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사회운동 -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플랫폼C 동동(東動) 29호
안녕하세요!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 30호입니다. 2021년 첫호를 발행한 동동이 어느새 2년이 훌쩍 넘어 30호를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 30호 발행을 축하하며 십자말풀이와 함께 소정의 경품을 준비했으니 많은 참여부탁드립니다!
이번 호에는 <극단적 기후의 동아시아 - 기후정의운동이 필요한 때>, <한일교사들, 희망의 노래를 부르자!>, <중국인 망명자의 편지>, <중국의 노동권과 노사관계>, <중국 민간 좌파, 바리케이드의 어느 편에 설 것인가?> <일본 유산유도제 도입을 둘러싼 과거·현재·미래> 등 주로 한, 중, 일의 소식을 담았습니다.  923기후정의행진조직위원회 홍보팀과 동동이 함께 만든 영어, 중국어, 일본어 3개 국어 포스터도 선보이니 마지막까지 읽어주세요!  
극단적 기후위기의 동아시아 - 기후정의운동이 필요한 때
올 여름 역대급 폭염과 폭우로 중국,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에 큰 인명피해와 수백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 기후위기의 징후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지만, 각국 정부의 대응은 무능하기 짝이 없죠. 이제 더이상 기다릴 수 없습니다. 이윤을 위해 자연을 갉아먹은 자본과 기후악당국가에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또, 재생에너지 확대, 안전한 집, 공공교통, 옥외 노동조건 개선 등 모두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정의로운 체제전환을 시작해야 합니다. 오는 9월 23일, 서울 한복판에서 기후정의행진을 합니다. 함께 요구합시다, 우리는 기후정의를 원한다고!

한일교사들, 희망의 노래를 함께 부르자!

8월 1일, 한국의 전교조 서울지부 소속 고등학교 교사들과 일본 나고야YWCA아이치현립고등학교교직원조합 교사들이 만났습니다. 양국의 선생님들은 서이초 사건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등 현안을 포함해 여러 사안에 관해 서로의 의견을 진지하게 경청하고 연대를 다짐했는데요. 플랫폼씨 회원이 여기에 참가한 후기를 남겼습니다. 

중국인 망명자의 편지

두 편에 걸친 이 글은 한 중국인 사회운동 활동가가 체포되어 심문당하고 정치적 망명을 택하기까지의 과정을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로 묘사한 것입니다. 체포와 탄압에 대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실어'상태에 빠지는 것이 더 고통스러웠다는 저자는 자신을 국가의 탄압에 맞서 싸우는 이란인 마헤사로 설정하고, 이란의 독재와 다를 것 없는 중국의 위선과 억압을 폭로합니다. 그리고 혁명을 완수하지는 못했지만 "우리는 누구도 후회하지 않는다"는 다짐으로 글을 마칩니다. 

잠깐 홍보! 플랫폼씨 <상평하계:상반기평가 하반기계획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온 반기가, 반기획! 상평하계가 회원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2023년 상반기 플랫폼씨가 해온 월례포럼, 각종 세미나, 팜플렛 및 뉴스레터 발간, 연대활동 등을 보고하고, 923기후정의행진, 후원의 밤 등 하반기에 있을 사업들을 함께 계획하고 논의하는 자리를 가집니다. 특별히 '9.23 기후정의행진, 왜 중요하고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집담회도 진행할 예정이니,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아~!
아직 회원이 아니시라구요? 지금 가입하시면 되죠!?!

👉뒷풀이 때 드실 음식,음료를 직접 가져오시면 좋습니다 
⏰일시: 2023년 8월 26일 (토) 오후 3시 
🏛️장소: 망원동 338-73,2층 플랫폼C 사무실 + 줌온라인
👀문의: 010-8717-2561

중국의 노동권과 노사관계

스스로 '사회주의'국가라 칭하는 중국의 노동법은 어떻게 발전되었고, 집행 되고 있을까요? 중국의 노동자들은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싸워왔을까요?  중국노동회보 웹사이트에 실려있는 이 글은 1990년 대 이후 중국 노동법 발전과정과 중국노총이 노동자를 효과적으로 대변하지 못하는 이유, 2010년 대 전까지 시민사회 노동단체가 노조의 임무를 어떻게 대신 수행했는지를 이야기합니다. 


  중국 민간좌파, 바리케이드의 어느 편에 설 것인가?
20년 넘게 중국의 사회, 정치, 경제 상황을 연구해 온 랄프루커스는  억압적인 중국국가좌파와 구분되는 중국 내의 노동자, 여성, 농민 운동의 역사를 조명하는 귀중한 작업을 해오고 있는데요. 중국에 대한 객관적 인식과 통찰로 중국국가와 좌파, 풀뿌리 운동을 분석한 그의 최근 저서 <the left in china: 중국의 좌파:정치적 지도제작법>의 서평을 만나보세요. 

일본 | 유산유도제 도입의 과거와 현재, 앞으로의 과제  

지난 달에 소개한 「일본 임신 중절 정책의 역사」에 이어, ASAJ(Action for Safe Abortion Japan)의 구성원인 스카하라 쿠미(塚原久美)의 발표를 중심으로 주요 정보들을 추가하여 정리했습니다. 지난 20년간 임신중지를 연구해 온 쿠미는 4월 일본에서 승인된 유산유도제 ‘메피고팩’ 도입 후 해결해야 하는 여섯가지 문제가 남아있다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전체 글을 클릭하셔서 여섯가지 문제는 무엇인지 확인하세요! 

  플랫폼C 책읽기 모임 
9월 책읽기모임에서는 9월 23일 기후정의행진을 맞아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기후위기와 기후정의운동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엠마라는 이름의 활동가이자 그래픽노블 작가 엠마가 쓰고 그린 이 책 『기후에 관한 새로운 시선』은 기후위기에 대한 책임을 평범한 사람들 모두에게 돌리는 일반화된 시선을 넘어, 소수의 자본가들에게 그 책임을 묻습니다. 저자는 자본가들의 이윤 축적 행위에 의해 촉발된 오늘날의 위기가 초래하는 부정적 파급력이 가히 전 세계적이라는 사실을 직시하고, 지구의 미래를 그들에게 맡겨선 안 된다는 것을 호소합니다.

⏰ 일시: 2023년 9월 7일(목) 오후7시
📌 장소: 서울시 망원동 338-73, 2층 플랫폼C + 줌온라인
📱 문의: 공일공-칠육이육-일이일공 or https://t.me/platformc_qna 
✍️ 참가신청  https://bit.ly/fresh-look-at-climate  
30호 기념 십자말 풀이를 완성해 메일로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추신 분들께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더욱 알찬 뉴스레터를 위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일 - 바로바로 !
우리은행 1005-203-964648 플랫폼씨
플랫폼c는… 
  • 플랫폼c는 사회운동의 혁신 및 재생산을 위한 교육과 비평의 공간이자, 함께 공부하고 실천하는 활동가 그룹입니다. 회원 중에는 노동조합, 사회운동단체, 진보정당 활동가만이 아니라, 연구자와 학생, 노동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 상호 개방적이고 교류하는 운동을 지향하며, 분명한 관점을 가지려 노력하지만, 기존의 정파 조직 형태를 지향하지 않습니다. 
  • 사회운동 실천‧공개토론‧강연‧세미나‧뉴스레터 발행‧동아시아 국제연대‧영화상영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더 많은 이들과 함께 하고, 일상적인 책읽기 모임과 웹진을 통한 비평 활동을 통해 사회운동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더 나은 세계를 꿈꾸는 여러분, 플랫폼씨에 함께 해주세요. 플랫폼씨를 후원해주세요. 


회원의 권리
  • 매년 중요한 사업기획을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데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월례 포럼과 책읽기 모임 등 각종 행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플랫폼c가 이따금 발행하는 팜플렛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 뉴스레터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 뉴스레터는 한국 사회운동 주요 소식과 동아시아 사회운동 정세 브리핑 등 내용을 다룹니다.
 
재정
  • 플랫폼c는 회원들의 회비와 기타 비영리 사업(팜플렛 등)을 통한 수익금으로 운영됩니다.
  • 플랫폼c 활동가의 활동비와 기타 사무실 운영비용, 사업운영에 쓰입니다.
  • 플랫폼c의 예결산 내역은 회원들에게 정기적으로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플랫폼씨 platformc.kr * 이메일 | platformc@protonmail.com * 주소 |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41 2층 (망원동)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