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보예요🌿 구독자님 날이 따뜻해지고 있어요! 이제 정말 나들이를 갈 수 있다는 생각에 저는 여행책들을 펼쳐보고 있어요. 책에 처음 보는 모빌리티들이 많았는데, 그중에서도 철도 위에서 탈 수 있는 자전거에 유독 눈길이 갔어요. 철도 위로는 기차만 다닐 수 있는 줄 알았는데, 자전거🚲도 탈 수 있을 줄이야! 여행 잡지에서 자전거 대회를 본 이후 자전거에 관심이 많아진 저는 이 색다른 자전거를 타보기로 결심했어요. 그런데 이 자전거는 특이하게도 혼자서는 절대 탈 수 없는 자전거라고 해요. 반드시 누군가와 함께 타야 하는 자전거라니, 과연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시죠? 함께 확인해주세요. 보보~


2월 23일 모비레터 미리보기


✔︎ [보보의 버킷 리스트] 철도와 자전거의 절묘한 만남

✔︎ [양탄자의 투데이 스크랩] 다음 중 딸기의 제철을 고르시오.

2023.02.23
보보의 버킷 리스트

ⓒ KORAIL TOURISM DEVELOPMENT

정선레일바이크

책에서 본 철도 위의 자전거는 바로 레일바이크였어요. 레일바이크를 탈 수 있는 곳을 찾아보았는데, 정선레일바이크가 가장 유명하더라고요. 우리나라에 처음 생긴 레일바이크고 코스도 가장 길대요! 정선레일바이크의 출발 지점인 구절리역은 옛 기차역으로 더 이상 열차가 서지 않지만, 레일바이크를 탈 수 있는 특별한 곳이 되었어요. 구절리역에서 도착지인 아우라지역까지 약 7.2km 거리이고, 2인승과 4인승이 있다고 해요. 우리는 세 명인데 4인승을 타도 괜찮을까요? 마지막 1km 구간은 오르막이라서 열심히 페달을 밟아야 한다고 하니 조금 걱정이에요.


🐱: 양탄자랑 둘이 다녀오면 되겠네.

🌿: 뭐? 그건 아니지~

ⓒ 2004 KORAIL TOURISM DEVELOPMENT

풍경열차

레일바이크를 어떻게 타면 좋을까 고민하다가 문득 돌아갈 때는 어떡해야 할지 걱정이 됐어요. 열심히 정선레일바이크를 타고 도착지에 갔는데 출발 지점으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니! 그러면 저는 지쳐 쓰러질지도 몰라요. 다행히 그런 걱정은 할 필요가 전혀 없었어요. 왜냐하면 풍경열차를 타면 되거든요. 풍경열차는 정선레일바이크의 도착 지점인 아우라지역에서 구절리역으로 돌아갈 때 탈 수 있는 열차예요. 신나게 달리고 나서 20분 동안 편안하게 앉아서 지나온 풍경을 천천히 감상하는 것도 정말 좋을 것 같아요.😊

ⓒ 한국관광공사

기차펜션

구절리지역에는 정선레일바이크뿐만 아니라 여러 기차🚂들을 만날 수 있어요. 그중에서도 기차펜션은 더 이상 달리지 않는 기차를 리모델링해 펜션으로 만들었어요. 기차펜션의 객실은 각각 통일호, 무궁화호, 새마을호로 실제 기차 이름들에서 따왔다고 해요. 통일호는 처음 들어보았는데 혹시 들어본 분 있으신가요? 


🧑: 통일호는 1995년에 만들어진 급행열차야. 2004년부터 다니지 않으니 보보는 모를 수도 있겠구나.

Pixabay

알고 보니 레일바이크는 철도 위를 다니는 자전거🚲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에서 붙인 표현이고, 정식 명칭은 드라이지네(Draisine)라고 해요. 드라이지네는 1980년대 미국에서 처음 만들어졌어요. 그때 미국에서 금을 나르기 위해 많은 철도를 만들었는데, 금이 더 이상 나오지 않자 철도를 쓰지 않게 되었거든요. 이후 사람들이 철도 위에 무동력 모빌리티를 만들어 탄 거죠. 처음에는 자동차를 대신해 먼 곳에 가거나, 무거운 짐을 나르기 위해 사용되었어요. 그런데 점차 자동차가 많아지면서 사람들이 놀이기구처럼 즐기게 되었대요.😊


이번 버킷 리스트를 쓰면서 냥냥, 양탄자와 함께할 수 있는 모빌리티를 알 수 있어서 더욱 좋았어요. 함께 라면 두 배, 아니 새 배 더 재미있을 테니까요! 다음번에는 어떤 새로운 모빌리티를 알게 될까요? 다음 버킷 리스트도 기대해주세요~

   스토리를 누르면 오늘의 뉴스를 볼 수 있어요!
  
  

ⓒ Adobe Stock

🍓오늘의 스크랩: 다음 중 딸기의 제철을 고르시오.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구독자님은 뭐라고 답하셨나요? 사실 요즘은 비닐하우스와 같은 온실 시설이 잘되어 있어서 제철 음식이라는 말이 다소 무색해진 것 같아요. 그래서 가끔은 마트에서 사다 먹으면서도 이게 원래 지금쯤 나는 과일이 맞나 싶을 때가 있죠. 이런 의문을 가지게 만드는 대표적인 과일이 바로 딸기예요. 딸기가 원래 겨울 과일이라 생각하는 분들도 많으실 것 같지만, 딸기는 원래 5~6월에 나는 과일이었어요. 예전에는 추운 겨울에 딸기를 키울 수 있는 환경도 적었고 마땅한 품종도 없었거든요. 점차 다양한 품종을 개발하고, 하우스 시설에서 딸기를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겨울에도 먹을 수 있는 과일이 되었어요. 게다가 겨울에 키운 딸기의 당도가 봄에 난 딸기보다 높다 보니 겨울이 제철이라고 인식하게 된 거죠. 현재는 계절에 상관없이 키울 수 있는 품종을 개발하고 있어 더 이상 딸기의 제철을 구분하지 않아도 될 거라고 해요. 곧 있으면 매일매일 맛있는 딸기를 먹을 수 있다니 생각만으로도 즐거워지네요.😊
모비레터에 의견을 보내주시면, 매월 추첨을 통해 커피 기프티콘을 보내드려요~
편하다냥.gif
현대모비스 브랜드커뮤니케이션팀
mobiletter@mobislive.com