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너지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R&D)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이창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우리나라 정부가 SMR 기술에 대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 정책관은 “인공지능(AI)과 데이터 센터 등으로 에너지가 급격하게 필요해졌고, 글로벌 탄소 중립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에너지원이 필요하다”며 “SMR이 대형 원전 중심의 한국 원자력의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도 비경수로형 SMR을 신속하게 상용화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으로 기술 개발부터 실전화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동안 대형 원전이 정부 중심의, 공공 영역에서의 개발·건설 주도였다면 SMR은 시장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민간기업과 함께 기획·개발하고 실증까지 지원하는 민관협력의 방식을 취하려고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자금, 인력을 투입하고 실증까지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하고 공공연구기관에서 확보하고 축적한 기술도 민간에게 이전시키는 역할을 하려고 한다”고 부연했습니다.
이 정책관은 SMR의 생태계를 완벽하게 갖추기 위해 “산학 협력의 연구조합 형태로 협력하는 체계를 갖추고, SMR에 특화된 인력센터를 원자력 학과에 설치해 주고 있다”며 “법과 관련해선 아직 확립된 규제, 인허가 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아 규제 기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세션의 좌장을 맡은 정재훈 맥킨지앤드컴퍼니 파트너는 “SMR이 에너지 전환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민관 협력을 통해 SMR을 에너지 전환의 선도적인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