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겜뉴는 북미/유럽/남미를 주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PC/MOBILE/CONSOLE 마케팅 전문 팀입니다 미겜뉴는 북미/유럽/남미를 주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PC/MOBILE/CONSOLE Go-to-Market 컨설팅을 하고 있는 마케팅 & PR 전문팀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 게임 시장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한국 게임의 세계 시장 진출을 돕는 미션을 갖고 있습니다. |
|
|
- 구글이 유튜브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실험중
- 플레이어블이라고 불리는 이 기능은 현재 구글 직원들 상대로 이메일을 보내서 실험참여자 모집중
- 웹사이트나 유튜브 앱에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 구글 대변인 “유튜브는 게이밍에 오랫동안 집중해왔다. 언제나 새로운 기능을 실험하고 있다”
- (인사이트) 구글 아직 클라우드 게이밍 포기하지 않았다. 🎮
- 메타 퀘스트 VR 구독 서비스 론칭
- 메타 퀘스트+라는 이름의 구독서비스. 매달 두개의 VR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음.
- 가격은 한달에 7.99달러 혹은 1년에 59.99달러. 👓
- 로블록스 생성형 AI가 ‘좋은 시작’을 보여줬다고 밝혀
- 로블록스 스튜디오의 헤드 스테파노 코라짜는 생성형 AI와 관련한 기능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혀. 코드는 35%의 증가를 보였고 이를 통해서 생성된 재료들은 50%가 증가.
- (인사이트) AI로 게임을 만드는 시대가 온다면 그 시작은 로블록스가 될 것. 🤖
- 소니에 대항하려 게임회사들을 인수하려는 마소의 내부계획이 밝혀져
- 2019년 Xbox 게임 스튜디오의 수장 맷 부티가 마이크로소프트 CFO 팀 스튜어트에게 보낸 내부 이메일이 공개됨
- 돈으로 소니를 죽이기 위해 (spend Sony out of business) 세가, 나이안틱, 번지를 인수하자고 제안
- “텐센트, 구글, 아마존, 소니가 중요한 IP를 다 보유하면서 ‘게임계의 디즈니’가 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 (인사이트) 스타필드 출시도 같은 맥락. 마소의 인수전이 독점을 위한 것이라는 중요한 증거로 사용될 수도? 💵
- 스타필드의 디스크 버전이 있는지에 대한 온라인 논쟁
- 베데스다의 오피셜 트위터 계정이 디스크 버전이 없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논쟁이 시작
- 이후 트윗은 지워졌지만 스패니쉬 계정은 다른 이야기를 하면서 사용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증폭
- (인사이트) 게이머들 수집욕을 잘못 건드리면 좋지 않다. 😥
|
|
|
험블 게임즈(Humble Games)가 수행한 인디 게임 소비자에 대한 분석 리포트 요약!
하이라이트
- 인디 게임 소비자들은 15달러 ~ 25달러 정도 가격대의 타이틀을 선호!
- 가장 많이 게임을 접하는 경로는 바로 유튜브! 그 다음이 스팀!
- 멀티 플레이 보다는 싱글 플레이 경험을 선호!
- 인디 게임을 주로 하는 구매자는 1년에 평균 5개 이상의 인디 타이틀을 구매!
- 가장 인기 많은 스타일은 경쟁 +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고 자유도가 높은 비선형적인 게임!
심화 인사이트
- 인디 게임 소비자들은 15달러 미만 게임에 대해서는 퀄리티가 낮은 게임일 것으로 생각
- 구매하기 전 소비자들의 30% 가량은 기대감을 갖고 사전에 인지하며, 10%가 사전 주문
- F2P + 라이브 게임 소액 결제보다는 패키지 유료 게임을 더욱 선호
- 게임 플레이 비디오가 게임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응답)
- 인디 게이머들은 특히 로그라이크나 메트로배니아(액션 게임의 하위 장르)를 특히 선호
결론 (구매자가 인디 게임에서 기대하는 것)
- 인디 게임은 독특하고 실험적이며, 혁신적일 것이라는 차별성 기대
- 낮은 품질이 인디 게임의 특징으로 규정되지 않으면 좋겠고, 스토리/내러티브/컨트롤 등에서도 질 높은 게임 플레이가 구현되기를 바라는 마음
- 독창적인 IP, 위험을 감수하고도 실험적인 개발, 독특한 메커니즘, 개성있는 그래픽 및 개인적인 표현을 허용하는 게임을 높이 평가
- 컨텐츠의 양도 중요하게 여기며, 플레이 시간 20~100시간을 선호!
|
|
|
오늘의 미겜뉴는 여기까지 게이머님, 미국 게임 뉴스레터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다음에도 또 만나요!
저희 팀은 현재 글로벌 유명 IP부터 인디 게임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글로벌/로컬 미디어와 긴밀한 파트너십으로 IP에 맞는 현지 전략을 통해 그로스 해킹 중입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