고 입사해 초기 리뉴얼과 세팅을 잡은 최윤희 프로젝트 매니저, 뉴스레터 작성과 배송 및 CS를 담당하는 정연 매니저에게 브랜딩과 매출 사이 균형 잡힌 콘텐츠를 발행하는 방법을 물었습니다. |
|
|
인터뷰를 진행한 정연 매니저, 최윤희 프로젝트 매니저, 김영지 대표 |
|
|
로파 서울에 비해 따바프레스라는 이름은 상대적으로 낯선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따바 프레스와 로파 서울의 상관관계가 궁금합니다.
|
|
|
‘로파 서울'은 편집숍이자 브랜드 이름이고, ‘따바프레스’가 모회사 개념이라고 보시면 돼요. 로컬에서 재미난 콘텐츠를 만드는 문화적인 영향력을 가진 크리에이티브 컴퍼니가 되고 싶어서 ‘따바프레스’라는 사명을 써요. 로파 서울을 만들기 전 프리랜서 시절부터 써온 이름이에요.
뉴스레터도 ‘로파 서울’이라는 브랜드를 내세울지 고민했는데요. 편집숍 외에도 전개할 프로젝트들이 많아서 사명을 인지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해 ‘따바프레스’와 뉴스레터를 결합한 <따바레터>로 이름 지었어요. |
|
|
동탄, 영등포, 용산 등 물리적 공간은 물론 온라인 채널까지 확장하고 계시죠. 어떤 계기로 뉴스레터를 시작하게 되었나요?
|
|
|
일을 하는 이유와 후일담, 작가 소개, 사물의 쓰임 등 하고 싶은 말이 많았어요. 뉴스레터는 길게 적어도 용인되는 매체잖아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었어요. 실제로 좋은 뉴스레터의 사례들을 알고 있었고요.
가령 부산의 로스터리 베르크에서 발행하는 <WERK Newsletter>를 1편부터 봤었어요. 얼마나 그들이 업에 진심인지, 어떻게 일하는지 알 수 있어서 인상 깊었고요. 요즘은 오드플랫의 <오드플랫 뉴스레터>도 재밌게 보고 있는데요. 빈티지 가구를 둘러싼 양질의 아티클을 발행하셔서 챙겨보게 되더라고요.
|
|
|
현재 <따바레터>는 어떤 콘텐츠를 다루고 있나요?
|
|
|
대표님이 편지 쓰듯 작성하는 ‘덕업일치’ 코너, 로파 서울의 강점인 제품 큐레이션과 브랜드 소개, 인터뷰나 창작자를 다룬 아티클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덕업일치' 코너는 이름만 들으면 ‘즐거운 일을 하고 사는' 이야기일 것 같지만, 양산이나 디자인 등 대표님의 이전 ‘업'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쓸 수 있는 전문적인 글들을 보내드리고 있어요. 상이한 세 가지 콘텐츠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슬로건으로 ‘이왕 사는거라면’을 짓게 되었어요. 결국 다 사는 얘기잖아요. 살만한(buyable) 아이템과 정말 우리가 살아가는 이야기를 적절히 섞은 거죠. |
|
|
'이왕 사는거라면'이라는 슬로건으로 다채로운 이야기를 전하는 <따바레터>
|
|
|
<따바레터>를 작성하거나 분석하실 때 주로 염두에 두는 포인트도 궁금해요.
|
|
|
의외의 답변일 수 있는데요. 글보다 사진에 더 신경을 써요. 시각적인 게 주요 데이터와 직결되더라고요. 웹사이트에는 통일성을 맞추기 위해 배경을 제거한 상품 사진을 대표적으로 내세우는데요. <따바레터> 내에서는 고객들이 실제로 구매하고 사용했을 때의 느낌을 쉽게 상상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무드의 사진을 써요. |
|
|
브랜딩과 제품 소개 균형이 잘 잡혀있다고 느껴져요. 뉴스레터를 발행 전후로 체감하시는 효과가 있나요?
|
|
|
다양한 제품 중 일부를 한 번 더 엄선해서 뉴스레터로 소개하다 보니 제품이 더 주목받는 효과가 있어요. 금요일에 발송하고 퇴근하면, 월요일에 소개한 제품의 주문이 들어와 있어요.
기억에 남는 손님 중 한 분은 현재 매장으로 이전한 기념으로 도슨트 프로그램을 진행했을 때 오신 분인데요. 이 전의 로파 서울에 대한 히스토리는 모르고 <따바레터>를 통해 로파 서울을 알게 되셨대요. 뉴스레터가 아니었다면 만날 수 없던 분이었던 거죠. 그 외에도 매장에서 ‘저 뉴스레터 구독자예요’하고 인사해 주시는 분들도 있고 매번 반가움을 느껴요. |
|
|
로파 서울의 이야기는 스티비 블로그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
|
|
2024 스티비 이메일 마케팅 세미나 현장 스케치 |
|
|
2024년 9월, 각자의 방식으로 이메일 마케팅을 하고 있는 브랜드들의 이야기를 나누는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커피 브랜드, 철제 가구 브랜드,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까지, ‘고객과 가까워지는 이메일 마케팅’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모인 세 팀의 이야기를 현장 스케치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