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하의 사이언스 브런치
         하품 억지로 참으면 머리 나빠진다?
 하품은 뇌 온도 낮추고 각성 촉진...억지로 참으면 안 좋아
 ‘지루한 이야기를 듣거나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회의에 참여하고 있으면 자신도 모르게 하품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리저리 주변을 둘러보다가 옆 사람이 입을 가리고 하품을 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내가 하품을 하는 것을 본 옆 사람이나 주변 사람의 하품을 보고 자신도 모르게 하품을 따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품의 전염이라고 하는데, 이는 사람 뿐만 아니라 침팬지나 사자 같은 다른 동물들도 똑같은 행동을 보인다. 왜 그럴까.

미국 뉴욕주립대(SUNY) 폴리테크닉대 심리학·진화행동과학 프로그램, 노바 사우스이스턴대 생명과학과 연구팀은 하품은 4억 년 전 유악어류(jawed fish)의 진화와 함께 발생했으며 모든 척추동물이 체내 과정을 조절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하품을 하고 따라하게 진화했을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동물 행동’ 5월호와 과학저널 ‘사이언스’ 5월 24일자 분석기사로 실렸다.

유용하 기자 / 서울신문 과학기자
2001년 기자생활을 시작해 15년 넘게 과학기술 분야를 취재했습니다. 재미있고 삶에 도움이 되는, 그리고 식사시간에 이야깃거리가 될 수 있는 과학기사들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빛 대신 ‘토마토’ 한 개면 비타민D 걱정 ‘끝’

비타민D는 체내에서 칼슘과 인을 흡수하고 이용할 때 필요할 뿐만 아니라 뼈 형성에도 중요하다. 성장기 아동, 청소년과 뼈 밀도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중년 이후 남녀에게 필수 영양소라고 할 수 있다.
햇빛을 쬐면 자연스럽게 비타민D가 체내 합성되지만 실내 활동이 적은 현대인들에게는

위기상황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알고보니

동물들에게 있어서 위기상황을 빠르게 벗어나는 것은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 비교적 단순한 환경에서는 공간 기억을 사용해 안전한 지역으로 탈출하지만 새로운 환경과 급박한 위협에서는 0.24초 이내에 탈출 방법을 결정하지 못하면 죽게 된다. 사람 역시 새로운 상황
재미있게 읽으셨으면 친구에게 소개해 주세요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좋았던 점이나 아쉬운 점이 있으시면
이메일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edmondy@seoul.co.kr



서울신문의 다른 뉴스레터도
구독해 보세요.



네이버에서도
서울신문을 구독하세요.


서울특별시 구 세종대로 124 서울신문사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