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23일 (금)
미국 자이언트스텝 단행에 국내 증시 하락.📉
📢오늘 머니뉴스 한 줄 요약!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또 한 번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면서 어제 국내 증시가 하락했어요. 전문가들은 현금 비중을 늘리고, 투자를 할 경우 태종이방원주를 주목할 것을 조언했어요.

📋머니뉴스 큐레이션 도입!
머니뉴스가 카카오뷰에서 '장 마감 뉴스' 큐레이션을 시작합니다! '장 마감 뉴스'에서는 오후 6시에 주요 증시 뉴스를 선별해 제공해 드리고 있어요. 지금 친구 추가하고 받아보세요! *친구 추가는 모바일로 가능합니다!
ⓒ뉴스1
머니뉴스 읽기 tip: 붉은글씨를 누르면 뉴스로 연결됩니다. 
🎁친구에게 머니뉴스 무료 구독권을 전달해주세요! 👉머니뉴스 구독하기 

미국 또 자이언트스텝!😨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또 한 번 자이언트스텝(금리 0.75% 인상)을 단행했어요. 벌써 세 차례 연속인데요. 전문가들은 오는 11월에도 금리가 0.75%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한편 미국이 고강도 긴축에 나서면서 어제 국내 증시는 하락했어요.

코스피는 0.63% 하락한 2,332.31포인트, 코스닥은 0.46% 하락한 751.41포인트에 마감했어요. 또 이날 증시에서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종목은 모두 440개였는데요. 삼성전자와 네이버는 2거래일 연속 신저가를 기록했고, 카카오는 4거래일 연속 신저가 기록을 갈아치웠어요.

한편 원화 환율은 1,409.7원에 거래를 마쳤는데요. 이는 2009년 3월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처음이라고 해요.

주식 어디까지 떨어질까?📉
현재 미국 금리는 3.125%(3.0~3.25%)인데요. FOMC 위원들이 제시한 미국의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값은 4.4%예요. 아직도 추가 상승분이 남았다는 얘기죠. 미국의 고강도 긴축 제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면서 전문가들은 당분간 증시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어요.

삼성증권은 코스피 하단을 2,200선으로 예상했고요. 대신증권은 코스피 최저점을 2,050선으로 전망했어요. 또 유진투자증권은 "미국 금리가 4%대에 육박하면서 주식 투자의 매력도가 떨어진다"라고 평가했죠.

이에 전문가들은 주식 비중을 줄이고, 현금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어요. 만약 투자를 할 경우 식료품주, 통신주, 고환율 수혜주, 2차전지주 등을 대안으로 꼽았어요.

태조이방원만 살아남았다.😊
이런 하락장 속에서도 '태조이방원(태양광·조선·이차전치·방산·원자력)*'은 강한 면모를 보였어요. 어제 태양광 대표주인 한화솔루션은 3.34%, 조선의 대우조선해양은 4.22%, 2차전지의 LG에너지솔루션은 1.88%, 방산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52%, 원자력의 두산에너빌리티는 0.29% 오르며 장을 마쳤어요.

증권가에서는 '태조이방원' 중에서도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어요. 이는 곧 실적이 중요하다는 얘기인데요. 한 증권가 연구원은 실적 개선 측면에서 본다면 태조이방원 중에서 2차전지와 방산이 좀 더 우위에 있다고 분석했어요. 한편 일각에서는 '태조이방원주'가 급격하게 많이 올라 주가 조정이 올 것이란 주장도 제기됐어요.

*태양광, 2차전지주 왜 오르는 거야? 👉지난 머니뉴스 다시 읽기.


*머니뉴스는 특정 주식 종목 매수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머니뉴스는 이슈와 관련된 대표적인 종목들을 알려드릴 뿐입니다. 
 짧지만 알찬 주식뉴스!📰
국내 대표 제약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가 신저가를 기록했어요. 작년 3월에 상장한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며 주가가 36만원대까지 오르기도 했었어요. 하지만 최근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이 "팬데믹은 끝났다"라고 발언한 것이 악재로 작용하며 하락한 것인데요.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으로 미국에서는 정부가 무료로 제공해왔던 코로나19 검사와 백신접종이 종료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어요.

제약주와 달리 항공주는 바이든 대통령의 "팬데믹 종료" 발언에 지난 20일 강세를 보였어요. 팬데믹이 종결될 경우 해외여행이 늘어나면서, 부진했던 항공 업계의 실적은 회복할 전망이에요. 또 최근 일본 여행에 대한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보이는 점도 항공주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고유가, 강달러 지속으로 인해 해외여행 수요가 즉각 회복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어요.

2020년 4천억 규모에 불과했던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20년 뒤에는 87조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어요. 폐배터리 재활용은 버려진 배터리에서 원재료를 추출해 새 배터리에 사용하는 것을 뜻하는데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중국의 원재료 의존도를 낮출 수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어요. 최근 배터리 원재료인 니켈, 구리 등의 가격이 폭등했는데요.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면 원재료 가격 인상에도 타격을 덜 입을 수 있는 장점도 있어요. 이에 국내 대표 배터리 3사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을 비롯해 배터리 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현대차그룹, 고려아연, GS건설 등도 폐배터리 사업 진출을 준비하고 있어요.

정부가 이르면 오늘 실외 마스크 전면 해제를 발표할 예정이에요. 지난 5월부터 실외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됐으나, 50인 이상의 스포츠 경기장, 야외 공연 등에서는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했어요. 만약 이번에 전면 해제가 결정되면 경기장, 야외 공연장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방역당국은 최근 일일확진자·사망자·치명률 등이 유행기 대비 크게 줄어든 점을 근거로 당분간 코로나19 유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어요.
🎁친구에게 머니뉴스 구독권을 선물해주세요! 👉머니뉴스 구독하기
: 주식이 처음인 MZ세대를 위한 쉽고 간결한 주식뉴스!😎
머니뉴스는 주식 관련 뉴스를 제공할 뿐 주식 구매에 따른 책임은 지지 않습니다.
🛑투자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주세요!
머니뉴스
문의: moneynews2021@gmail.com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