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핵심 요약ㅣ
"RE100, 석탄 혼소(co-firing) 더 이상 재생에너지로 인정 안 해"
"2년 만에 기술기준(Technical Criteria) 개정... 조달 기준 더 엄격해진다"
"향후 기타 화석연료와의 혼소 발전 방식에 대해서도 제한을 확대할 지 여부를 계속 검토"
RE100에 참여하거나 재생에너지를 조달하는 기업들은 앞으로 해당 기준을
면밀히 살피고 조달 전략 수립 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번 특집 뉴스레터에서는 개정된 RE100 기술기준의 핵심 내용과 시사점을 정리해 드립니다.  
🔎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개정사항은 2026년 사용분부터 적용, 2027년 CDP 보고 반영
      *단, 15년 이상 된 발전소로부터 조달사항은 즉시 적용  
    향후 LNG 등 화석연료 혼소 방식도 제한 가능성
     : RE100 "향후 다른 혼소 방식에 대해서도 조달을 제한하는 추가 조치 검토 계획"
📑RE100 기술기준이란?
RE100 기술기준(Technical Criteria)은 RE100 참여 기업이 재생에너지 전력을 조달하고 목표 이행 상황을 평가할 때 따르는 기준입니다. 국제 온실가스 산정 기준인 'GHG 프로토콜 ⌜Scope 2 배출량 산정 가이던스⌝의 시장기반 산정법'을 따르며 2년 주기로 개정됩니다. 

RE100 회원사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전력을 조달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기업들에게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재생에너지 공급량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임팩트 있는 조달에 대한 기준도 함께 제시됩니다.

기술기준은 'RE100 기술자문위원회(TAG)이 회원사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의해 마련하며,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김태한 수석연구원 TAG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RE100 기술기준 핵심 변경 사항 

 1. 석탄 혼소 발전 전면 배제💨 
도입 배경ㅣ낮은 탄소 감축 효과와 화석연료 수명 연장, 에너지믹스 내 화석연료 비율 고착화 방지

개정 규정ㅣ석탄과 함께 태우는 발전 방식 등 석탄과 혼소 발전 시 이행 미인정

적용 시점ㅣ2026년부터 적용(2027년 CDP 이행 보고)  


2. 재생에너지 인증서(EAC) 필수화📃

도입 배경ㅣEAC 제출 의무화를 통한 재생에너지 조달의 투명성 강화

개정 규정ㅣEAC 통용 국가에서는 전력망 내 조달 시 EAC 보유 및 폐기 필수

적용 시점ㅣ2026년부터 적용(2027년 CDP 이행 보고)  


3. 15년 이상 경과된 발전소 조달 기준 강화🏗️

도입 배경ㅣ최초 계약자에 대한 세부 및 예외 규정의 부재로 인한 정의 혼선 최소화

개정 규정ㅣ15년 초과 발전소에서의 조달은 원칙적으로 제한. 다만, 최초계약자이나 규제로 즉시 전력 공급이 어려운 최초계약자에 대한 예외 인정

적용 시점ㅣ즉시 적용(2025년 CDP 이행 보고)  

4. 기타 변경사항 

ㅣ본문ㅣ
  인정 재생에너지원 "해양에너지" 표기 추가 ㅣ 지속가능한 수력·바이오매스 조달 관련 설명 추가 등 
ㅣ부록ㅣ

  EAC 통용 국가 및 활용 가능 EAC 리스트 제공 ㅣ 녹색프리미엄 제도에 대한 세부 설명 추가 등

🔎향후 전망 및 국내 시사점 
💬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태한 수석연구원(RE100 TAG 참여)
"RE100 기술기준은 재생에너지의 실질적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개정"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 자산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악용될 소지를 원천적으로 막고, 기업의 재생에너지 구매가 실질적인 공급 확대로 연결되기 위한 취지에서 진행"
"한국은 수소전소발전으로 전환하는 중간 과정으로 수소-LNG 혼소 발전을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있는 만큼, 향후 RE100 기술기준 개정 동향을 면밀히 검토"

💬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서승연 선임연구원
"석탄 혼소는 탄소 감축 효과가 낮고 석탄 발전소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재생에너지 조달 방식에 대한 기준을 보다 엄격하게 한 것"

💬 올리 윌슨 클라이밋 그룹 RE100 총괄
"전 세계적으로 저렴하고 쉽게 접근 가능한 재생에너지원이 존재하는 만큼, 전력 시스템에서 화석연료들 퇴출해야 하며, 석탄 혼소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저해할 수 있어 에너지 믹스에서 제외할 시점에 도달"
ㅣ국내외 RE100 참여 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
79%
11차 전력수급기본 계획 내 2030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는 RE100 달성에 부족 
67% PPA(전력구매계약)를 주요 조달 수단으로 고려 중
 → 국내 재생에너지 조달 여건 여전히 미흡, 정책 및 공급 측면에서의 보완 필요 
💡RE100 최신 소식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RE100 로컬캠페인파트너 ㅣ CDP한국위윈회 사무국
 cdp@kosif.org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은
ESG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바꾸어 나갑니다.
www.kosif.org  l  kosif@kosif.org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650-1, 3층
Copyright @ 2025 KoSI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