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대책인걸까?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좋은 대책'인지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지금 시장 상황에 맞는지, 정말 '내 집 마련'이 쉬워지는 거 맞는지다.
1. 지금 시장 상황에 적합한가?
집값이 하락하고 미분양 주택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지금의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 공급 과잉이 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공급 계획 이후 실제로 주민이 입주하기까지 몇 년 이상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조심스럽지만 주택 공급을 계속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경기가 다시 살아나면 또 다시 공급 부족 사태가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번 1기 신도시 특별법의 경우 단기적으로 해당 지역의 집값 상승 효과가 있고, 장기적으로는 주택 공급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지역민들 역시 빠른 재개발을 촉구해왔다. 정부가 지난 8월, 관련 정책을 2024년까지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자 이에 반발해 야당의 경기도지사 선거 승리에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다만 문제는 이미 많은 1기 신도시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여기서 주택 공급이 늘어 갑자기 인구가 증가하면 도시 인프라가 감당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2. ‘내 집 마련’ 쉬워질까?
집값이 떨어지는 가운데 규제를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는 데는 대체로 수긍하는 분위기지만,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완화에 대해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섣부른 규제 해제는 부동산 투기를 조장하고, 결국 집값이 다시 오르게 돼 ‘내 집 마련’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부는 왜 다주택자의 세금을 덜어줬을까? 다주택자를 ‘건전한 민간임대사업자’로 키우겠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다주택자의 세금을 올리면 세입자들의 임대료 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을 덜어 주거 안정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민간에서의 주택 임대를 장려하겠다는 현 정부의 정책 방향과도 연결돼 있다. 윤석열 정부는 공공임대는 정부 재정 부담으로 이어져 경기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고, 실제로 올해 예산안에서도 공공임대주택 예산은 지난해(약 20조 원)에 비해 약 5조원 삭감됐다.
물론 다주택자 세금 감면이 임대료 안정에 기여할 것이란 정부의 기대에 회의적인 의견도 있다. 세제 감면이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낮고, 오히려 다주택자의 지대추구만 쉬워지게 된다는 주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