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발신 급등주 무료 받기 https://********”
여러분께서도 저처럼 위와 같은 문자를 받은 적이 있으신가요? 최근 주식 홍보 문자를 사칭한 스미싱 메시지가 급증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유형이 ‘리딩방 스팸‘이라고 해요. 뿐만 아니라 요즘 해외 직구를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관세청을 사칭하거나 가짜 택배 보관 문자 발송 등의 스팸 문자도 증가하고 있다고 해요.
그런데 이 같은 대부분의 메시지에는 특정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포함되어 있어요. 이는 ’스미싱 문자 발송> 링크 클릭 유도> 가짜 사이트’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지요. 또한 이 가짜 사이트는 겉보기에는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링크를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악성앱이 자동으로 설치된다고 해요. 설치된 악성앱에는 악성코드가 내재되어 있어 해당 폰은 먹통이 되고, 스캠 조직이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좀비화’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해요.
이처럼 전화나 문자, 메시지, 웹 사이트 등을 통하여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스캐머가 의도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금전 또는 지적 재산을 얻거나 피해자의 자산에 비인가 접근하는 범죄 행위를 ‘스캠’이라고 해요.
'스캠'에는 어떤 유형이 있을까요?
‘신용 사기’라는 뜻을 가진 ‘스캠’은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아래는 가장 대표적인 스캠 유형이에요.
피싱(Phishing): 이메일이나 메시지를 통해 가짜 웹사이트로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만들어서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사기 수법이에요.
스미싱(Smishing): 피싱과 비슷하지만 주로 문자 메시지를 통해 이뤄지며,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면 가짜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악성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소액결제 피해나 금융정보가 탈취될 수 있어요.
로맨스 스캠(Romance scam): 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이뤄지며 연인처럼 다가와서 상대방에게 금전적 지원을 요구하는 사기 수법이에요.
비즈니스 스캠(Business scam): 기업 이메일 정보를 해킹해서 거래처로 위장하여 무역 거래 대금을 가로채는 수법을 사용해요. 주로 기업을 상대로 하기 때문에 피해금액이 상당히 높다고 해요.
온라인 쇼핑 사기: 가짜 쇼핑몰을 만들어서 물품을 판매한다고 속이고 돈만 가로채요. 대표 적인 예로 최근에 발생했던 중소 온라인 쇼핑몰 ‘이끌림’ 사기가 있었지요.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스캠’. 항상 경계심을 가지고 신중하게 행동하며, 추가 검증을 통해 피해를 방지하도록 해요!
<관련기사>
○ "스캠 주의" 은행서 온 문자가 스캠… 클릭땐 이미 늦었다(2024.07.07.)
○ 가상자산 ‘피싱 스캠’ 범죄 피해, 2023년 4850억 원 달해(2023.12.17.)
○ 스캠 의심 암호화폐 플랫폼17곳 명단 공개(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