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HADA 2024 2024.03.01
원하다 뉴스레터 vol.26 |
|
|
이번주 한글학교에서는 3.1절을 맞아 대한독립만세를 함께 외쳤습니다!
1919년에 3월 1일에 시작된 3.1운동은 수 개월에 걸쳐 한반도 전역과 세계 각지의 한인 밀집 지역에서 시민 다수가 자발적으로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한민족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입니다. 원하다는 3.1운동의 정신을 이어 전 세계 모든 재외동포가 다시 한번 통일을 위해 함께 연합할 날을 준비합니다! 3.1절을 하루 앞둔 2월의 마지막 날, 구소련에서 오신 동포분들과 함께 삼일절의 정신을 배운 시간을 소개드리며, 이번주 원하다 뉴스레터 시작합니다! |
|
|
원하다 뉴스레터 이번 주 요약
1 선한마음연합과 함께하는 동포들을 위한 명절 선물 전달🎁
2. 차세대 통일 구성원을 위한 새로운 교육, EDA 드림🧒
3. 정월대보름 특별 5개국어 영상 "원소병"🌕 |
|
|
(사)선한마음연합과 함께 나눕니다!
원하다 한글학교 윷놀이 명절선물!
다시 한번 하나인들의 정착을 위해서 (사)선한마음연합과 함께 했습니다! 매번 재외동포 여성들을 위한 행사인 하나인 글로벌 여성포럼을 함께 개최하고 있는 (사)선한마음연합에서 원하다 한글학교 수강생분들을 위한 명절 선물을 준비해주셨습니다. 선물은 윷놀이를 배우는 특별 수업에서 경품으로 전해졌습니다! 경품은 좋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한 백제식품에서 제공해주신 쌀과 쌀가공 식품, 충신다품에서 보내주신 차렵이불이었는데요. 수강생분들 한 분도 빠짐없이 경품을 드릴 수 있어 기뻤습니다!
원하다 한글학교는 수강생분들의 한국어 학습 뿐만 아니라 문화 체험, 국내 정착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수강생 분들 중에는 한글학교에서 한국어를 잘 배워서 다른 동포들을 돕는 것에 사용하고 싶다고 말씀하신 분도 계시는데요. 모두가 다시 돌아온 고국에 잘 정착하고 함께 통일을 위한 꿈을 꾸는 그날까지...! 원하다는 하나인 분들과 함께 합니다! |
|
|
3.8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하나인 여성을 위한,
여성의 날 행사를 개최합니다!
2024년 3월 9일! 하나인 여성들을 위한 "여성의 날 행사"가 개최됩니다. 작년 원하다의 하나인 여성연합은 고려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인천숭의교회 주최의 "Mom's Party" 행사에 함께했습니다. 한국에 정착하며 육아에 지친 고려인 동포 여성들을 격려하기 위한 이벤트였는데요. (사)선한마음연합의 이소연 대표님께서 축하사를 전해주시고 (사)원하다의 이은혜 대표님께서는 고려인 리더들이 진행하는 "슈퍼맘 토크쇼" 패널로 참여하셨습니다. 올해는 원하다와 선한마음연합, 그리고 원하다의 몽골국에서 주최하는 여성의 날 행사가 있을 예정입니다. 한국에 정착하고 있는 더 많은 하나인 여성들을 환대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볼 이번 행사에 많은 응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다음번 뉴스레터에 더 많은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
|
|
함박마을 고려인 주민회와 함께하는
3.1운동 105주년 기념 축제!
바로 오늘! 인천 고려인주민회 리 빅토르 회장님의 초대로 원하다가 3월 1일에 진행되는 "3.1운동 105주년 기념 축제"에 참여했습니다! 인천시 연수구에 위치한 함박마을은 주민의 절반인 6천여명이 고려인인 특별한 마을입니다. 함박마을 고려인 주민회는 국내 최초로 고려인이 주도해 만든 공동체 조직입니다. 원하다와는 작년부터 업무협약을 맺고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작년 여름 제주도에서 개최된 "2023 고려인비즈니스클럽연합회 포럼(UKBC)"에서 부터 고려인 분들의 국내 정착과 비즈니스 활로 개척을 위해 함께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3.1운동 105주년을 기념하며 고려인 주민회가 준비한 특별한 공연들과 상인회에서 준비한 부스들이 운영되었습니다! 뜻깊은 삼일절을 맞아 원하다 청년 멤버들과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보아 "사샤"와 함께하는 특별 공연도 진행되었습니다! |
|
|
차세대 통일 구성원을 위한 새로운 교육을 원하다!
EDA드림 키즈스쿨 셀레브레이션
지난 2월 12일, ‘제1회 EDA드림 키즈스쿨 셀레브레이션’과 설날 파티가 진행되었습니다!
원하다는 통일을 위한 차세대 교육을 위해 EDA 드림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자라나는 아이들이 통일을 위한 넓은 꿈을 꿀 수 있도록 돕는 "EDA드림 키즈스쿨"은 특별한 커리큘럼과 리더쉽 교육으로 진행됩니다. 이번 겨울방학의 4주간, EDA드림 키즈스쿨 1기 과정을 수료한 친구들을 축하하고 몽골의 설문화를 체험할 수 있었던 제1회 EDA드림 키즈스쿨 셀레브레이션의 모습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영상을 확인해주세요!
현재 대한민국도 다문화 국가를 앞두고 있습니다. 국내에 5만명 이상 정착하고 있는 몽골 분들의 현재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가 자녀들의 교육 문제입니다. 방학이 되면 집에서 각종 미디어에 노출되는 우리 아이들을 두고 맞벌이를 나가야하는 부모님의 마음을 EDA드림은 헤아립니다. 앞으로 EDA드림과 함께할 더 많은 하나인 아이들과 원하다는 함께하겠습니다!
|
|
|
EDA드림과 함께 합니다🧒
EDA 드림 축구교실은 계속됩니다!
지난주 진행된 EDA드림 축구교실의 모습을 공개합니다. 일산과 분당의 풋살장에서 진행된 이번 수업은 축구의 기본기를 배우고 체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아이들이 집에만 있다가 선생님과 함께 축구를 배우고 함께 뛰면서 참 많이 즐거워 했는데요! 오전, 오후 지역을 넘나들며 봉사해주신 EDA 드림 선생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이번 수업은 선생님과 아이들이 더욱 친해져 좋은 팀워크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하나인 아이들의 바른 성장을 돕고 꿈을 응원할 에다드림 축구교실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
|
|
커다란 보름달처럼 풍요로운 한 해와 소중한 가족의 건강함을 소원하는 날, 정월대보름을 함게 배우는 영상이 제작되었습니다. 이번 영상은 특별히 EDA 드림의 김시우 어린이가 더빙을 맡았습니다.
정월대보름은 매년 음력 1월 15일로 예로부터 마을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누고 전통놀이를 즐기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역할했습니다. 모두가 많이 아시는 오곡밥, 부럼 깨기 외에도 정월 보름날 저녁 둥그런 달을 보며 경단을 꿀물에 띄운 화채, ‘원소병’을 먹었다고 합니다. 색색의 둥그런 경단을 가지고 만든 원소병의 모습을 이번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전 세계 모든 동포들이 남북이 함께하는 정월대보름을 염원하길 기원하며 이번 영상을 추천드립니다! 이번 영상도 5개국어로 제작되었습니다! |
|
|
원하다의 다양한 콘텐츠
이번 학기에 함께할 책은, 피노키오!
지난 원하다 한글학교는 "아기돼지 삼형제" 책을 같이 공부하고 연말에 수강생분들의 연극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에 함께 할 책은 피노키오입니다. 수강생분들께 제공되는 동화책 교재에는 큐알코드가 붙여져 있습니다. 큐알코드를 이용하면 해당 페이지를 읽어주는 영상으로 바로 연결됩니다. 원하다 한글학교 수강생분들의 가파른 실력향상에 큰 역할을 한 큐알코드인데요! 언제 어디서든 영상을 틀어 학습할 수 있습니다. 매번 선생님과 일대일로 진행되는 전화수업에서도 이번 피노키오 책이 많이 사용될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한글을 공부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이 원하다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되고 있습니다! |
|
|
원하다는 통일을 준비하는 하나인들의 연합을 위한 플랫폼입니다. 보내주신 후원금에 대하여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주세요.
원하다의 비전과 프로젝트에 동참하고자 하시는 많은 분들의 후원과 참여를 요청드립니다💗
|
|
|
원하다 패밀리 여러분, 3월이 시작되었습니다!
원하다는 3월 부터 "제6회 하나인 글로벌 여성포럼"과 다양한 행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더욱 다양한 소식을 전할 다음주 원하다 뉴스레터에도 많은 기대 부탁드리며,
언제든지 궁금하신 사항이나 참여를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아래의 버튼을 눌러 메세지를 남겨주세요. 오늘 읽으신 26번째 원하다 뉴스레터에 대한 소감을 아래의 버튼을 눌러 알려주세요! |
|
|
Follow us!
통일 플랫폼 원;하다의 다양한 콘텐츠를
아래의 버튼을 눌러 접속해보세요!
공식홈페이지 | 인스타 | 페이스북 | 유튜브
|
|
|
|
원하다 컨퍼런스 운영사무국
04157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37길 46 정우맨션 315호
Onehada Conference Secretariat, 46, Tojeong-ro 37-gil, Mapo-gu, Seoul, Republic of Korea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