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체주의와 놈코어, 다음 트렌드는? 안녕하세요. <둥지를 옮긴> 도슨트 R입니다. 정든 동네를 떠나 새로운 동네로 둥지를 옮긴 지 2주 차입니다. 구석구석 숨겨진 오랜 맛집을 찾아다니고, 이 동네를 닮은 뒷골목의 매력에 푹 빠졌어요. 이곳에서 맞이할 첫 겨울에 설레는 요즘, 저는 벌써 연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의 연말을 채울 음악을 소개해 드리며 금주의 뉴스레터 시작합니다! |
|
|
2013년, 해체주의라는 복잡한 사조의 반발로, ‘놈코어’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과장된 패션에 대한 회의감에서 비롯한 놈코어는 독창성으로 돋보이는 것이 아닌 평범함을 추구하며 세상과의 융화를 이야기했죠. 하지만 최근 이러한 놈코어에 대한 또 한번의 반발이 일고 있습니다! 메종 마르지엘라 하우스 출신의 뎀나 바잘리아가 바로 그 주역! 발렌시아가와 집시 스포츠 등 다양한 브랜드가 이끄는 새로운 트렌드, 온큐레이션 저널에서 지금 만나보세요! |
|
|
분열하는 미디어, 중심 잡기
축구 유니폼에 기반한 블록코어부터 영화 <바비>에 영감을 얻은 바비코어까지. 23년도에는 유독 수많은 ‘코어’가 쏟아져 나왔어요. 코어 패션의 활발한 재생산엔 ‘틱톡’이 큰 기여를 합니다. 패션을 다채롭게 만들 것 같은 코어 트렌드는 사실 고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우리의 분별력과 주의력을 빼앗아 되려 획일화된 패션을 종용하죠. 다양한 파편으로 갈라지는 패션 장르 속 <온큐레이션>의 건설적인 시선을 소개합니다. |
|
|
세분되는 패션 장르를 보고 있으면, 한 가지 의문이 생겨요. 대체 무엇까지 패션 트렌드가 될 수 있을까요? 또 트렌드가 되는 콘셉트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요? 바라클라바와 발렌시아가의 슈발리에 더비의 출처인 중세 시대 콘셉트도 유행에 오를 수 있을까요? 실용성과 심미성, 다양한 시선으로 패션 트렌드의 섭리를 관찰한 아티클을 지금 <온큐레이션> 저널에서 만나보세요! |
|
|
Endless Lawns
Kurt Elling
고요함이 필요한 순간 찾게 되는 Kurt Elling의 중후하고 포근한 보이스가 담은 재즈계 대표적인 명곡 <Lawns> |
|
|
콘텐츠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들려주세요.
여러분의 생각이 통찰력 있는 패션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
|
|
New Perspective, Different Story
온큐레이션은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영역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트렌드를 바라보고 그 안에서
마주하는 색다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